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40&local_id=10014447
현대 중국의 지역사회의 구조와 문화체계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현대 중국의 지역사회의 구조와 문화체계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광억(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19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본인이 지난 15년 간 틈틈이 지속적으로 행하여 온 현대 중국사회 연구의 마무리 작업으로 시도되었다. 그 동안 주로 산동성 중부에 위치한 한 촌락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최근 그 촌락의 경계를 너머선 보다 큰 지역사회로 그 관찰의 영역을 넓혀왔으며 금번 연구는 그러한 지방사회 수준에서 국가와 사회의 관계라는 이론적인 틀 속에서 농민의 생활 세계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화를 겪어 왔는가를 본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원래의 연구 주제는 탈 촌락 사회로 농민의 생활세계가 어떻게 확장되어 가며 그러한 확장 과정 속에서 국가 권력과 농민의 사회적 전통이 마주치고 경쟁과 타협 그리고 때로는 공모를 하는 현실을 민족지적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택하였다. 1) 그 동안 연구해 왔던 촌락의 사람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그 생활영역을 확장해 나갔는가를 추적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2) 인근 촌락과 소도시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사회를 단위로 삼아서 그것이 어떤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생활단위를 형성하는가를 분석적으로 살핀다. 3) 촌락출신의 사람들이 보다 먼 지역으로 진출한 예를 추적하여 그들의 생활세계가 어떤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가를 분석한다. 4) 역사적 과정을 재분석한다. 지역사회의 구조적 변화 뿐 만 아니라 국가체제가 지역사회에 어떻게 확산되고 그 과정에서 연출되는 국가와 지역사회의 관계의 성격을 관찰한다.
    조사는 탈지역경계적인 종족의 재조직화, 호구를 지닌 채 임시적으로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의 증가, 촌판기업의 해체와 동시에 국가차원의 대기업의 고용구조에 촌민과 지역사회의 노동력이 재편되기, 농촌 경제구조의 변화, 중고등학교 동창회와 지역 기반의 관계의 연망의 활성화, 종교와 민간 전통의 부활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지리적 공간 뿐 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공간이 행정 단위의 경계를 넘어 확대된다는 것을 포착할 수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present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the sphere of people's everyday life world has expanded in the post-socialist China. Especially it attempts at an analysis of the dynamics not only of contest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but also of compromise and e venconspiracy between the two. For this, I carried out my personal fieldwork in a rural area consited of various villages and small towns in Shandong Province. Using household register record that I compiled 15 years ago, I conducted a kind of follw-up study on families and persons who have migrated to other places as well as on those who are still living in the area. Through this, I examined how villages and towns are connected to cinstruct a nlarger community through ever expanding networks of various old and new kind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 among people. The ethnographic stories collected through the present research will be put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rocess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local society on the one hand and that of the changing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on the other.
    Special focuses are given on the re-production of lineage organization beyond village boundaries, increasing size of floating population of peasant who move into outside world while carrying their original hokou as peasant, demise of rural enterprise, expansion of new economic chance for rural labour force by the approaching urban business and factories around the rural area, emerging stratification among the rural population, making of school ties as a new socio-cultural resources for economic and social life, mutual relationship based on locality, patterns of networking, revival and inven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ts related activities and so on.
    As a result, we can see the expansion of the space of people's society beyond and across the people's world that was cellullarized through the state power during the Mao-era. Along with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boundary defined by the state, people are now (re)constructing their own social and cultural local community. In this, people exploit fully their cultural resources and invent social networks in their compromise with the state in order to maximize their advantage. The study leads us to attempt a critical reconsidering of the relevance of social science approaches to the contemporary China. Instead of confrontation and resistance model, I would, therefore, propose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hinses society that emphsizes the importance of compromise ahnd conspiracy between the state and peop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본인이 지난 15년 간 틈틈이 지속적으로 행하여 온 현대 중국사회 연구의 마무리 작업으로 시도되었다. 그 동안 주로 산동성 중부에 위치한 한 촌락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최근 그 촌락의 경계를 너머선 보다 큰 지역사회로 그 관찰의 영역을 넓혀왔으며 금번 연구는 그러한 지방사회 수준에서 국가와 사회의 관계라는 이론적인 틀 속에서 농민의 생활 세계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화를 겪어 왔는가를 본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원래의 연구 주제는 탈 촌락 사회로 농민의 생활세계가 어떻게 확장되어 가며 그러한 확장 과정 속에서 국가 권력과 농민의 사회적 전통이 마주치고 경쟁과 타협 그리고 때로는 공모를 하는 현실을 민족지적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택하였다. 1) 그 동안 연구해 왔던 촌락의 사람들이 각각 어떤 방식으로 그 생활영역을 확장해 나갔는가를 추적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2) 인근 촌락과 소도시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사회를 단위로 삼아서 그것이 어떤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생활단위를 형성하는가를 분석적으로 살핀다. 3) 촌락출신의 사람들이 보다 먼 지역으로 진출한 예를 추적하여 그들의 생활세계가 어떤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가를 분석한다. 4) 역사적 과정을 재분석한다. 지역사회의 구조적 변화 뿐 만 아니라 국가체제가 지역사회에 어떻게 확산되고 그 과정에서 연출되는 국가와 지역사회의 관계의 성격을 관찰한다.
    조사는 탈지역경계적인 종족의 재조직화, 호구를 지닌 채 임시적으로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의 증가, 촌판기업의 해체와 동시에 국가차원의 대기업의 고용구조에 촌민과 지역사회의 노동력이 재편되기, 농촌 경제구조의 변화, 중고등학교 동창회와 지역 기반의 관계의 연망의 활성화, 종교와 민간 전통의 부활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지리적 공간 뿐 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공간이 행정 단위의 경계를 넘어 확대된다는 것을 포착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모택동 시절의 국가체제 하에서 세포화 되었던 사회적 단위가 지난 25년간의 체제 변화 고장을 겪으면서 그 경계가 허물어지거나 모호해졌다. 특히 정치적 단위와 경제적 단위의 불일치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의 세계는 국가와 사회의 두 체계 속에 동시에 존재하게 되었다. 이 변화는 그러나 국가와 사회 사이의 경쟁과 대립 혹은 지배와 저항의 구도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국가와 사회는 타협과 공모의 관계를 형성한다.
    인민은 사회적 공간이 국가권력과 이념에 대한 타협의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그 문화적 전통과 제도를 활성화하는 전략적 시도를 하게 된다. 곧 혈연의 외연을 확장하고 종족조직과 관계의 망을 촌락이나 인근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 확산하며 경제활동의 범위와 종교생활의 법위도 지역 경계를 넘어서 확장된다.

    이 연구 결과는 단행본의 민족지로 엮어냄으로써 중국의 연구에서 촌락 중심의 접근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거시적 차원에서 국가중심의 정책을 통하여 중국사회의 역동적 현실을 간과하는 오류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서구 사회과학계의 중국 접근이 갖는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또 하나의 중국접근론을 개발하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국가-사회의 공모 관계, 사회적 관계의 탈경계적 확산, 종족의 재조직, 지역적 종종, 족보, 문화유산, 민간문화, 임시적 유동인구, 교육, 이촌불이향, 촌판기업, 비농업화, 임시공, 민간신앙의 활성화, 진향, 순례, 묘회, 태산, 기독교, 저항과 타협, 네트워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