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51&local_id=10019418
Prion에 의한 신경세포의 세포사멸 및 억제관련 분자기작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Prion에 의한 신경세포의 세포사멸 및 억제관련 분자기작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상열(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E00149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8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Prion 단백질과 세포사멸 유도인자들을 신경세포에 처리한 후, 신경세포의 손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prion에 의해 유도된 손상의 특성을 규명하여, prion 단백질에 의한 세포 손상의 억제 시스템 및 인자 발굴 그리고 치료제 개발에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과제를 수행함. Human neuroblastoma cell인 SNU-201세포에 prion protein (PrP) fragment 106-126, Tumor necrosis factor 그리고 proteasome inhibitor인 ALLN을 처리하여 신경세포의 생존성 및 변화상, Lactate Dehydrogenase (LD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 등을 평가하였으며, 더불어 세포사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및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생존성은 40%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TRAIL 단독 처리시 신경세포의 손상을 유도할 수 없었으며, proteasome inhibition 기능을 가진 ALLN과 병용 처리시 많은 세포에서 세포사가 유도되었다.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LDH 값은 prion 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에 비해 20% 정도 증가하였으며, prion과 TRAIL을 병용 처리한 신경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 60%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ROS의 생성량은 감소하였으나, TRAIL과의 병용 처리에 의해서는 증가되었다. 또한 신경 세포내의 MTP 값과 caspase-3 단백질의 활성은 prion 처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신경세포를 저산소에 노출 시킨 후, prion 단백질을 처리하였을때, prion에 의해 손상되었던 신경세포는 저산소 처리에 의해 그 손상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관련 세포사 관련 인자들도 모두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prion 관련 질병에 대한 저산소증의 적용과 관련 유전자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hypoxia inducing factor (HIF) 혹은 저산소증에 의해 증가되는 anti-apoptotic 유전자들에 대한 유전자 및 세포 치료의 개발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영문
  •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charactoristics of prion-induced damage inn neuronal cell, prion protein (PrP) fragment 106-126 treated to human neuroblastoma cell, SNU-201 cells, and evaluated the cell viability, Lactate dehydrogenase (LD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 and related protein modifications. Prion protein induced 40% neuronal cell death in cell viability test using crystal violet assay and increased the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and caspase-3 activation except de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To approach the therapeutical concept, we used the hypoxic air condition system and related gene molecules. SNU-201 neuronal cells were exposed to hypoxia and then treated prion prion (PrP) fragment 106-126, hypoxia inhibited 20% of the prion-induced neuronal cell death and MTP activity. These results are support to possibility of hypoxic condition, hypoxia inducing factor gene molecule and other apoptotic molecules as a therapeutical tools against the prion disea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Prion 단백질과 세포사멸 유도인자들을 신경세포에 처리한 후, 신경세포의 손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prion에 의해 유도된 손상의 특성을 규명하여, prion 단백질에 의한 세포 손상의 억제 시스템 및 인자 발굴 그리고 치료제 개발 분야에 기초적 지식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과제를 수행함. Human neuroblastoma cell인 SNU-201세포에 prion protein (PrP) fragment 106-126, Tumor necrosis factor 그리고 proteasome inhibitor인 ALLN을 처리하여 신경세포의 생존성 및 변화상, Lactate Dehydrogenase (LD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 등을 평가하였으며, 더불어 세포사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및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생존성은 40%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TRAIL 단독 처리시 신경세포의 손상을 유도할 수 없었으며, proteasome inhibition 기능을 가진 ALLN과 병용 처리시 많은 세포에서 세포사가 유도되었다.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LDH 값은 prion 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에 비해 20% 정도 증가하였으며, prion과 TRAIL을 병용 처리한 신경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 60%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ROS의 생성량은 감소하였으나, TRAIL과의 병용 처리에 의해서는 증가되었다. 또한 신경 세포내의 MTP 값과 caspase-3 단백질의 활성은 prion 처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신경세포를 저산소에 노출 시킨 후, prion 단백질을 처리하였을때, prion에 의해 손상되었던 신경세포는 저산소 처리에 의해 그 손상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관련 세포사 관련 인자들도 모두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prion 관련 질병에 대한 저산소증의 적용과 관련 유전자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hypoxia inducing factor (HIF) 혹은 저산소증에 의해 증가되는 anti-apoptotic 유전자들에 대한 유전자 및 세포 치료의 개발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Human neuroblastoma cell인 SNU-201세포에 prion protein (PrP) fragment 106-126, Tumor necrosis factor 그리고 proteasome inhibitor인 ALLN을 처리하여 신경세포의 생존성 및 변화상, Lactate Dehydrogenase (LD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MTP) 그리고 세포사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및 활성화 정도를 확인 하였다. 연구 결과는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생존성은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LDH 값은 prion 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에 비해 20% 정도 증가하였으며, prion과 TRAIL을 병용 처리한 신경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 60%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prion 처리에 의해 신경세포의 ROS의 생성량은 감소하였으나, TRAIL과의 병용 처리에 의해서는 증가되었다. 또한 신경 세포내의 MTP 값과 caspase-3 단백질의 활성은 prion 처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신경세포를 저산소에 노출 시킨 후, prion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prion에 의한 손상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세포사 관련 인자들도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prion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 기술 개발 영역에 저산소증의 적용과 관련 유전자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팀은 신경세포에서 저산소과 prion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hypoxia inducing factor (HIF) 혹은 저산소증에 의해 증가되는 anti-apoptotic 유전자들을 이용하여 prion 질병에 대한 유전자 및 세포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평가할 예정이다.
  • 색인어
  • prion, neuronal cell, cell death, LDH, MTP, RO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