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52&local_id=10014872
멸종위기 야생동물 보전유전학 연구를 위한 유전자 마커 개발 및 서식지외 보전에의 응용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E00151 |
선정년도 |
2006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8년 02월 21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8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마타마타 거북 (Chelus fimbriatus) 은 남미의 민물 거북의 하나이다. 이 종은 현재 국제적으로 보호를 받는 멸종위기종은 아니지마, 이들의 자연 서식지인 아마존 유역의 자연이 빠른 속도로 훼손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연상태 및 사육상태의 개체군을 과학적으로 적절하 ...
마타마타 거북 (Chelus fimbriatus) 은 남미의 민물 거북의 하나이다. 이 종은 현재 국제적으로 보호를 받는 멸종위기종은 아니지마, 이들의 자연 서식지인 아마존 유역의 자연이 빠른 속도로 훼손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연상태 및 사육상태의 개체군을 과학적으로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Microsatellite 마커 유전자는 야생동식물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건강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타마타 거북 유전자에서 11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분리하였고 그 특성을 밝혔다. 12 마리의 사육 개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커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이 유전자 마커가 상당히 높은 변이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11개의 microsatellite 마커는 향후 마타마타 거북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기법은 우리나라의 야생동물 관리와 보전에의 활용이 가능하다.
-
영문
-
The matamata turtle (Chelus fimbriatus) is the only species of genus Chelus, living in fresh water of South America. This species is currently categorized as Not Evaluated in IUCN Red List and does not have special status in CITES. However, rapidly de ...
The matamata turtle (Chelus fimbriatus) is the only species of genus Chelus, living in fresh water of South America. This species is currently categorized as Not Evaluated in IUCN Red List and does not have special status in CITES. However, rapidly declining of its natural habitat does not guarantee its future, thus requiring proper management of in situ and ex situ populations of the species for conservation. Eleven of nuclear microsatellite loci were isolated from a genomic DNA derived from a mata mata individual from a captive population in a zoo in USA. Population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to assess the level of genetic diversity of the captive and natural popul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마타마타 거북 (Chelus fimbriatus) 은 Chelus 속의 유일한 종으로 남미의 민물에 사는 종이다. 이 종은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에서 ‘평가되지 않음’ (Not Evaluated)으로 분류되어 있고 멸종위기종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의 부속서 목록에도 ...
마타마타 거북 (Chelus fimbriatus) 은 Chelus 속의 유일한 종으로 남미의 민물에 사는 종이다. 이 종은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에서 ‘평가되지 않음’ (Not Evaluated)으로 분류되어 있고 멸종위기종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의 부속서 목록에도 들어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자연 서식지가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서식지내 및 서식지외 개체군을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마타마타 거북에서 유래한 genomic DNA에서 11개의 microsatellite 유전좌를 분리하였고 그 특성을 밝혔다. 12 마리의 사육 개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커들의 유전자형을 결정한 결과는 유전좌 당 평균 대립유전자수가 9.18, 평균 이형접합율 기대치가 0.902, 평균 PIC가 0.82로서 상당히 높은 다형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11개의 microsatellite marker는 향후 마타마타 거북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에 의해 마타마타 거북 genomic DNA에서 11개의 microsatellite 유전좌를 분리하였고 그 특성을 밝혔다. 12 마리의 사육 개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커들의 유전자형을 결정한 결과는 유전좌 당 평균 대립유전자수가 9.18, 평균 이형접합율 기대치 ...
본 연구과제에 의해 마타마타 거북 genomic DNA에서 11개의 microsatellite 유전좌를 분리하였고 그 특성을 밝혔다. 12 마리의 사육 개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커들의 유전자형을 결정한 결과는 유전좌 당 평균 대립유전자수가 9.18, 평균 이형접합율 기대치가 0.902, 평균 PIC가 0.82로서 상당히 높은 다형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11개의 microsatellite marker는 향후 마타마타 거북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과제에 의해 습득된 microsatellite 마커 개발기술은 국내 야생동물의 관리와 보전에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변이가 높은 유전자 마커가 개발된다면 국내 야생동물 개체군의 유전적 구조, 집단구조와 유전자 흐름, 근친번식의 정도 등 유전적다양성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침습적 샘플링과 PCR기법을 이용하면 개체군 크기, 사회구조, 행동범위, 성별 등 생태유전학적 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견병의 주된 숙주동물인 너구리의 개체군 구조를 밝힘으로 광견병 전파경로를 예측하는 등, 야생동물의 질병 등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법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외 보전사업에 있어서도 유전적다양성을 최대한 유지하는 번식계획 수립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색인어
-
Genetic markers, Mata mata, Chelus fimbriatus, Chelidae, South America, microsatellite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