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57&local_id=10013038
1920-30년대 中國 西南地域 농촌의 '神兵'운동 - 농민 집단행동의 원인`형태 및 근대 혁명운동과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920-30년대 中國 西南地域 농촌의 & #39;神兵& #39;운동 - 농민 집단행동의 원인`형태 및 근대 혁명운동과의 관계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상수(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16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화민국시기 중국 서남지역 -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악천검 교계 지역 - 의 농촌무장 조직 神兵을 대상으로 농민집단행동의 기원, 양태, 그리고 혁명운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근현대 폭발적으로 증가한 중국 농민운동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기존의 혁명사적 연구가 이끌어 온 동원의 대상으로서의 농민이 아니라 주체로서의 농민의 행동을 정면으로 다루어 보고자 했다.
    분석의 대상이 된 중국 서남 4성의 교계 지대는 여러 '소수민족'이 한족과 함께 잡거하는, 교통이 불편한 매우 편벽된 지역으로서 경제적 문화적으로 매우 낙후된 상태를 면치 못했다. 청 가경 연간 청조를 뒤흔든 백련교의 반란에서 이 지역은 주된 활동무대를 제공했다. 이후에도 백련교의 전통은 기타 민간 비밀종교의 신앙과 더불어 이 지역에 강한 뿌리를 내렸다. 바로 이러한 민간 종교의 전통이야말로 '봉건미신' 조직 신병이 출현하게 된 하나의 중요한 원인을 제공했다.
    신병을 발생시킨 또 다른 원인은 극심한 자원경쟁이었다. 명청 이래로 이 지역은 토비의 약탈이 매우 빈번한 지역이었다. 성정부의 행정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교계 지대의 특성이 그러한 토비의 출현을 용이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생산에서 유리된 토비는 생존을 위해 정주 농민사회와 폭력적인 자원경쟁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1911년 제국 권력의 붕괴 후 토비의 행동은 더욱 적극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주사회의 농민으로부터 자원을 빼앗아 갔던 것은 토비 뿐만 아니었다. 1910년대 이래 무질서한 군벌 부대와 국가권력은 가혹한 세금과 징발을 통해 자원을 수취해 갔다. 농민사회는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자원요구에 대해 어떠한 형태로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유력한 수단이 바로 신병이었다.
    외부로부터의 위협은 정주 농민사회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주사회의 각 공동체들이 토비의 약탈, 국가권력의 자원요구 앞에 한편으로 해체되는 경향성(disintegration)을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반대의 경향성 즉 연대(solidarity)를 통해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함으로써 그에 대응하고자 했던 것이다. 토비의 출현이 해체의 경향성을 대변한다면, 신병 조직은 그러한 결속력의 한 표현이었다.
    신병의 집단행동의 양태는 틸리(C. Tilly)의 용어를 빌리자면 일차적으로 '경쟁적'(competitive)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병은 단순히 토비에 대한 대결이라는 지역사회 내의 자원경쟁에 그친 것은 아니었다. 신병의 집단행동은 대부분이 반관 혹은 반군벌 투쟁이었다. 신병은 토비 방어를 위해 조직되었다가 반관투쟁으로 나아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흔히 발견된다. 결국 신병의 집단행동은 경쟁적 행위임과 동시에 '반응적' 행동의 유형을 보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틸리의 또 다른 집단행동의 유형인 능동적 내지 전향적인(proactive) 유형은 신병에게서 찾아 볼 수 없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공산 혁명운동과의 관계를 통해 접근해 보고자 했다. 사실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분석하진 않았지만, 이 지역은 빈한한 지역으로 지주와 소작인의 "계급분화"가 첨예하지 않고, 광범한 자작농이 분포하는 사회구조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사회구조 속에서는 지주 엘리트의 주도에 의한 수직적 충성의 구조보다는 일반 농민의 수평적 연대와 결속력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이 지역에 강하게 남아 있던 민간 비밀종교의 전통이 그러한 평민적 연대를 강화하는 도구로서 기능했다. 그러한 사회구조는 화북의 경우처럼 지주의 저항이 미약했다는 점에서 공산당의 침투를 용이하게 만드는 구조를 갖고 있었고 농민, 자위조직으로서의 신병과 공산홍군의 연합을 용이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신병이 혁명운동에 쉽게 흡수될 수 있었던 것은 홍군이 자원보호의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했다. 여기서 필자는 흔히 농민(행동)의 성격에 대한 매우 부정적 평가들을 떠올리게 된다. 즉 농민은 흔히 협애한(parochial), 지방적(local) 이익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고, 그것이 전국적이고 모두를 위한 혁명운동과는 부합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견해는 상악천검 지방 혁명가들이 농민의 그러한 협애한 지방적 이익에 적극적으로 부응함으로써 자신을 살찌워 갈 수 있었고, 농민의 경우도 그로부터 새로운 전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사실 앞에서 설득력을 잃고 만다. 홍3군은 신병들의 '보호신가'와 '보호신단'이라는 유연한 전략으로 신병에게 다가갔고, 신병은 그러한 혁명운동에 적극적으로 자신을 일치시켜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본고가 말하고자 하는 틸리식의 '전향적' 양태의 농민 집단행동이었다.
  • 영문
  •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concerning the 'Divine Soldiers' movement in the south-west China in Republican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s and forms of the peasant collective action and its relations with the modern revolutionary movement. The article shows that the 'Divine Soldiers' movement represented three patterns of collective action mentioned by Charles Tilly: competitive action, reactive forms and proactive action. But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different forms appeared simultaneously. Divine Soldiers movement started from the competition with the local bandits predating local resources, but it did not remain this phase. The most of its action was against the extraction of the resources by the state and undisciplined militarists. And it also showed the third pattern of proactive in the relations with the revolutionary movement. A number of Divine Soldiers were absorbed rapidly by the Red Army and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Soviet building in this region in the early 1930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화민국시기 중국 서남지역 -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악천검 교계 지역 - 의 농촌무장 조직 神兵을 대상으로 농민집단행동의 기원, 양태, 그리고 혁명운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근현대 폭발적으로 증가한 중국 농민운동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기존의 혁명사적 연구가 이끌어 온 동원의 대상으로서의 농민이 아니라 주체로서의 농민의 행동을 정면으로 다루어 보고자 했다.
    분석의 대상이 된 중국 서남 4성의 교계 지대는 여러 '소수민족'이 한족과 함께 잡거하는, 교통이 불편한 매우 편벽된 지역으로서 경제적 문화적으로 매우 낙후된 상태를 면치 못했다. 청 가경 연간 청조를 뒤흔든 백련교의 반란에서 이 지역은 주된 활동무대를 제공했다. 이후에도 백련교의 전통은 기타 민간 비밀종교의 신앙과 더불어 이 지역에 강한 뿌리를 내렸다. 바로 이러한 민간 종교의 전통이야말로 '봉건미신' 조직 신병이 출현하게 된 하나의 중요한 원인을 제공했다.
    신병을 발생시킨 또 다른 원인은 극심한 자원경쟁이었다. 명청 이래로 이 지역은 토비의 약탈이 매우 빈번한 지역이었다. 성정부의 행정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교계 지대의 특성이 그러한 토비의 출현을 용이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생산에서 유리된 토비는 생존을 위해 정주 농민사회와 폭력적인 자원경쟁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1911년 제국 권력의 붕괴 후 토비의 행동은 더욱 적극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주사회의 농민으로부터 자원을 빼앗아 갔던 것은 토비 뿐만 아니었다. 1910년대 이래 무질서한 군벌 부대와 국가권력은 가혹한 세금과 징발을 통해 자원을 수취해 갔다. 농민사회는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자원요구에 대해 어떠한 형태로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유력한 수단이 바로 신병이었다.
    외부로부터의 위협은 정주 농민사회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주사회의 각 공동체들이 토비의 약탈, 국가권력의 자원요구 앞에 한편으로 해체되는 경향성(disintegration)을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 반대의 경향성 즉 연대(solidarity)를 통해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함으로써 그에 대응하고자 했던 것이다. 토비의 출현이 해체의 경향성을 대변한다면, 신병 조직은 그러한 결속력의 한 표현이었다.
    신병의 집단행동의 양태는 틸리(C. Tilly)의 용어를 빌리자면 일차적으로 '경쟁적'(competitive)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병은 단순히 토비에 대한 대결이라는 지역사회 내의 자원경쟁에 그친 것은 아니었다. 신병의 집단행동은 대부분이 반관 혹은 반군벌 투쟁이었다. 신병은 토비 방어를 위해 조직되었다가 반관투쟁으로 나아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흔히 발견된다. 결국 신병의 집단행동은 경쟁적 행위임과 동시에 '반응적' 행동의 유형을 보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틸리의 또 다른 집단행동의 유형인 능동적 내지 전향적인(proactive) 유형은 신병에게서 찾아 볼 수 없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공산 혁명운동과의 관계를 통해 접근해 보고자 했다. 사실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분석하진 않았지만, 이 지역은 빈한한 지역으로 지주와 소작인의 "계급분화"가 첨예하지 않고, 광범한 자작농이 분포하는 사회구조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한 사회구조 속에서는 지주 엘리트의 주도에 의한 수직적 충성의 구조보다는 일반 농민의 수평적 연대와 결속력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이 지역에 강하게 남아 있던 민간 비밀종교의 전통이 그러한 평민적 연대를 강화하는 도구로서 기능했다. 그러한 사회구조는 화북의 경우처럼 지주의 저항이 미약했다는 점에서 공산당의 침투를 용이하게 만드는 구조를 갖고 있었고 농민, 자위조직으로서의 신병과 공산홍군의 연합을 용이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신병이 혁명운동에 쉽게 흡수될 수 있었던 것은 홍군이 자원보호의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했다. 여기서 필자는 흔히 농민(행동)의 성격에 대한 매우 부정적 평가들을 떠올리게 된다. 즉 농민은 흔히 협애한(parochial), 지방적(local) 이익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고, 그것이 전국적이고 모두를 위한 혁명운동과는 부합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견해는 상악천검 지방 혁명가들이 농민의 그러한 협애한 지방적 이익에 적극적으로 부응함으로써 자신을 살찌워 갈 수 있었고, 농민의 경우도 그로부터 새로운 전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사실 앞에서 설득력을 잃고 만다. 홍3군은 신병들의 '보호신가'와 '보호신단'이라는 유연한 전략으로 신병에게 다가갔고, 신병은 그러한 혁명운동에 적극적으로 자신을 일치시켜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본고가 말하고자 하는 틸리식의 '전향적' 양태의 농민 집단행동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농민의 자발적 집단행동과 근대혁명운동과의 관계 양상에 관한 제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농민의 집단행동이 단순히 협애한 지방적 이해에 집착함으로써 전국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공격적인 혁명운동에 장애가 되었다는 기존의 견해에 대해 부정적이다. 본 연구의 이러한 주장은 중국혁명이 처음부터 전국성을 갖는 운동이 아니라, 지방적 차원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 지방적 성격을 갖는 혁명운동은 마찬가지로 지방적 차원의 이해가 중요했던 농민 집단행동과 쉽게 결합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농민의 집단행동도 능동적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 색인어
  • 중화민국시기, 상악천검, 신병, 자원경쟁, 혁명운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