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68&local_id=10018785
피질하 혈관성 병변 환자의 미래기억 기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피질하 혈관성 병변 환자의 미래기억 기능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현정(을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E0013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8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래기억(PM)이란 미래에 이루어야 할 의도를 기억하는 기능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위해 중요하다. 뇌 손상 환자에서 미래기억 기능에 장애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뇌혈관 질환 환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치매가 없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미래기억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검사는 환자 12명과 연령, 학력이 동등한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간의 MMSE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심리 검사결과 일부 실행 기능 및 기억력 검사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수행력이 저조하였다. 자신의 일상생활에서의 기억능력에 대하여 설문한 PRMQ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M을 측정하는 단순한 방법인 Rivermead Behavioural Memory Test 결과상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PM의 미래요소와 과거요소 수행기능을 측정하는 Memory for intentions task에서는 환자군에서 미래요소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을 볼 수 있었으나 과거요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드 개임 형식으로 PM을 측정하는 Virtual Week검사에서 두 군간에 과제별 수행력이 차이가 있었는데 시간측정 과제에서 대조군에서는 약 1/4의 반응이 정해진 시간보다 늦었지만 과제를 기억했는데 반해 환자군에서는 약 반에서 과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소견은 두 군의 수행능력 중 미래요소에 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규칙적인 과제에 비하여 불규칙적인 과제가 두 군간 수행의 차이가 더 컸으며, 동시에 두 과제를 수행하는 이중과업 상황인 시간 측정과제에서 그 차이는 더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숫자 및 그림 과제로 PM패러다임을 개발 후 기능적 뇌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 6명, 고령 대조군 및 젊은 대조군 각각 7명을 대상으로 PM수행에 관여하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환자군에서 전두엽 활성이 강해 이와 같은 소견은 적절한 과제수행을 위한 손상을 받은 뇌의 기능에 대한 보상성 과할동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 영문
  • BACKGROUND AND OBJECTIVES: Prospective memory (PM) is the ability to remember to perform intended activities in the future. Impairment of PM can be a limiting factor for daily life, including social integration. PM deficits among stroke survivors are a poorly understood contributor to disability. This study assessed PM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without dementia.

    METHODS: Twelve stroke patients and twelve controls, matched for age and education, were included for the first clinical part of the study. Background neuropsychological measures included MMSE, Trails A and B, Verbal Fluency phonemic (FAS) and semantic categories, Sustained Attention to Response Task (SART), Revised Strategy Application Test (R-SAT), Verbal Paired Associates I, II (Verbal PA), and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CVLT). PM was assessed by: the Memory for Intentions task (MIT), Virtual Week (VW), Remembering a Belonging subtest from the Rivermead Behavioural Memory Test(RBMT),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Memory Questionnaire(PRMQ). For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e have conducted functional imaging study. Six stroke patients and seven age matched elderly controls from the clinical part of the study participated. In addition, seven young controls were included. Two PM tasks, a number and a picture tasks were administered to each participant while measuring brain activity using functional MRI.

    RESULTS: Patients performed significantly poor in FAS (p=0.024), Verbal PA I (p=0.045) and CVLT T-score(p=0.002), short-delay free recall(p=0.005), long-delay free recall(p=0.002) compared to controls and made more SART commission error(p=0.01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BMT and PRMQ scores between two groups. MIT provided two measures: PM and RM components for the intentions. As a result, group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M component (p<0.01) but not in the RM component. Associative recall performance showed patients performing worse than controls (p=0.019) but an ANCOVA with associative recall as a covariate did not change the result. For VW, patients performed poorly on the time-check task compare to control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ortions of correct responses and misses were shown (p<0.01). In the case of time-check responses, about 1/4 of PM errors were late responses in the control group, and major source of errors was a failure to response in the patient group. These findings may suggest that the major difference is in the prospective component of the task; that is, in remembering some response is required when a specific time or event is encountered. Patients’ performance drop was substantially less in the repeated ‘regular’ tasks than in the non-recurring ‘irregular’ tasks. In time-check task, the drop in performance was even larger. Concurrent performance of the board game and the time-check task resulted in a divided attention situation, and this may be especially troublesome for patients.
    Over all functional MRI analysis revealed more activation in the frontal area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Areas of overactivity in these patients could infer that these regions might take over the function of damaged reg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미래기억(PM)이란 미래에 이루어야 할 의도를 기억하는 기능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위해 중요하다. 뇌 손상 환자에서 미래기억 기능에 장애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뇌혈관 질환 환자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부족하여 치매가 없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미래기억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검사는 환자 12명과 연령, 학력이 동등한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간의 MMSE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심리 검사결과 일부 실행 기능 및 기억력 검사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수행력이 저조하였다. 자신의 일상생활에서의 기억능력에 대하여 설문한 PRMQ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M을 측정하는 단순한 방법인 Rivermead Behavioural Memory Test 결과상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PM의 미래요소와 과거요소 수행기능을 측정하는 Memory for intentions task에서는 환자군에서 미래요소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을 볼 수 있었으나 과거요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드 개임 형식으로 PM을 측정하는 Virtual Week검사에서 두 군간에 과제별 수행력이 차이가 있었는데 시간측정 과제에서 대조군에서는 약 1/4의 반응이 정해진 시간보다 늦었지만 과제를 기억했는데 반해 환자군에서는 약 반에서 과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소견은 두 군의 수행능력 중 미래요소에 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규칙적인 과제에 비하여 불규칙적인 과제가 두 군간 수행의 차이가 더 컸으며, 동시에 두 과제를 수행하는 이중과업 상황인 시간 측정과제에서 그 차이는 더 두드러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숫자 및 그림 과제로 PM패러다임을 개발 후 기능적 뇌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 6명, 고령 대조군 및 젊은 대조군 각각 7명을 대상으로 PM수행에 관여하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환자군에서 전두엽 활성이 강해 이와 같은 소견은 적절한 과제수행을 위한 손상을 받은 뇌의 기능에 대한 보상성 과할동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미래기억 기능을 검사하는 복잡한 검사에서 뇌혈관 질환 환자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수행력이 저조하였다. 이와 같은 소견은 과거요소에 비하여 미래요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규칙적인 과제에 비하여 불규칙적인 과제가 환자군에서 수행력이 더 낮았으며, 동시에 두 과제를 수행하는 이중과업 상황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수행력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숫자 및 그림 과제로 미래기억 패러다임을 개발 후 기능적 뇌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미래기억수행에 관여하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환자군에서 전두엽 활성이 높았으며 이와같은 소견은 손상을 받은 뇌의 기능에 대한 보상성 과할동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방법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변형하므로 뇌병변 환자들을 대상으로 미래기억 기능을 측정하는데 사용해볼 수 있으며 미래기억 장애환자의 조기 선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타 인지영역과의 관련성을 조사하므로 환자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양질의 뇌신경 재활치료 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Prospective memory,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without dementi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Memory functions, Executive function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