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92&local_id=10012528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위기 양상의 사회생태론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위기 양상의 사회생태론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구자희(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0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위주의 산업정책이 우선시된 한국의 특수한 정치적․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생태소설에 주목하여 사회생태론적 시각의 한국적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생태론이 전제로 삼는 사회문제가 생태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는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 사회구조의 변혁(remake)이 생태위기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북친의 견해의 타당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생태소설이 단순히 환경문제만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모순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표명하여 생태문제가 인류 사회 전반과 연관되어 있음을 주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생태비평의 다층적인 논의와 시각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환경으로서의 자연을 운운하는 신비주의적 태도와 생태비평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에 대해 자연에 대한 북친의 광의의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논쟁에 종식을 가하고 보다 생산적인 생태비평적 논의를 확보하고자 함에 있다.
    그 결과 총 27편의 작품 가운데 ‘위계’(hierarchy)의 메커니즘이 생태위기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 이청의 <부러진 노를 저어저어>의 경우 ‘자유자연’(liberty nature)을 향해 가는 주인공의 자아성찰의 과정과 만날 수 있었다.나아가 대안공동체의 전망은 우한용의 <생명의 노래>를 통해 그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제 한국 생태 소설에서 사회생태론적 인식의 단초들이 다수 발견되는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북친이 제시하는 자유자연의 상태에 대한 천착이나 변증법적 이성에 대한 숙고 ,그리고 나아가 대안 공동체의 구체성 등에 대한 적절한 토의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작업은 새로운 세기의 미학적 질서로 부상되는 생태담론에 대한 창작자들의 의식을 고양하여 소재주의적이고 조야한 수준의 환경고발을 넘어서 다채로운 생태의식을 지닌 생태소설의 범람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생태론의 텔로스(telos)를 북친이 제시하는 고정된 세계로 국한하기보다는 한국적 현실에 부응하는 생태사회의 진화에 그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생태비평으로써의 사회생태론의 논의가 가중됨으로써 한국 현대 소설의 다층성이 확보되길 기대해 본다. (끝)

  • 영문
  •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how the Korean society is adopting the social-ecological point of view by examining a number of ecology novels that reflect the uniqu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Korea where the top priority has been placed on growth-oriented industrial policies ever since the 1970s. In addition, this paper confirms the validity of Murray bookchin’s idea that remaking the social structure can be a solution to the eco-crisis faced by the Korean society, by studying a series of literary productions that show social problems, the fundamental factors in social ecology, are the very cause of the eco-crisis.
    The purpose of such effort is to prove ecological problems are related to all aspects of the human society by demonstrating that ecology novels deal with not only environmental issues but also all kinds of troubles found across the human society. Despite extensive discussions of ecological critics and their ever-broadening viewpoint, some still want to remain as slaves to mysticism, considering nature simply as an equivalent of environment, while some others have skepticism about benefits of ecological critique.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designed to present Bookchin’s broad point of view on nature, thereby putting an end to unnecessary debates and clearing the way for more productive discussions as to ecological critique.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hierarchical mechanisms were the cause of eco-crises in most of the 27 novels. Lee Cheong describes in <Rowing with the Broken Oar> introspection process of the protagonist who proceeds towards liberty nature, while <Song of Life> by Woo Han Yong presents an outlook for alternative communities.
    Now that a number of signs of social-ecological perception are found in many ecology novel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tart and continue discussions in order to investigate Bookchin’s concept of liberty nature, dialectic logos, and concreteness of alternative communities. This effort is expected to also encourage writ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ecological discussions, which will be the new aesthetic order of the next century, and to go beyond simply taking environment as one of the subject matters in their stories or making weak accusation against environmental problem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prosperity of ecology novels with diverse perspectives.
    The social-ecological telos, therefore, should be sought after in the course of evolution of the ecological society in line with the reality of Korea, not in the limited world presented by Bookchin. I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alizing the unlimited potential of ecological critique by promoting social-ecological discussions, ultimately leading to increased diversity in Korean modern nove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how the Korean society is adopting the social-ecological point of view by examining a number of ecology novels that reflect the uniqu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Korea where the top priority has been placed on growth-oriented industrial policies ever since the 1970s. In addition, this paper confirms the validity of Murray bookchin’s idea that remaking the social structure can be a solution to the eco-crisis faced by the Korean society, by studying a series of literary productions that show social problems, the fundamental factors in social ecology, are the very cause of the eco-crisis.
    The purpose of such effort is to prove ecological problems are related to all aspects of the human society by demonstrating that ecology novels deal with not only environmental issues but also all kinds of troubles found across the human society. Despite extensive discussions of ecological critics and their ever-broadening viewpoint, some still want to remain as slaves to mysticism, considering nature simply as an equivalent of environment, while some others have skepticism about benefits of ecological critique.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designed to present Bookchin’s broad point of view on nature, thereby putting an end to unnecessary debates and clearing the way for more productive discussions as to ecological critique.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hierarchical mechanisms were the cause of eco-crises in most of the 27 novels. Lee Cheong describes in <Rowing with the Broken Oar> introspection process of the protagonist who proceeds towards liberty nature, while <Song of Life> by Woo Han Yong presents an outlook for alternative communities.
    Now that a number of signs of social-ecological perception are found in many ecology novel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tart and continue discussions in order to investigate Bookchin’s concept of liberty nature, dialectic logos, and concreteness of alternative communities. This effort is expected to also encourage writ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ecological discussions, which will be the new aesthetic order of the next century, and to go beyond simply taking environment as one of the subject matters in their stories or making weak accusation against environmental problem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prosperity of ecology novels with diverse perspectives.
    The social-ecological telos, therefore, should be sought after in the course of evolution of the ecological society in line with the reality of Korea, not in the limited world presented by Bookchin. I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alizing the unlimited potential of ecological critique by promoting social-ecological discussions, ultimately leading to increased diversity in Korean modern novel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목적이었던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위기 양상의 사회생태론적 조망은 생태소설이 단순히 환경문제만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전반의 모순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표명하여 생태문제가 인류전체의 문제임을 주지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사회생태론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는 27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메레이 북친이 제시하고 있는 사회생태론적 시각이 확보되는 작품으로 한정희의 <불타는 폐선>,한승원의 <황소개구리>,를 통해 관습적 이성과 타자화된 개인의 모습을 확인해 보았다. 또한 위계적인 국가의 횡포가 개인과 자연을 동시에 황폐화 시키는 모습을 <도요새에 관한 명상>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한편 변증법적 이성과 '자유자연'으로의 진화를 통해 인간이 자연의 통합성을 축소시키지 않고도 자유와 이성, 윤리의 차원을 자연에 첨가할 수 있고, 자연세계 속에 항상 잠재되어 있던 자기 성찰의 수준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청의 <부러진 노를 저어저어>에서 가늠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북친이 제시하고 있는 대안공동체의 전망은 우한용의 <생명의 노래>를 통해 가능성의 단초를 확보할 수 있었다. 결국 북친이 제시하고 있는 사회생태론의 가능성은 한국현대소설에서도 고찰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북친이 제시하는 자유자연의 상태에 대한 천착과 변증법적 이성에 대한 숙고, 나아가 대안 공동체의 구체성 등에 대한 적절한 검토와 토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연구결과의 활용은 궁극적으로 생태위기의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작용할 것이다. 즉 과거 독재정권의 독단에 의해 이루어진 산업화의 결과 피폐해진 자연과 인간은 북친이 제시하는 자유자연으로의 진화를 통해 치유가능한 윤리의식과 철학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확보된 생태윤리와 철학에 입각한 소설문학의 창작을 유도하여 한국 현대소설의 다층성을 획득할 것이다. 또한 일반 대중과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소설문학의 읽기 감상을 통해 현재 우리가 당면해 있는 생태위기의 본질을 숙고하도록하여 생태의식을 지닌 올바른 인류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Murray Bookchin , social ecology, hierarchical mechanisms ,alternative communities. liberty nature, social-ecological telo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