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417&local_id=10020580
남북한문학의 전통론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A00130 |
선정년도 |
2005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7년 08월 22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7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박사후 해외 연수 과제인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 비교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전통론이라는 문학 비평론의 관점에서 남북한 문학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첫 번째이며, Harvard Yenching Library 에 소장된 남북한 전통론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두 번 ...
박사후 해외 연수 과제인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 비교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전통론이라는 문학 비평론의 관점에서 남북한 문학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 첫 번째이며, Harvard Yenching Library 에 소장된 남북한 전통론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두 번째이다.
전통론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를 배경으로 당위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민족주의의 함의와 실현의 양상이 다양한 만큼 전통론 또한 그에 따라 다양한 시대적 담론에 부응하고 적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남한의 전통론은 2-30년대부터 시작되어 최근의 논의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와 지향점을 제시하면서 다양하게 전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 북한의 전통론은 북한정권의 기획에 따라 약간의 변용은 있었으나 정치적 요구에 부응하는 일관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보여주는 홉즈 봄의 용어에 따른다면 ‘기획되고 날조된 전통’과 다르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전통론으로서 문학적 형식인 언어와 표현의 문제에 집중하여 전통론을 비교하여 볼 수 있다. 남북한은 공통적으로 언어형식으로서의 율격론을 중시한다. 율격론에 대한 논의는 고전 시가의 율격이 현재의 문학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그 탐구의 방법은 동일하지만 전통의 현재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는 남북한은 서로 강조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남한 문학계는 음보와 음수율 등이 현대시에서 어떻게 전승되며 효과를 내는지를 강조한다면 북한에서는 과거 시가 장르의 율격이 현재의 대중 교양과 대중 선전을 위한 예술 장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정하고 계도하는 방식이다. 고려시가의 3음보와 조선 시조의 4음보가 모두 전통 율격이지만 고려시가의 3음보가 좀 더 빠르기 때문에 속도전을 표방하는 북한의 산업정책에 적합한 형식으로서 권장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조선 시조의 4음보를 배제하는 이유를 정치적 계급적 논리로서 찾아낸다는 것이다. 시조의 길이가 길고 속도가 느려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기에 부족하다는 효용적 판단에 앞서, 정치적 계급적 노리로서 시조가 양반층의 예술이므로 노동계급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은 문학적 선택이라 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문학의 자율적 발전과 예술성을 보장하는 논리일 수 없다. 이는 북한문학에서는 문학론에서 그것도 형식 논의조차도 정치적과 계급성을 우선시하는 왜곡된 양상을 보이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구성법과 묘사의 측면에서는 모두 고전문학의 성과와 현대 문학에의 효용성을 견주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문학어로서의 민족어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활용하는 문제 또한 중요한 문학형식론의 주제라 할 수 있다. 속담이나 토속어의 활용 자체가 문학의 전통성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엄밀히 말하면 표피적으로 드러나는 전통적 요소일 뿐이며 현재적 효용과 미래적 전망을 포함하는 최신의 ‘전통’의 의미라고 판단하기는 무리이다. 이러한 한계는 문학적 자생력과 문학적 표현이 보장된 남한보다는 북한 문학에서 더욱 문제적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연구 과정과 결과를 통해 두 전통론의 차이점은 극명하게 드러났으며, 공통점에 대해서도 몇 가지 항목을 찾을 수 있었다. 수사법이나 문학이론 등이 그것인데, 대표적인 것은 탁물우의(託物寓意)와 우언(寓言)이라 할 수 있다.
본 연수의 두 번째 목표인 남북한 문학 전통론에 관한 자료 수집은 몇 가지 단계를 통해 추진되었다. 먼저 연수 학교인 Harvard의 Yenching Library 가 소장한 한국 관련 자료를 일별하고 그 중 전통론 및 문학론에 관련된 자료를 가늠한 후 국내 미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외한국학 도서관으로서는 최대 규모라 불리우는 Yenching Library 의 효용성과 가치 그리고 한계를 체험할 수 있었다. Yenching Library는 2-30년대 문
-
영문
-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While writing a thesis on argument on tration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 desperately needed a break-through for Korean literature’s tradition, which seemed to be unclearly revealed. At ...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While writing a thesis on argument on tration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 desperately needed a break-through for Korean literature’s tradition, which seemed to be unclearly revealed. At that time, I recognized that the comparison with North Korean literature, another Korean literature sharing the same language would be the method to clarify tration of Korean literature. Coincidentally, 1950s and 1960s were the periods of studying national specificity represented in literature in North Korean literature. Situation has changed in the Soviet Union after Stalin's death and the proposition of "socialistic contents, racial/national forms" was proposed within international environment/situation of the Sino-Soviet conflict. All these offered North Korean regime a justification of Jaju or Juche. In literature, it was progressed to the discussion of studying national specificity was sought both in novels and poems, however, it was mostly distorted by the intention and plan of North Korean regime. However, even though it was a 'invented tradition' for mobiliz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socialist regime, a study on formal element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discussion was meaningful. This made me to change the course of my thesis to national specifici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 비교 연구는 전통론이라는 문학 비평론의 관점에서 남북한 문학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연수 기관인 Harvar Yenching Library 에 소장된 남북한 전통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적 배경이 다르고 문화적 ...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 비교 연구는 전통론이라는 문학 비평론의 관점에서 남북한 문학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연수 기관인 Harvar Yenching Library 에 소장된 남북한 전통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적 배경이 다르고 문화적 환경이 판이한 두 문학을 ‘전통론’이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이는 두 문학에서 전통의 의미가 서로 다른 함의를 가지고 쓰인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문학에서 드러나는 전통의 의미와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피고 비교하고 대조하는 연구 방법을 선택했다. 이를 위해 정치, 사회, 사상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는 전통의 의미를 살피는 방법과 문학적 언어 형식이 표현되는 방식을 비교하는 방법을 택한다.
남한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전통의 의미가 탐색되고 창작에 적용되었는데, 당대의 요구에 따라 변화한 것이기도 하고 문학내부의 자생적 요구에 의해 발생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논의의 영역과 형식이 다양하며 복잡한데 비해 북한에서는 정치권력에 의한 요구에 의해 계도되고 요구되는 방식으로서 획일적인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또 문학적 언어 형식으로서 수사법, 율격, 토속어 사용, 묘사에 대한 논의는 작품을 통해 그 실제적 적용도 살펴볼 수 있었다. 남북한 문학이 고전 문학에서 발견한 형식적 전통의 요소들을 평가하고 현재적 작품에 적용하는 방식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드러났다. 시조와 고려시가,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해석 등에서 남북한 학계의 의견 차이와 문학적 적용이 판이하게 달랐던 것이다. 북한의 문학계는 고전 작품을 평가하는 잣대로 정치적 계급적 논리를 동원하고 있었으며 그것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또한 선전 선동의 도구로서의 예술적 효용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분단 초기에는 다소 찾아볼 수 있었던 두 문학이 공유하는 문학적 서정이나 언어적 형식이 시간을 더할수록 이질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그 차이점과 공통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확인되기를 기대한다.
위의 연구과정을 통해 관련 자료들이 수집되었고 그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시킬 계획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및 활용 방안
본 연구는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을 정치사회적 배경과 문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남한의 전통론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최근의 논의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논쟁으로 부각되었으며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민 ...
연구결과 및 활용 방안
본 연구는 남북한 문학의 전통론을 정치사회적 배경과 문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남한의 전통론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최근의 논의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논쟁으로 부각되었으며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민족문학, 순수 문학, 저항 문학 등이 전통론의 다른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북한의 전통론은 북한정권의 기획에 따라 약간의 변용은 있었으나 정치적 요구에 부응하는 일관된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민족적 특성론, 주체문예, 혁명문예 등을 그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북한 정권의 정책과 선전 전략상의 요구에 따라 명칭은 다르게 명명되었으나 그 지향하는 바는 대중 선전을 위한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보여주는 홉즈 봄의 용어에 따른다면 ‘기획되고 날조된 전통’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문학적 형식인 언어와 표현의 문제에 집중하여 전통론을 비교하여 보면, 남북한은 공통적으로 언어형식으로서의 율격론을 중시하여, 고전 시가의 율격이 현재의 문학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율격론 외에 수사법, 묘사법, 토속어의 사용 등등의 문학적 형식 연구에서도 북한의 문학은 문학적 논리보다는 계급적 정치적 논리로서 문학론을 이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남북한 문학의 ‘탁물우의’와 ‘우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이는 남북한의 전통논의가 동양문학의 관점으로 확대하여 논할 수 있는 거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남북한의 비교 문학 영역뿐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배경과 그 결과를 비교하는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북한문학의 전통논의를 함께 다루는 연구로서 우리 문학 전통논의의 폭을 확대하였으며, 통일 문학사의 기술을 위한 실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 논의가 문학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사회적 문화적 명제이므로 통일 시대의 문화 통합 논의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이며 통일 교육의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색인어
남북한 문학, 전통, 전통론, 비교문학, 동양문학, 민족주의, 민족문학, 통일문학, 계급문학, 북한 정치, 홉즈봄, 운율론, 수사법, 묘사, 민족적 특성, 탁물우의, 우언, Harvard Yenching Librar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