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431&local_id=10015254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인지발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 아동의 인지발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혜원(울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25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재미교포 아동의 이중 언어사용 실태, 이중언어발달 특징, 이중언어발달능력과 인지발달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Washington 주, 즉 미서북부지역으로 LA, New York등의 한국 교포사회와 버금가는 한국 교포 사회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게 되는 내용은 비단 한국어-영어권에 거주하는 재미동포에 대한 이해를 가져다 줄 뿐 아니라 그 결과는 최근 IT 산업의 발달로 인해 급속히 세계화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내에서 취학전부터 영어를 사용하는 아동에 대한 영어 교육 등에 관한 정책과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시사점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특성의 차이가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1차 자료 분석으로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에 따른 소리지각의 발달 특성을 보고하였다.
    Washington 주립대학에 재학중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자 82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소리판단과제(Sound Similarity Judgement Task)를 통해 음절구조에 대한 지각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영어 사용자의 일음절 비단어 음운쌍 조건에서의 음운유사성 판단은 발음자의 특성이나 음절의 구조(자음+모음자음 VS. 자음모음 + 자음)의 특성에 상관없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음절 단어 음운쌍들의 음운유사성 판단과제 수행분석은 기존의 자료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인발음, 미국인 발음의 특성에 관계없이 음운쌍 간의 공유되는 음소수가 0 에서 1, 2, 3개로 많아지면 음운유사성이 높아졌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p <.000). 이러한 결과는 음소가 음운표상의 단위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존의 한국인의 한국어 소리지각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자의 경우 한국인의 소리 구조에 대한 인식과 함께 영어의 소리구조에 대한 민감성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리지각이라는 기본적인 인지과정이 언어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 선구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리의 기본 구조가 영어권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던 자음+모음자음의 구조라기 보다 자음모음 + 자음의 구조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 영문
  • This study analyzed the syllable structure of Korean and English using subjective sound similarity judgement tasks by Korean-English students in Seattle, Washington in US. 82 college students were administered with the tasks which lasted about 20 min. in a small group setting. Korean-English students showed the sensitivity for both the CV sub-syllabic unit and the CV+C. CV sub-syllabic unit is the basic structure for English and CV+C was the building block for phonetic representation in Korean. This syllabic difference of Korean and English may be one of the difficult tasks for Koreans to master Englis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pecify the mechanism that will explain the syllabic perception of both CV+C and C+VC in Korean-English bilinguals which can facilitate or interrupt them to perceive spoken languag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학생의 이중 언어사용 실태, 이중언어발달 특징, 이중언어발달능력과 인지발달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인지과정중 기초적인 소리지각에 대한 연구 1에서 Washington 주립대학에 재학중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자 82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소리판단과제(Sound Similarity Judgement Task)를 통해 음절구조에 대한 지각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영어 사용자의 일음절 비단어 음운쌍 조건에서의 음운유사성 판단은 발음자의 특성이나 음절의 구조(자음+모음자음 VS. 자음모음 + 자음)의 특성에 상관없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음절 단어 음운쌍들의 음운유사성 판단과제 수행분석은 기존의 자료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인발음, 미국인 발음의 특성에 관계없이 음운쌍 간의 공유되는 음소수가 0 에서 1, 2, 3개로 많아지면 음운유사성이 높아졌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p <.000). 이러한 결과는 음소가 음운표상의 단위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존의 한국인의 한국어 소리지각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자의 경우 한국인의 소리 구조에 대한 인식과 함께 영어의 소리구조에 대한 민감성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리지각이라는 기본적인 인지과정이 언어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 선구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리의 기본 구조가 영어권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던 자음+모음자음의 구조라기 보다 자음모음 + 자음의 구조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어-영어 사용자의 일음절 비단어 음운쌍 조건에서의 음운유사성 판단 은 발음자의 특성이나 음절의 구조(자음+모음자음 VS. 자음모음 + 자음)의 특성에 상관없이 차이가 없었다.

    표 1. cvc nonword의 한국인 발음, 미국인발음에 대한 k-e 이중언어자들의 음운판단 수행
    -------------------------------------------
    한국인 음자극(n=40) 미국인 음자극(n=36)
    c1 2.000 1.722
    c2 2.609 2.905
    v 2.317 1.944
    cc 2222 2.241
    cv 2.151 1.671 :
    vc 2.013 2.042
    cvc 2.336 2.667
    none 2.201 2.148
    ---------------------------------------------

    그러나 일음절 단어 음운쌍들의 음운유사성 판단과제 수행분석은 기존의 자료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표 2. 영어- 한국어 이중언어능력자의 한국어 일음절 음운쌍에 대한 음운유사성 수행평균(표준편차)
    ----------------------------------------------------------------------------
    음운판단자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
    -----------------------------------------------------------------
    언어특성 한국인발음 미국인 발음
    ----------------------------------------------------------------
    공유 공유 (N=40) (N=36)
    음소수 부분 F P
    -----------------------------------------------------------------------------
    3 CVC 5.833 (0.366) 5.847 (0.317) 0.031
    2 C_C 2.021 (1.065) 2.255 (1.018) 0.952
    2 _VC 3.492 (1.119) 3.051 (1.241) 2.652
    2 CV_ 3.816 (0.886) 3.357 (1.143) 3.875
    1 _V_ 1.961 (0.923) 1.185 (0.791) 15.312 P<.000
    1 ___C 0.897 (0.711) 1.023 (0.670) 0.638
    1 C__ 0.904 (0.716) 1.329 (0.806). 5.912 P<.017
    0 none 0.279 (0.556) 0.222 (0.295) 0.300
    --------------------------------------------------------------------------

    표 3. 일음절 음운쌍에서 공유 음소수에 따른 음운 유사성 판단
    --------------------------------------------------
    공유음소수 한국인 발음 미국인 발음
    --------------------------------------------------
    0 0.279 (0.556) 0.222 (0.295)
    1 1.254 (0.651) 1.179 (0.594)
    2 3.110 (0.912) 2.888 (0.961)
    3 5.833 (0.366) 5.847 (0.317)
    ------------------------------------------------

    표 3에서 한국인발음, 미국인 발음의 특성에 관계없이 음운쌍 간의 공유되는 음소수가 0 에서 1, 2, 3개로 많아지면 음운유사성이 높아졌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p <.000). 이러한 결과는 음소가 음운표상의 단위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존의 한국인의 한국어 소리지각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자의 경우 한국인의 소리 구조에 대한 인식과 함께 영어의 소리구조에 대한 민감성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리지각이라는 기본적인 인지과정이 언어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 선구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한국인과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간의 소리구조 지각의 특성이 다르다는 것은 밝혀져 왔으나 이것이 이중언어 사용자의 경우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앞으로 이중언어 환경의 유용성에 대해 본 연구와 같이 보다 과학적인 결과를 통하여 지지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 조선족 사회나 기타 자연적 이중언어 환경에 처한 한국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현지어외에도 한국어의 습득을 할 수 있는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4-7세 아동을 대상으로 수집된 이중언어 사용에 따른 통제능력, 실행능력 및 주의능력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할 것이다.
  • 색인어
  • 한국어 영어 이중언어 인지발달 소리지각 음절구조 통제능력 Korean English Bilinguals cognitive development sound perception syllable structure control abil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