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457&local_id=10027437
소득불균형, 정치성향분포 및 분배정책간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득불균형, 정치성향분포 및 분배정책간의 관계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영세(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9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79년~2005년 기간 동안 한국의 경제성장, 소득분배, 그리고 정치성향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한다. 전반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불평등이 중장기 성장을 저해한다는 증거는 약하며 단기적으로는 비유의적이기는 하나 소득불평등이 성장률 상승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1986년까지는 실질소득이 느리게 상승하는 동시에 소득분배도 악화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실질소득의 증가와 소득분배의 동반 개선이 관찰된다. 셋째, 정치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소득분배와 장기성장률 간의 관계가 다르다. 후반부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진정당의 득표율은 높아질수록 재분배정책이 강해지는 반면 보수 대비 진보 정당의 득표율은 재분배정책이나 정부규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둘째, 급진정당 득표율은 소득불평등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며 경기가 좋을수록 낮아진다. 반면 소득분배의 악화 혹은 개선 여부나 중장기 경제성장률은 급진정당의 득표율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셋째, 성장, 소득분포, 양극화 등 경제변수는 보수 대비 진보정당 득표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income inequality and political polarization for the period of 1979 to 2005 in Korea. The main results of the former part are as follows. First, income inequality promotes, though insignificant, growth in the short run but neutral in the medium or long term. Second, real income had slowly increased and inequality had deteriorated until 1986 ,while the in crease in real income has accompanied improvement of income distribution thereafter.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inequality differs according to the stage of politico-economic development. The main results of the latter part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fraction of votes radical parties obtain, the larger becomes the size of redistributive policy. Second, the higher the Gini index becomes and the lower the growth rate is, the higher the fraction of votes radical parties obtain. Third, economic variables, such as growth, inequality and polarization, turn out not to affect the political inclination or vote margin of the winning party in elec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79년~2005년 기간 동안 한국의 경제성장, 소득분배, 그리고 정치성향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한다. 전반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불평등이 중장기 성장을 저해한다는 증거는 약하며 단기적으로는 비유의적이기는 하나 소득불평등이 성장률 상승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1986년까지는 실질소득이 느리게 상승하는 동시에 소득분배도 악화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실질소득의 증가와 소득분배의 동반 개선이 관찰된다. 셋째, 정치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소득분배와 장기성장률 간의 관계가 다르다. 후반부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진정당의 득표율은 높아질수록 재분배정책이 강해지는 반면 보수 대비 진보 정당의 득표율은 재분배정책이나 정부규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둘째, 급진정당 득표율은 소득불평등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며 경기가 좋을수록 낮아진다. 반면 소득분배의 악화 혹은 개선 여부나 중장기 경제성장률은 급진정당의 득표율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셋째, 성장, 소득분포, 양극화 등 경제변수는 보수 대비 진보정당 득표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성장과 분배의 관계 규명을 토대로 경제성장 및 소득분배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나 국가경쟁력 제고의 관점에서 매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색인어
  • 경제성장, 지니계수, 쿠즈네츠곡선, 양극화, 정치성향, 선거득표율, 재분배정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