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472&local_id=10020456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및 웹기반 검사 시스템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및 웹기반 검사 시스템 개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윤옥(상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학교 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웹상에서 검사 도구를 구현함에 있다.
    본 연구는 세 개의 하위 연구로 구성되며, 각 하위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추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문항 개발 및 방향 모색을 위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고 합의를 이끄는 델파이 기법과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는 66문항으로 중학교는 64문항으로 구안되었으며, 교정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1차적으로 간이검사를 실시하여 자기주도학습 검사를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2차로 수정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위한 연구 실시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및 중학교 2, 3학년 재학 학생이고, 연구 실시 대상 지역은 서울(대도시), 경기(중소도시), 충청지역(읍면지역)으로 각 2개교씩의 학교를 선정하였다. 표집된 학교마다 성별, 학년별로 2개 학급씩 선정하여 학급단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5, 6학년 학생 752명과 중학교의 경우 2, 3학년 학생 764명의 대상자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조사 자료를 기술통계, 신뢰도, 문항-총점 간 상관, 탐색적 요인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용은 6개 요인(자율적 학습전략 및 메타인지,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성취동기, 가정환경적 지원, 학교환경적 지원)이 추출되었으며 문항은 32개로, 중학교용은 7개 요인(가정 및 학교환경적 지원, 학습동기, 성취동기, 메타인지, 성취동기, 자율적 학습전략, 긍정적 자아개념, 주도적 학습능력)이 추출되었고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완성되었다.
    둘째,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1,169명과 중학교 2, 3학년 1,20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다시 실시하는 방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적합도지수전체모형의 적합도에서 χ2?忖穉〈? 크게 나타났으나 GFI(.908), CFI(.911), RMR(.047), TLI(.904)지수에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적합도 지수들이 양호하게 나타남에 따라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6요인 모형은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전체 모형의 적합도에서 χ2/df를 제외한 GFI(.913), CFI(.919), RMR(.048), TLI(.910)지수에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7요인 모형은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울, 경기, 충청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649명과 중학교 2, 3학년 53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외적으로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준거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준거변인들에 대한 설명력이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와 수업이해, 자율학습 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자기주도학습 지각도가 수업이해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용에서는 수업이해도가 전체적으로 48%를, 자율학습효율성은 42%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용에서는 수업이해도가 전체적으로 44%를, 자율학습효율성은 39%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이해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용에서 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는 .67로서 두 집단을 잘 구분하고 있으며, 중학교용에서 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는 .65로서 두 집단을 잘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를 구현하여 웹상에서 대상 학생이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하여 스스로 자신의 자기주도학습 상태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한정된 기존의 일방적 지필검사 방식과 달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웹의 접속을 통하여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검사 시스템은 검사의 결과를 즉시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계화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develop an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SDLPI) for higher grade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school students, develop and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nd 3)develope the Web-based test system.
    In or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SDLPI, then defined the concept of SDLPI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And then, for the delphi study, experts in education were to obtain consensus views on SDLPI develop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ists of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the expert community were checked for consens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re-test were developed 8 factors with 66 items for higher grade at elementary school and were developed 8 factors with 64 items for middle school. The Subjects were 752, who were 5th and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and were 764, who were 2nd and 3rd grade student's from middle school in Seoul, Gyeonggido, Chungchongd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produced 6 factors(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utonomous learning strategy and meta-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home environment support, school environment support) with 32 items for higher grade at elementary school. SDLPI for Middle School was produced 7 factors(home and school environment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achievement motivation, autonomous learning strategy, positive self-concept) with 33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 and during from September to Febrary. The respondents were consisted of 1,169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and 1,202 second and third graders at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components was the b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GFI, TLI, CFI>.90, PMR<.05) for higher grade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Hence it was proved that SDLPI was valid and reliable. The scale has internal concurrence, concurren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constructive validity and discriminability enough to be a tool for measurement.
    Third, study is to provide with students Web-based SDLPI so that they take interest in SDLPI and have the test conveniently at any time and in any place. Accordingly this research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DLPI system using web.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학교 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웹상에서 검사 도구를 구현함에 있다.
    본 연구는 세 개의 하위 연구로 구성되며, 각 하위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추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문항 개발 및 방향 모색을 위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고 합의를 이끄는 델파이 기법과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는 66문항으로 중학교는 64문항으로 구안되었으며, 교정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1차적으로 간이검사를 실시하여 자기주도학습 검사를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2차로 수정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위한 연구 실시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및 중학교 2, 3학년 재학 학생이고, 연구 실시 대상 지역은 서울(대도시), 경기(중소도시), 충청지역(읍면지역)으로 각 2개교씩의 학교를 선정하였다. 표집된 학교마다 성별, 학년별로 2개 학급씩 선정하여 학급단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5, 6학년 학생 752명과 중학교의 경우 2, 3학년 학생 764명의 대상자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조사 자료를 기술통계, 신뢰도, 문항-총점 간 상관, 탐색적 요인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용은 6개 요인(자율적 학습전략 및 메타인지,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성취동기, 가정환경적 지원, 학교환경적 지원)이 추출되었으며 문항은 32개로, 중학교용은 7개 요인(가정 및 학교환경적 지원, 학습동기, 성취동기, 메타인지, 성취동기, 자율적 학습전략, 긍정적 자아개념, 주도적 학습능력)이 추출되었고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완성되었다.
    둘째,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1,169명과 중학교 2, 3학년 1,20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다시 실시하는 방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적합도지수전체모형의 적합도에서 χ2?忖穉〈? 크게 나타났으나 GFI(.908), CFI(.911), RMR(.047), TLI(.904)지수에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적합도 지수들이 양호하게 나타남에 따라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6요인 모형은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전체 모형의 적합도에서 χ2/df를 제외한 GFI(.913), CFI(.919), RMR(.048), TLI(.910)지수에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7요인 모형은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울, 경기, 충청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649명과 중학교 2, 3학년 53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외적으로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준거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준거변인들에 대한 설명력이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와 수업이해, 자율학습 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자기주도학습 지각도가 수업이해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용에서는 수업이해도가 전체적으로 48%를, 자율학습효율성은 42%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용에서는 수업이해도가 전체적으로 44%를, 자율학습효율성은 39%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이해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용에서 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는 .67로서 두 집단을 잘 구분하고 있으며, 중학교용에서 판별함수의 정준상관계수는 .65로서 두 집단을 잘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를 구현하여 웹상에서 대상 학생이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하여 스스로 자신의 자기주도학습 상태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한정된 기존의 일방적 지필검사 방식과 달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웹의 접속을 통하여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검사 시스템은 검사의 결과를 즉시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계화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세 개의 하위 연구로 구성되며, 각 하위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추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 기법,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는 66문항으로 중학교는 64문항으로 구안되었으며, 교정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5, 6학년 752명을, 중학교의 경우 2, 3학년 학생 764명의 대상자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조사 자료를 기술통계, 신뢰도, 문항-총점 간 상관, 탐색적 요인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용은 6개 요인(자율적 학습전략 및 메타인지,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성취동기, 가정환경적 지원, 학교환경적 지원)이 추출되었으며 문항은 32개로, 중학교용은 7개 요인(가정 및 학교환경적 지원, 학습동기, 성취동기, 메타인지, 성취동기, 자율적 학습전략, 긍정적 자아개념, 주도적 학습능력)이 추출되었고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완성되었다.
    둘째,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1,169명과 중학교 2, 3학년 1,20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다시 실시하는 방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에서 χ2?수치는 크게 나타났으나 GFI, CFI, RMR, TLI지수에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추출한 6개 요인구조의 타당성과 중학교에서 추출한 7개 요인구조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또한 서울, 경기, 충청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649명과 중학교 2, 3학년 53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가 외적으로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준거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서도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를 구현하여 웹상에서 대상 학생이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하여 스스로 자신의 자기주도학습 상태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중학생들에게 적합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타당화하며, 웹기반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활용을 가져 올 것을 기대한다.
    첫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지각도를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함으로 자기주도학습과정에 관한 총체적 이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될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지각 수준에 관한 실태에 대한 분석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통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통하여 앎의 주체로서 또한 탐구하는 활동자로서의 학습자를 새롭게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섯째,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의 장을 On-Line 상에 구현함으로써 검사 도구 접근성을 높여 연구 결과의 보급, 확장에 기여함은 물론 관련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On-Line화를 촉진케 될 것이다.
    또한 Web 기반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검사의 장을 On-Line화 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교사, 부모, 학생 모두에게 수월한 접근과 효율적 평가를 가능케 하여 그 활용 빈도를 극대화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일조케 될 것이다.
  • 색인어
  •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초등학생, 확인적 요인분석, 델파이 조사, 타당도, 웹기반 검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