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497&local_id=10016561
부-아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이 불안애착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 및 부-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부-아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이 불안애착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 및 부-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영숙(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C0005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부-자녀관계 증진을 위해서 중요한 요인이 되는 애착형성과 대상관계에 초점을 둔 Proulx(2003)의 미술치료(Strengthening Emotional Ties Parent-child dyad art therapy: PCDAT)를 번안한 후 본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여 만 4-5세의 애착장애 유아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16회기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애착장애 유아와 아버지의 관계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구체적인 변인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과 부-자녀관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부-자녀 7쌍을 대상으로 주 1회 100분, 8주에 걸쳐 16회기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사전, 사후 t-test와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와 관련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자기조절력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조절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공감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버지의 공감능력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의 공감능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자녀관계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부-자녀관계 상호작용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자녀관계 상호작용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 부-자녀관계 긍정적으로 변화되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입증하게 되었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revises and complements the Strengthening Emotional Ties Parent-Child Dyad Art therapy: PCDAT, an art therapy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attachment and object relations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in promoting the parent-and-children relationship, and carries out a 16-session group program with 4-5-year-old children with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father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present program works positively for the promo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ith attachment disorder and their fathers, the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centering on such variables as children’s self-regulation, fathers’ empathy and father-child interactions.
    The study carries out a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which consists of 16 sessions, each lasting for 100 minutes over 8 weeks with an experiment group of 7 father-child pairs. In addition, the study carries out pre and post tests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with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children’s self-regulatio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children’s self-regulation positively. More specifical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carried out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self-regul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fathers’ empathy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fathers’ empathy positively. More specifical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carried out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fathers’ empathy.
    Thir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father-and-child interactio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anging father-and-child interactions positively. More specifically, the experiment group which carried out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father-and-child interactions.
    In conclusion, the father-and-child relationship promoting art therapy program is found effective in positively changing children’s self-regulation, fathers’ empathy and father-and-child rel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부-자녀관계 증진을 위해 중요한 요인인 애착형성과 대상관계에 초점을 둔 Proulx(2003)의 미술치료를 번안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만4-5세의 자녀를 둔 아버지와 애착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16회기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구체적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과 상호작용의 변화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설계이며, 연구대상은 만4-5세 14명과 아버지 14명이며, 실험집단 아버지와 자녀 7쌍과 통제집단 아버지와 자녀 7쌍이다.
    본 연구는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 상호작용이 증가되어 결국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이는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게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자기조절력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공감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버지의 공감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자녀관계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상호작용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버지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버지 자신이 자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유아는 수용된다는 느낌을 가지고 주도적이고 독립적으로 활동하려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므로 일반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아버지 교육에 있어 이론과 실제적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부-자녀관계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 유아의 자기조절력, 부의 공감능력, 부-자녀 상호작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