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71&local_id=10015169
러시아 정당 발전의 다변수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러시아 정당 발전의 다변수 분석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진숙(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1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프로젝트는 이행기 사회에서 정당이념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라는 문제를 제기하며 러시아의 세 개 정당을 사례로 하여 이행기 정당의 이념적 성격이 어떤 변수들을 통하여 형성, 또는 억제되는가를 고찰하였다. 분석대상으로서는 이념적 스펙트럼의 두 축을 대표하였던 러시아공산당과 야블로코 외에, 90년대 후반 이후로 영향력을 강화하며 러시아정당체제의 근본적인 성격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는 러시아 권력당, ?통일러시아?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정당사회학 이론들이 이행기사회의 정당이념 형성과정의 설명에 있어 직접 적용되기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신제도주의적 이론을 주요 접근방법으로 택하였다. 특히 이 프로젝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는 행위자의 전략적이며 합목적적인 행위가 제도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특히 이행기사회의 분석에 큰 강점을 갖는다. 이러한 신제도주의에 입각하여 본 프로젝트는 정당생성사, 정당 내 분파 간 상호작용의 형태, 행정권력 접근성 및 정당경쟁체제라는 네 가지 변수에 의거하여 세 정당의 정당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는 세 정당이 상당히 다른 형태의 정당형성경로를 걷고 있으며 특히 정당이념의 형성과정은 극히 유동적이고 동태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과정은 러시아 정당체제가 어느 정도 제도화되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Neo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Russian party system

    This paper responds to weaknesses in the dissertation, which deals with the topic of a party programmatic constitution in Russia. Specifically, it addresses the problem of the dissertation?s failure to adequately explain the current developments in the Russian party system, including the phenomenon of the party of power because of the limited research objects and variables. Therefore, this project includes one more party besides the two analysed parties in the dissertation and one more variable ? approach to administrative resources. These additions are intended to not only provide a more exact analysis of the current developments since 2003, but also introduce more theoretical complexity through the combined analysis with neoinstitutionalism. These results can then be generalized to apply to transitional societies.
    This project deals with the topic of how a party programmatic system is constituted and tries to explain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arty programmatic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three Russian parties. As the additional research object?besides the Russian Communist Party and Jabloko, which have represented the two ideological counterparts in the Russian partisan spectrum?the party of power 'United Russia' is also analysed as a new and important factor that is significantly changing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Russian party system.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arty program is analysed through four variables, including party genesis, form of interaction between intraparty factions, approach to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interparty competition strategy. The four variables are chosen from the aspect of neoinstitutionalism, which considers party programming as an institution in the forming process, in which the actor is not only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 but also constitutes the institution . The rational, strategic and goal-oriented behavior of the actors is, therefo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ructive factors in institutionalization. This theoretical viewpoint is especially useful in the analysis of transitional societies, where actors constitute new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e different approaches to development between the three parties and, in particular, the dynamic and unstable character of a programmatic constitution. The Russian Communist Party, formed as a relatively strong ideology-oriented party, is transforming to a catch-all party with a wide interpretative programmatic system. Jabloko was an elite party with a broad ideological orientation and a loose organization but it has acquired more of an ideological character since the middle of the 90s. The two parties share a commonality in that they have maintained their ideologic profile. In contrast to these two parties, a United Russia has the possibility to mobilize material and personal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therefore, has more of the character of a patronage party. The complex and dynamic character of party building might be main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ussian party system. This is even more likely if a party with strong administrative support like United Russia dominates the Russian party system more and more, as it would be more apt to stay a long period,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the authoritative political culture in Russi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verifies not only the hypotheses of the project but also the usefulness of the neoinstitutional analysis-model to be used in a transitional society like Russia.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arties can be analysed,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the strategic behavior of the main ac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러시아 정당발전을 두 개의 정당을 대상으로 하여 다섯 가지 변수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던 박사논문이 최근 러시아 정당 체계의 변동과 성격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한계를 갖는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변수 및 분석대상을 확대 또는 변화하여 러시아 정당형성을 보다 적확하게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러시아공산당과 야블로코 외에 90년대 후반 이후로 영향력을 강화하며 러시아정당체제의 근본적인 성격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는 러시아 권력당, 통일러시아를 분석에 추가하였고 정당의 성격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행정권력에 대한 접근성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분석은 러시아공산당, 야블로코와 통일러시아라는 세 당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정당생성사, 정당 내 분파간 상호작용의 형태, 행정권력 접근성 및 정당경쟁체제라는 네 변수에 의거하여 고찰되었다.
    분석 결과는 세 정당이 상당히 다른 형태의 형성경로를 걷고 있으며 이 과정은 극히 유동적이고 동태적임을 보여준다. 즉, 러시아공산당은 이념적 성격이 강한 정당으로 출발하였으나 합의형 당내 분파간 상호작용 및 중도적인 행정권력 접근성에 의해 비교적 보편적으로 해석가능한 이념적 지향성을 갖는 정당으로 변화하고 있는 반면 야블로코는 이념적 성격이 애매한 엘리트정당으로 출범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이념적 성격을 강화하였다. 이 두 정당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이념적 성격을 갖는 정당으로 이행하고 있는 반면 통일러시아는 행정권력 접근성이 가장 높으며 따라서 이념을 통한 정체성 형성보다는 행정자원 동원을 통해 정당을 형성하는 후원자 정당의 성격을 강하게 갖는다. 이러한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과정은 러시아 정당체제가 어느 정도 제도화되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인다. 첫째로, 본 연구결과는 이행기 사회에서 정당은 어떻게 형성되며 특히 정당이념은 어떤 경우에 어떤 변수를 통하여 형성되는가라는 이론적인 문제를 다룬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러시아라는 구체적인 한 국가에서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동유럽, 남미 등, 소위 이행기의 후발 민주주의국가들의 정당 및 정당체계분석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러시아 지역연구를 비교정치적 관점과 결합시키고 보다 보편적인 이론적 관점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 러시아 정당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적 연구성과이며 러시아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 러시아 정치체제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러시아권력당에 대한 연구성과는 러시아 체제이행 및 정당형성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인은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향후 학술지 및 러시아에 관련한 단행본 등 다양한 형태의 출판물을 통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러시아, 정당, 이행기, 러시아공산당, 권력당, 야블로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