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581&local_id=10013226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과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과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덕기(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12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지역농업의 특성화를 위하여 지역별 특화품목에 대해 생산에서 수출까지 전 과 정에서 농가 또는 농협, 농업법인체가 필요로 하는 기술, 경영, 정보 등을 유기적으로 연구ㆍ지도 및 컨설팅함으로써 경쟁력있는 농산업의 육성ㆍ발전이 요구됨.
    ❍ 지역농업클러스터는 농업인과 농기업체 그리고 학계와 연구기관 및 행정기관 등이 서로 긴밀히 연계된 조직체로서 지역농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지역의 자율성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추진하는 점에서 농림부, 농업인단체 등 농업계의 관심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 본 연구과제의 필요성이 제기됨.
    ❍ 따라서 광역 농산업 클러스터사업의 강화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으로 본 연구는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개선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음.
    ❍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친환경 쌀 클러스터 사업이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과제를 도출하기위해, 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요인, 가공제조요인, 유통ㆍ판매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함.
    ❍ 조사농가는 강진 46농가, 보성 40농가, 고흥 30농가, 순천 37농가로 합계 153 농가를 분석대상으로 함.
    ❍ 설문지는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조성, 가공ㆍ제조, 유통ㆍ판매분야에 대한 영향력과 추진과제 중요도 (5점 Likert척도),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으로 작성하였음.
    ❍ 앙케이트 조사를 근거로 사회조사 통계패키지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함.
    ❍ 17변수에 대해 친환경 쌀 클러스터사업이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음.
    ❍ 아이겐 값(Eigen Value)은 1이상인 요인을 기준으로 요인 1(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요인), 요인 2(가공‧제조요인), 요인 3(유통‧판매요인)으로 각각 명명하였음. 이들 각 요인의 설명력은 전체분산의 27.3%, 26.0%, 21.7%로 누적분산율은 75.0%이므로 독립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높다고 볼 수 있음.
    ❍ 모든 회귀계수들은 요인 3을 제외하고 요인 1, 요인 2는 유의확률이 0.001보다 작으므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검정 결과는 24.963으로서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음. 표준화계수를 보면 3개 독립변수들의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요인 1(.461), 요인 2(.337),요인 3(.091)순으로 3개의 요인 모두 정(正)의 방향으 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독립변인인 3개 요인은 종속변인인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체변량의 33.4%를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모형에 대한 잔차분석을 한 결과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모든 회귀계수들은 유의확률이 0.001보다 작으므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검정 결과는 22.156으로서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음. 표준화계수를 보면 3개의 독립변수들의 친환경 쌀 클러스터추진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요인 1(.386), 요인 2(.365), 요인 3(.163)순으로 3개의 요인 모두 정(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개선과제에 있어서 농가들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항목 순으로는 네트워킹구축면에서는 현장지도/컨설팅교육(81.7%), 생산기반조성면에서는 가격경쟁력확보(89.5%), 친환경농법에 적합한 품종개발(88.9%), 가공‧제조면에서 부가가치 높은 신상품개발(81.0%), 유통‧판매면에서 홍보매체개발(70.3%)이 높게 나타남.
    ❍ 개선과제로는 친환경농법에 적합한 품종개발과 가격‧품질 경쟁력확보를 무엇보다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것이 응축된 새로운 부가가치상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됨.
    ❍ 친환경 쌀 클러스터 사업 중요한 개선과제로서는 생산기반이나 네트워크 구축을 보다 중시한 반면, 소비자들에 안심ㆍ안전성을 어필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농교류나 관광자원화, 인터넷 등 정보관련분야, 생산‧유통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에 대한 중요도는 다소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 소극적인 면을 읽을 수 있음. 향후 이러한 점은 농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영문
  • It is expected that a regional agriculture cluster, which incorporates farmers, agri incorporations, administr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would be a key for renovation of a regional agriculture. In recent, interest in a regional agriculture cluster in agricultural area including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groups increases by guaranteeing a regional independency.
    Therefor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a pro-environmental rice cluster on a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To study the effects of a pro-environmental rice cluster on a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tal 153 farms were selected for analysis: 46 farms from Kangjin, 40 from Bosung, 30 from Koheng, and 37 farms from Sunche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hich wa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They included questions on networking and construction of a production infrastructure, questions on process and manufacture, questions on an influence to marketing and sales, questions on tasks on progress (Likert scales), and socio-demographics.
    Based on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ANOV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using SPSS 12.0.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on 17 variables to investigate effects of a pro-environmental rice cluster on a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Eigen values more than 1 were named factor1(networking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 factor2(process manufacture), and factor3(marketing and sales), respectively. Overall, those factors toward independent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shown that regression estimates of factor1 and factor2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α= 0.01 level. The estimated mode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zero at α= 0.01 significance level, as indicated by its F statistics with 24.963. Standardized estimates indicated that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a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actor 1(.461), factor 2(.337), and factor 3(.091).
    Three independent factors explained 33.4% of with respect to effects on a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residual analysis was proper.
    All regression estim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α= 0.01 level. The estimated mode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zero at α= 0.01 significance level, as indicated by its F statistics with 22.156. Standardized estimates showed that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satisfaction of a pro-environmental rice cluster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actor1(.386), factor2(.365), and factor3(.163).
    In terms of problems to solve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farmers are as follows: a field guidance/consulting in networking construction (81.7%), a price competition in production infrastructure formation (89.5%), a development of new species suited to pro-environmental agricultural practices (88.9%), a development of new value-added commodity in process and manufacture (81.0%), and a development of a medium of a public relation in marketing and sales (81.0%), respectively.
    The study presented that a development of new species suited for pro-environment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were important elements. This suggests that a development of new value-added commodities should be accomplished.
    The study demonstrated that while constructions for a production infrastructure and network were important parts for future success of a pro-environmental rice cluster, an exchang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and tourist attractions, an area related to information, and an introduction of production and marketing trace system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지역농업클러스터는 농업인과 농기업체 그리고 학계와 연구기관 및 행정기관 등이 서로 긴밀히 연계된 조직체로서 지역농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지역의 자율성을 최대 한 확보하면서 추진하는 점에서 농림부, 농업인단체 등 농업계의 관심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 본 연구과제의 필요성이 제기됨.
    ❍ 따라서 광역 농산업 클러스터사업의 강화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으로 본 연구는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개선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음.

    2. 연구의 내용
    ❍ 연구모형과 같이 3개 분야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친환경 쌀 클러스터 사업이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요인, 가공제조 요인, 유통ㆍ판매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함.
    ❍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쌀 클러스터의 개선과제.

    3.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 조사농가는 강진 46농가, 보성 40농가, 고흥 30농가, 순천 37농가로 합계 153농가를 분석대상으로 함.
    ❍ 대별하면 친환경 쌀 클러스터 참여농가 대상 설문조사와 산ㆍ학ㆍ관 관계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 및 담당자 그리고 문헌조사를 실시함.
    ❍ 설문지는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조성, 가공ㆍ제조, 유통ㆍ판매분야에 대한 영향력과 추진과제 중요도 (5점Likert척도),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으로 작성하였음.
    ❍ 앙케이트 조사를 근거로 사회조사 통계패키지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함.

    4. 자료분석 및 결과해석
    ❍ 17변수에 대해 친환경 쌀 클러스터사업이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음.
    ❍ 아이겐 값(Eigen Value)은 1이상인 요인을 기준으로 요인 1(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요인), 요인 2(가공‧제조요인), 요인 3(유통‧판매요인)으로 각각 명명하였음. 이들 각 요인의 설명력은 전체분산의 27.3%, 26.0%, 21.7%로 누적분산율은 75.0%이므로 독립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높다고 볼 수 있음.
    ❍ 모든 회귀계수들은 요인 3을 제외하고 요인 1, 요인 2는 유의확률이 0.001보다 작으므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검정 결과는 24.963으로서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음. 표준화계수를 보면 3개 독립변수들의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요인 1(.461), 요인 2(.337),요인 3(.091)순으로 3개의 요인 모두 정(正)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독립변인인 3개 요인은 종속변인인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체 변량의 33.4%를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모형에 대한 잔차분석을 한 결과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개선과제에 있어서 농가들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항목 순으로는 네트워킹구축면에서는 현장지도/컨설팅교육(81.7%), 생산기반조성면에서는 가격경쟁력확보(89.5%), 친환경농법에 적합한 품종개발(88.9%), 가공‧제조면에서 부가가치 높은 신상품개발(81.0%), 유통‧판매면에서 홍보매체개발(70.3%)이 높게 나타남.

    5. 과제 및 시사점
    ❍ 농가들의 의식을 종합해보면, 친환경 쌀 클러스터 사업의 개선과제로는 친환경농법에 적합한 품종개발과 가격‧품질 경쟁력확보를 무엇보다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것이 응축된 새로운 부가가치상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됨.
    ❍ 친환경 쌀 클러스터 사업 중요한 개선과제로서는 언급한 바와 같이 생 산기반이나 네트워크 구축을 보다 중시한 반면, 소비자들에 안심ㆍ안전 성을 어필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농교류나 관광자원화, 인터넷 등 정보관련분야, 생산‧유통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에 대한 중요도는 다소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 소극적인 면을 읽을 수 있음. 향후 이러한 점은 농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친환경 쌀 클러스사업이 지역농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네트 워킹 및 생산기반조성, 가공ㆍ제조, 유통ㆍ판매 순으로 나타났는데, 지역 농업이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통ㆍ판매에 대한 영향력을 제고하는 방안 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농림부로 부터 친환경 쌀 클러스터 전남, 경남 2개 지역이 선정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은 제외하고 전남지역 중심으로 연구를 하게 되어 한 지역에 국한된 영향 및 개선과 제의 도출이라는 한계점이 있으나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는 2007년 그 성과에 대한 비교분석하는 자료로 활용이 기대됨.
    ❍ 친환경 쌀 클러스터가 지역농업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과제를 명확히 제시.
    ❍ 지역농산업의 잠재력과 핵심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지역농업클러스터 구축을 효율적 추진자료로 활용기대.
    ❍ 산ㆍ학ㆍ관 연계를 더욱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운영으로 국가균형발전정책과 조화로운 농정으로 지자체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 수립에 활용.
    ❍ 지역농업 클러스터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클러스터 모델 정립, 구체적인 사업계획 및 지방농정 활성화 방안 모색에 활용.
    ❍ 친환경 쌀 클러스터 활성화에 미치는 농가들의 의식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책에 반영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 2개 지역(전남, 경남)이 거의 동일한 배경과 필요성에 의해 친환경 쌀 클러스터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산ㆍ학ㆍ관 연계로의 정책추진이 원활할 수 있어 전국 친환경 쌀 생산농가나 단체의 모델정립에 활용이 기대되고, 향후, 같은 품목에 대한 타 지역 농업클러스터와의 비교연구자료로 활용.
  • 색인어
  • 친환경 쌀 클러스터, 지역농업활성화, 영향, 개선과제, 지역농업클러스터, 네트워킹 및 생산기반요인, 가공‧제조요인, 유통‧판매요인, 요인분석, 회귀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