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615&local_id=10027413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용민(국립목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복지거버넌스의 개념은 결국 사회정책의 지방화와 지역단위 중심적 조직화의 구체적 형태로 발전이 가능하며, 복지서비스의 통합적, 다차원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복지서비스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사회자본형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즉 사회자본 변수로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가 복지거버넌스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하며, 이러한 사회자본 형성을 위해서 구체적인 대안마련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에 관한 결과를 해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의 학력수준과 전문자격증 소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 변수 중 신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측정되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지역사회주민에 대한 신뢰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신뢰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지역사회주민과 지역사회의 규범준수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민들 간의 의사소통, 사회복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정보공유, 지역사회의 의사소통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민의 자원봉사 참여와 지역사회의 집단의사 반영정도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일곱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요지도자들의 상호협력과 지역사회의 상호협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 변수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이 복지거버넌스에 대해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은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사회자본 변수인 신뢰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회자본 변수인 규범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사회자본 변수인 네트워크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자본 변수인 참여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사회복지기관 유형과 사회복지사 자격여부에 따라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일차적 집단을 중심으로 한 신뢰관계를 이차적 집단을 중심으로 한 신뢰관계로 전환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사회자본과 효과적인 복지거버넌스의 기초가 되는 사회구성원의 협동은 신뢰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둘째,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전체가 규범을 준수할 수 있도록 감시와 비판 그리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네트워크의 구축은 복지거버넌스을 형성하는데 핵심요소라 할 수 있다.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우선 고려하여야 할 것은 의사소통의 채널을 공식화하는 것이다. 넷째,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지역주민의 적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 영문

  • The social capital to establish local community's welfare governance will be mainly discuss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ings will be discussed: The influence of trust, norm, network and participation with the social capital vari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governance and specific alternatives to form the social capital.
    It is expected that strategies discussed in this study to establish local community's welfare governance, will provide the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overall development of welfare in local commun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복지거버넌스의 개념은 결국 사회정책의 지방화와 지역단위 중심적 조직화의 구체적 형태로 발전이 가능하며, 복지서비스의 통합적, 다차원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복지서비스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사회자본형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즉 사회자본 변수로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가 복지거버넌스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하며, 이러한 사회자본 형성을 위해서 구체적인 대안마련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가 복지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향의 정도는 신뢰가 가장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네트워크, 참여, 규범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신뢰구축과 규범준수, 네트워크 형성, 참여촉진에 관한 지역사회의 대안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에 관한 결과를 해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의 학력수준과 전문자격증 소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 변수 중 신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측정되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지역사회주민에 대한 신뢰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신뢰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지역사회주민과 지역사회의 규범준수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민들 간의 의사소통, 사회복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정보공유, 지역사회의 의사소통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민의 자원봉사 참여와 지역사회의 집단의사 반영정도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일곱째, 사회복지기관의 직원들은 주요지도자들의 상호협력과 지역사회의 상호협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 변수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이 복지거버넌스에 대해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은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사회자본 변수인 신뢰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회자본 변수인 규범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사회자본 변수인 네트워크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자본 변수인 참여의 경우 복지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사회복지기관 유형과 사회복지사 자격여부에 따라 사회자본과 복지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복지거버넌스 구축전략은 지역사회의 총체적 복지발전을 위한 거시적 기본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거버넌스, 복지거버넌스, 사회자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