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635&local_id=10013029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배영주(청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7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며 통제한다고 하는 자기주도학습의 아이디어는 성인교육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였다. 1960년대부터 성인교육 분야에서 주목받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아동의 학교교육 분야에까지 확대되었다. 지식기반사회니 평생학습시대니 하는 최근의 숨가쁜 사회 변화가 성인과 마찬가지로 아동에게도 스스로 학습을 통제하며 주도할 것을 요청하게 된 것이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맥락에서 성인교육 분야에서 포착된 자기주도학습을 아동의 학교교육 분야에 적용,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꾀하려는 시도에서 착수된 것이다. 이미 여러 연구들이 아동의 학교교육에서도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하며 중요하다는 주장을 여러 차례 내놓았지만, 과연 아동의 학교 교육 사태에서 자기주도학습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방향을제시하지 못한 채, 성인교육의 장에서 포착된 결과 혹은 전략들을 무차별적으로 이식하려는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아직까지 분명하게 정리되지 못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그 과정적 조건들을 분명하게 해명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의 의미를 최대한 학교에 구현할 수 있도록 기본 틀을 마련하는 작업을 추진하였고, 둘째,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학습 양상을 사례 연구르 통하여 추적함으로서 학교 학습사태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삼아 학교에 적용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의 실천 모형을 개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은 학교 밖에서 독학의 형태로 진행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소극적인 자기주도에 그칠 수밖에 없으나, 그 깊이와 효과, 즉 체험성에 있어서는 다른 상황에서의 자기주도와 비교할 수 없는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자기주도학습은 학교 학습 사태 뿐 아니라 여러 다양한 학습 사태에 확장, 적용됨으로서 그 이론적 범주를 계속적으로 넓혀나갈 필요가 있다.
  • 영문
  • Since 1960's,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orginally intended for adult learning which performed voluntarily outside of school. But self-directed learning does not have to be performed only by adult learners. Inquiring into the truth of the matter, all forms of learning include the dimension of self-directedness.
    In this respect, it is agreeable for some scholars to make their efforts to extended self-directed learning's domains including school learning of children. Self-directed learning even seems to be a matter of concern in school reform. But it is still ambiguous for it which has taken hold of in adult learning situation to have applicability in children's school learning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meaning and condi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taken hold of in adult learning situation clear,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school learning or the conditions of self-driected school learning, and to develope self-directed learning model for school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Children can be considered having the potential to do self-directed learning. But children's potential can be actualized in case some conditions of self-directed school learning be satisfied. Many factors of circumstances have an influence on the actualiztion of self-directed school learning. The discourse of self-directed learning needs to go beyond adult learning and child school learning, and to extend to many other forms of learn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자기주도학습은 최근, 성인교육 분야에서 등장하여 교육계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개념 중 하나이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주도하며 관리, 통제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평생학습사회',' 지식기반사회' 등 최근의 숨가쁜 사회변화 흐름에 부합될 새로운 학습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아동의 학교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 연구는 성인 교육 분야에서 등장한 자기주도학습을 아동의 학교 학습 사태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동안 아동의 학교 교육 분야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지적되었고, 그것을 위한 몇 가지 전략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그들 대부분은 성인교육 분야에서 논의된 바를 거의 그대로 아동의 학습 사태에 옮겨놓는 시도에 그치고 말았다. 자연히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혼란과 부담감을 아동의 학교 교육 사태에 초래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성인교육 분야에서 형성된 자기주도학습론을 정교하게 검토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조건을 분명히 드러내고, 그것을 아동의 학교 학습 사태의 특성을 반영하는 방향에서 실천적 모형을 구안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연구자는 아동의 학교 학습 사태에서도 자기주도학습이 구현될 수 있음을 드러내었으며, 그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또한 제시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와 같이 자기주도학습을 아동의 학교 학습 사태와 관련 짓는 연구들이 축적될 수록 우리의 학교가 지금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는 그 시작을 위한 첫 걸음에 해당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학교 학습 사태에 자기주도학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단순히 자기주도학습의 과정을 드러내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학교 학습 사태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방향에서 자기주도학습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실천에 도움을 주는 방향에서 시도되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 도출되는 모형을 적용한다면 우리의 교실에서도 자기주도학습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아동 학습자의 교실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포착할 수 있었다. 아동의 가정적 배경이나 부모의 관심, 교우관계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아동의 교실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재분석한다면, 아동의 자기주도학습은 물론 일반적인 학습력 제고나 교실 학습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시사점들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모형, 학교 학습 사태, 아동 학습자, 자기주도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