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638&local_id=10013006
청각정보를 이용한 맥락간섭의 단계별 변화가 타이밍 오차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각정보를 이용한 맥락간섭의 단계별 변화가 타이밍 오차에 미치는 영향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동욱(Texas A&M University)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3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8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청각정보를 이용한 맥락간섭의 단계별 변화에 따라 타이밍 오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타이밍 과제인 컴퓨터 자판누르기를 통하여 구간별 제시되는 목표 시간에 얼마나 정확하게 과제를 수행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대적 타이밍 오차를 측정하였으며, 전체동작 시간의 오차의 평균과 오차의 표준편차를 나타내 주는 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80명의 실험 참여자가 청각정보를 제시 받지 않는 네 집단(집단1: 구획연습, 집단2: 무선연습, 집단3: 구획연습-무선연습, 집단4: 무선연습-구획연습)과 청각정보를 제시 받는 네 집단(집단5: 구획연습, 집단6: 무선연습, 집단7: 구획연습-무선연습, 집단8: 무선연습-구획연습)과 같이 8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 과제는 여섯 번 키를 교대로 누르는 것이다. 피험자는 하나의 키를 누르고 다음 키를 누를 때까지의 특정한 시간을 가지는데, 맥락간섭 효과는 세 개의 과제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세 가지 과제는 1200ms, 1600ms, 2000ms와 같은 전체시간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전체시간의 18.75%, 31.25%, 12.5%, 12.5%, 25.0% 구간에 대하여 청각정보를 받는 집단에 대하여 청각정보를 제시하였다. 1200ms 과제는 225ms, 375ms, 150ms, 150ms, 300ms, 1600ms 과제는 300ms, 500ms, 200ms, 200ms, 400ms이며, 2000ms 과제는 375ms, 625ms, 250ms, 250ms, 500ms로 상대적 시간이 구성되었다. 습득 단계의 전반에 54회(9회/1블럭×6블럭)의 타이밍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일정시간 휴식 후에 후반 54회(9회/1블럭×6블럭)의 타이밍 과제를 실시하였다. 약 24시간 후에 실시하는 파지 검사를 18회(9회/1블럭×2블럭)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집단은 그래프 형태로 제시되는 과제에 대하여 습득단계에서 실시했던 방법과 같이 6개(J-F-J-F-J-F)의 키를 누르는 과제였다. 습득 단계에서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는 연습방법(4: 구획-구획, 구획-무선, 무선-구획, 무선-무선)×청각정보 유무(2: 청각정보 제시, 제시 안함)×단계(2: 전반 6블럭, 후반 6블럭)×블록(6: 블럭 1-6블럭)을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 측정에 의한 변량 분석(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session and block)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운동학습 정도를 알아보는 파지 단계에서는 연습방법(4: 구획-구획, 구획-무선, 무선-구획, 무선-무선)×청각정보 유무(2: 청각정보 제시, 제시 안함)×과제(3: 1200, 1600, 2000ms)를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 측정에 의한 변량 분석(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task)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정보는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를 보였지만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는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둘째, 구획-구획과 구획-무선 연습방법은 무선-구획과 무선-무선 연습방법에 비하여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무선-무선 연습방법과 구획-무선 연습방법은 청각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상대적 타이밍과 절대적 타이밍 학습을 위해서는 구획-무선 연습방법이 다른 연습방법에 비하여 효과적이다. 넷째, 청각정보는 연습방법에 상관없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부가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는 효과가 크지 않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iming error according to stage change of contextual interference using auditory information (model). For this purpso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n auditory model on random and blocked practice of three five segment timing sequences (relative time constant).The dependent variables were relative timing error and absolute timing error. Relative timing error shows discrepancies between the participant’s pattern of key presses and the goal pattern, but not to the overall time. Absolute timing error, however, represents discrepancies in the overall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sequence compared to the goal absolute time.We were interested in whether or not the auditory model differentially affected the learning of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under blocked and random practice. Participants (N=80)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ight practice conditions which differed in terms of practice schedule (blocked-blocked, blocked-random, random-blocked, random-random) and auditory model (no model, model). The goal relative times for all tasks were 18.8%, 31.2%, 12.5%, 12.5%, and 25.0%. The total durations were 1200, 1600, and 2000 ms.
    In the auditory model conditions, six beeps were presented prior to performance. The intervals between the onset of the beeps corresponded to the goal movement pattern (1200 ms task: 225, 375, 150, 150, and 300 ms, 1600 ms task: 300, 500, 200, 200, and 400 ms, 2000 ms task: 375, 625, 250, 250, 500 m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wo acquisition sessions and a retention session. All participants performed 54 acquisition trials (6 blocks of 9) in each acquisition session for a total of 108 trials. For the block-random and random-blocked groups the practice schedule changed after completing the first session (Blocks 1-6). Approximately 24 hrs after completing both acquisition sessions, participants performed a retention session consisting of 18 trials (2 blocks of 9 trials) without the auditory model and without post-response feedback. The retention tests for all groups consisted of serial order with the same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requirements as in acquisition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errors in acquisition were analyzed in 4 (practice schedule: blocked-blocked, blocked-random, random-blocked, and random-random) x 2 (auditory model: no model, model) x 2 (Sessions 1 [first six blocks] and 2 [second six blocks]) x 6 (Blocks: 1-6) 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session and block.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errors in retention were analyzed in 4 (practice schedule: blocked-blocked, blocked-random, random-blocked, and random-random) x 2 (auditory model: no model, model) x 3 (task: 1200, 1600, 2000 ms goal absolute time) 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task.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uditory model enhanced relative timing performance on the delayed retention test but did not influence the learning of absolute timing. Blocked-blocked and blocked-random practice conditions resulted in enhanced relative timing retention performance relative to random-blocked and random-random practice schedules. Random-random and blocked-random practice schedules resulted in better absolute timing than blocked-blocked or random-blocked practic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uditory model during acquisition. Thus considering both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the blocked-random practice condition resulted in overall learning superior to the other practice schedul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an auditory model produces an add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f relative timing regardless of the practice schedule, but does not influence the learning of absolute tim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타이밍 과제인 컴퓨터 자판누르기를 통하여 청각정보를 이용한 맥락간섭효과의 단계별 변화가 타이밍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청각정보의 유무가 학습 전반부와 후반부에 구획연습과 무선연습 조건에 따라서 상대적 타이밍과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80명의 실험참여자는 각각 10명씩, 연습방법(4: 구획-구획, 구획-무선, 무선-구획, 무선-무선)과 청각정보 유무(2: 청각정보 있음, 청각정보 없음)에 따른 8개의 연습조건 중 하나의 연습조건에 참가하였다. 실험자는 모니터 앞에 앉아 편안하게 실험에 참여할 수 있게 피험자의 심리 및 신체적 상태를 파악한 후 습득 단계와 습득 단계 다음 날에 파지 단계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습득 단계의 전반에 54회(9회/1블럭×6블럭)의 타이밍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일정시간 휴식 후에 후반 54회(9회/1블럭×6블럭)의 타이밍 과제를 실시하였다. 약 24시간 후에 실시하는 파지 검사를 18회(9회/1블럭×2블럭)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집단은 그래프 형태로 제시되는 과제에 대하여 습득단계에서 실시했던 방법과 같이 6개(J-F-J-F-J-F)의 키를 누르는 과제이다. 다만 하나의 과제가 완료된 후에 파지 단계에서는 자신의 수행 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시하지 않았다. 습득 단계에서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는 연습방법(4: 구획-구획, 구획-무선, 무선-구획, 무선-무선)×청각정보 유무(2: 청각정보 제시, 제시 안함)×단계(2: 전반 6블럭, 후반 6블럭)×블록(6: 블럭 1-6블럭)을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 측정에 의한 변량 분석(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session and block)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운동학습 정도를 알아보는 파지 단계에서는 연습방법(4: 구획-구획, 구획-무선, 무선-구획, 무선-무선)×청각정보 유무(2: 청각정보 제시, 제시 안함)×과제(3: 1200, 1600, 2000ms)를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 측정에 의한 변량 분석(ANOVAs with repeated measure on task)을 하였다. 이러한 실험 설계를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정보는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를 보였지만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는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둘째, 구획-구획과 구획-무선 연습방법은 무선-구획과 무선-무선 연습방법에 비하여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무선-무선 연습방법과 구획-무선 연습방법은 청각정보의 유무에 관계없이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상대적 타이밍과 절대적 타이밍 학습을 위해서는 구획-무선 연습방법이 구획-구획 연습방법, 무선-무선 연습방법, 무선-구획 연습방법에 비하여 효과적인 연습방법이다. 넷째, 청각정보는 연습방법에 상관없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부가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는 효과가 크지 않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습득단계
    1) 상대적 타이밍
    연습방법, 청각정보의 유무, 단계, 그리고 블록을 독립변인으로 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각정보[F(1,72)=17.39, p<.01, partial eta squared=.24], 단계[F(1,72)=56.28, p<.01, partial eta squared=.48], 그리고 블럭[F(5,360)=35.70, p<.01, partial eta squared=.41]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정보×블록[F(5,360)=2.67, p<.05, partial eta squared=.10], 단계×블럭[F(5,360)=20.94, p<.01, partial eta squared=.28], 그리고 청각정보×단계×블럭[F(5,360)=2.76, p<.05, partial eta squared=.08]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청각정보×단계×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부에 청각모델을 받은 집단과 청각모델을 받지 않은 집단간의 차이는 연습을 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후반부에도 그 차이를 유지하였다.
    2) 절대적 타이밍
    청각정보[F(1,72)=26.27, p<.01, partial eta squared=.37], 단계[F(1,72)=81.04, p<.01, partial eta squared=.57], 그리고 블록[F(5,360)=50.33, p<.01, partial eta squared=.46]에 대하여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정보×블록[F(5,360)=2.59, p<.05, partial eta squared=.10], 연습방법×블럭[F(15,360)=2.78, p<.01, partial eta squared=.12], 단계×블럭[F(3,360)=41.47, p<.01, partial eta squared=.41], 그리고 청각정보×단계×블럭[F(15,360)=2.76, p<.05, partial eta squared=.08]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청각정보×단계×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청각정보는 전반부에 연습을 함에 따라 향상된 운동수행을 보였으나 후반부에는 부가적인 향상정도가 크지 않았다.
    연습방법×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전반과 후반부에 구획연습을 제시 받은 집단이 일반적으로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크지 않았다. 전반과 후반부에 무선연습을 제시 받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블록 1에 대하여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습득단계 후반으로 갈수록 구획-무선 연습 집단과 무선-구획 연습 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2. 파지단계
    1) 상대적 타이밍
    파지단계에 있어서 상대적 타이밍 오차에 대한 변량 분석 결과, 연습방법[F(3,72)=7.41, p<.01, partial eta squared=.37]과 청각정보[F(1,72)=6.32, p<.01, partial eta squared=.33]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유의미한 차이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는데 무선-무선 연습방법(M=.124, SEM=.005)과 무선-구획 연습방법(M=.142, SEM=.006)보다 구획-구획 연습방법(M=.097, SEM=.004)과 구획-무선 연습방법(M=.096, SEM=.004)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청각정보의 제시(M=.106, SEM=.003)는 제시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M=.123, SEM=.004)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F(2,143)=1.50, p>.05]에 대한 주효과와 모든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절대적 타이밍
    절대적 타이밍 오차는 연습방법[F(3,72)=3.64, p<.05, partial eta squared=.28]과 과제[F(2,143)=8.90, p<.01, partial eta squared=.33]에 대하여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는 무선-무선 연습방법(M=145.5, SEM=8.87)과 구획-무선 연습방법(M=158.0, SEM=11.38)은 무선-구획 연습방법(M=197.5, SEM=17.00)과 구획-구획 연습방법(M=207.4, SEM=17.92)에 비하여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청각정보 유무에 따른 주효과와 모든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활용방안
    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타이밍 학습 과제에 있어서 학습단계에 따라 다른 연습 전략(예: 구획-무선연습)을 세우는 것이 상대적 타이밍과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많은 스포츠와 체육 교육 현장에서 학습되어야 하는 타이밍 과제에 대하여 하나의 연습법이 아닌 맥락간섭을 이용하여 전반부에는 구획연습, 후반부에는 무선연습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청각정보는 연습방법과 상관없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크다는 본 연구 결과는 리듬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 즉 무용, 피겨스케이트, 골프 등과 같은 종목에서 적극적인 청각정보를 활용한 운동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구획연습, 무선연습, 청각정보(모델), 맥락간섭효과, 상대적 타이밍 오차, 절대적 타이밍 오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