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1. 습득단계
1) 상대적 타이밍
연습방법, 청각정보의 유무, 단계, 그리고 블록을 독립변인으로 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각정보[F(1,72)=17.39, p<.01, partial eta squared=.24], 단계[F(1,72)=56.28, p<.01, partial eta squared=.48], 그리고 블럭[F ...
연구결과
1. 습득단계
1) 상대적 타이밍
연습방법, 청각정보의 유무, 단계, 그리고 블록을 독립변인으로 한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각정보[F(1,72)=17.39, p<.01, partial eta squared=.24], 단계[F(1,72)=56.28, p<.01, partial eta squared=.48], 그리고 블럭[F(5,360)=35.70, p<.01, partial eta squared=.41]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정보×블록[F(5,360)=2.67, p<.05, partial eta squared=.10], 단계×블럭[F(5,360)=20.94, p<.01, partial eta squared=.28], 그리고 청각정보×단계×블럭[F(5,360)=2.76, p<.05, partial eta squared=.08]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청각정보×단계×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부에 청각모델을 받은 집단과 청각모델을 받지 않은 집단간의 차이는 연습을 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후반부에도 그 차이를 유지하였다.
2) 절대적 타이밍
청각정보[F(1,72)=26.27, p<.01, partial eta squared=.37], 단계[F(1,72)=81.04, p<.01, partial eta squared=.57], 그리고 블록[F(5,360)=50.33, p<.01, partial eta squared=.46]에 대하여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청각정보×블록[F(5,360)=2.59, p<.05, partial eta squared=.10], 연습방법×블럭[F(15,360)=2.78, p<.01, partial eta squared=.12], 단계×블럭[F(3,360)=41.47, p<.01, partial eta squared=.41], 그리고 청각정보×단계×블럭[F(15,360)=2.76, p<.05, partial eta squared=.08]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청각정보×단계×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청각정보는 전반부에 연습을 함에 따라 향상된 운동수행을 보였으나 후반부에는 부가적인 향상정도가 크지 않았다.
연습방법×블럭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전반과 후반부에 구획연습을 제시 받은 집단이 일반적으로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크지 않았다. 전반과 후반부에 무선연습을 제시 받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블록 1에 대하여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습득단계 후반으로 갈수록 구획-무선 연습 집단과 무선-구획 연습 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2. 파지단계
1) 상대적 타이밍
파지단계에 있어서 상대적 타이밍 오차에 대한 변량 분석 결과, 연습방법[F(3,72)=7.41, p<.01, partial eta squared=.37]과 청각정보[F(1,72)=6.32, p<.01, partial eta squared=.33]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유의미한 차이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는데 무선-무선 연습방법(M=.124, SEM=.005)과 무선-구획 연습방법(M=.142, SEM=.006)보다 구획-구획 연습방법(M=.097, SEM=.004)과 구획-무선 연습방법(M=.096, SEM=.004)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청각정보의 제시(M=.106, SEM=.003)는 제시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M=.123, SEM=.004)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F(2,143)=1.50, p>.05]에 대한 주효과와 모든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절대적 타이밍
절대적 타이밍 오차는 연습방법[F(3,72)=3.64, p<.05, partial eta squared=.28]과 과제[F(2,143)=8.90, p<.01, partial eta squared=.33]에 대하여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는 무선-무선 연습방법(M=145.5, SEM=8.87)과 구획-무선 연습방법(M=158.0, SEM=11.38)은 무선-구획 연습방법(M=197.5, SEM=17.00)과 구획-구획 연습방법(M=207.4, SEM=17.92)에 비하여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청각정보 유무에 따른 주효과와 모든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활용방안
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타이밍 학습 과제에 있어서 학습단계에 따라 다른 연습 전략(예: 구획-무선연습)을 세우는 것이 상대적 타이밍과 절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많은 스포츠와 체육 교육 현장에서 학습되어야 하는 타이밍 과제에 대하여 하나의 연습법이 아닌 맥락간섭을 이용하여 전반부에는 구획연습, 후반부에는 무선연습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청각정보는 연습방법과 상관없이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가 크다는 본 연구 결과는 리듬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 즉 무용, 피겨스케이트, 골프 등과 같은 종목에서 적극적인 청각정보를 활용한 운동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