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669&local_id=10027385
유산소-저항성 트레이닝이 노인의 성장호르몬, 항산화 방어체계 및 apoptotic 유전적 발현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산소-저항성 트레이닝이 노인의 성장호르몬, 항산화 방어체계 및 apoptotic 유전적 발현요인에 미치는 영향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승범(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5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노화는 질병과 장애와 연관된 정상적인 과정으로 암, 발작, 심장병과 더불어 죽음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되고 있다. 노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 조직, 세포마다 다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환경, 영양, 생활습관 등의 외적 요인과 유전과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성장호르몬과 항산화 방어체계에 대한 여러 연구를 보면 Ames dwarf(왜소동물)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를 투여한 결과 간조직에서 Catalase, GPX, SOD 등의 항산화 요소의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국 GH 혈장량이 높은 수준의 쥐들은 항산화 방어 능력의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own-Borg, Rakoczy, Romanick & Kennedy, 2002).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의 증가 및 감소에 따른 GSH-Px, SOD, CAT 등의 항산화 방어체계에 대한 명확한 Mechanism을 규명하고, 유․무산소성 운동을 통한 성장호르몬과 GSH-Px, SOD, CAT 등의 항산화 방어체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운동을 통한 성장호르몬과 항산화 방어체계의 결과를 토대로 Apoptotic 유전적 발현 요인인 TNF-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인간의 노화예방 및 수명연장 가능성이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65 - 68세의 남자 노인 16명으로 운동그룹은 유산소성 트레이닝 집단 8명,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 8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Growth Hormone 측정결과는 12주간의 유산소 운동그룹과 저항성 운동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OD 측정결과는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증가를 보였으나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SH-Px 측정결과는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과 운동 후에 증가를 보였다.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T 측정결과는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 후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NF-α 유전자 분석의 측정결과는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과 후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영문
  • Aging is the term used for the man's change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in the aspect of the embryology. It appeared differently at the man, organic and cell. It was witness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nvironment, nutrition, life style, exercise routines. We studied the of two difference exercise on growth hormone and anti-oxidant system.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subjects' growth hormone, GSH-Px, SOD, CAT and TNF-α between regularly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Sixteen healthy aged mans were participated as 65-68 years subjec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erobic exercise group, weight training group. The longitudinal intervention study of a 12-weeks exercise program(30-60 min/day, 4 days/week) was performed in sixteen aged mans. For the data analysis the Windows SPSS 10.0 was used and two way ANOVA were process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through the progresses :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in growth hormone. SOD was increased to post-exercise compared with pre-exercise in aerobic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in the SOD. GSH-Px was increased to post-exercise compared with pre-exercise in weight train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in the GSH-Px. CAT was decreased to post-exercise compared with pre-exercise in aerobic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in the CAT. TNF-α was decreased to post-exercise compared with pre-exercise in aerobic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aerobic exercise group and weight training group in the TNF-α. To sum up, It was found that regular exercise lowed in oxidant stress, helped to improve anti-oxidant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노화는 질병과 장애와 연관된 정상적인 과정으로 암, 발작, 심장병과 더불어 죽음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되고 있다. 노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 조직, 세포마다 다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환경, 영양, 생활습관 등의 외적 요인과 유전과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최근 들어 분자병리학적인 원인을 밝혀내어 노화의 유전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전 연구를 보면 칼로리의 제한이나 (GH)-insuline growth factor 1의 성장호르몬 대체에 의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음이 밝혀졌고 이것은 인슐린의 감소 증가나 체중의 감소, 글루코스 수준의 감소와 같은 생리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하지만, 이것이 단지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과 관계가 있는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무척추 동물에서 항산화 방어 체계(anti-oxidant defense system)가 장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Aleman et al., 2000). 성장호르몬과 항산화 방어체계에 대한 여러 연구를 보면 Ames dwarf(왜소동물)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를 투여한 결과 간조직에서 Catalase, GPX, SOD 등의 항산화 요소의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국 GH 혈장량이 높은 수준의 쥐들은 항산화 방어 능력의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own-Borg, Rakoczy, Romanick & Kennedy, 2002). 또한,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hGH(human GH)를 이식시킨 쥐를 대상으로 GH와 신장에서의 항산화 효소(AOEs: antioxidant enzyme)에 대한 변화를 측정한 결과 쥐에서 GH의 과다 분비는 신장에서 SOD와 GPx의 감소와 연관이 있었으며, 증가한 free radical로 인하여 이들 조직에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다(Rollo, Carison & Sawada, 1996). 본 연구는 이전의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근거로 노인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의 증가 및 감소에 따른 GSH-Px, SOD, CAT 등의 항산화 방어체계에 대한 명확한 Mechanism을 규명하고, 유․무산소성 운동을 통한 성장호르몬과 GSH-Px, SOD, CAT 등의 항산화 방어체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운동을 통한 성장호르몬과 항산화 방어체계의 결과를 토대로 Apoptotic 유전적 발현 요인인 TNF-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인간의 노화예방 및 수명연장 가능성이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두 집단 간의 Growth Hormone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0,42±0,18㎕/L, 운동 후 0.44±0.17로 약간 증가를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0.25±0.11㎕/L에서 운동 후 0.24±0.20㎕/L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두 집단 간의 SOD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1084.57±107.21u/gHb, 운동 후 1139.05±115.90u/gHb로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 991.66±124.30u/gHb에서 운동 후 1018.83±140.91u/gHb으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두 집단 간의 GSH-Px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69.21±5.4u/gHb, 운동 후 70.48±6.0u/gHb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 75.14±2.9u/gHb에서 운동 후 78.05±4.2u/gHb으로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두 집단 간의 CAT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5.04±1.22u/㎖, 운동 후 5.01±0.94u/㎖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 4.71±1.29u/㎖에서 운동 후 4.73±1.06u/㎖으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TNF-α 유전자 분석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전 2.81±0.57Pg/㎖, 운동 후 2.07±1.94Pg/㎖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저항성 운동 그룹의 경우 운동 전 4.30±0.51Pg/㎖에서 운동 후 4.11±1.42Pg/㎖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 간과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색인어
  • growth hormone, Catalase, GPX, SOD, TNF-α, oxident-stress, anti-oxidant stress, aerobic exercise, weight training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