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717&local_id=10020086
정복자들의 연대기 속에 나타난 중남미의 진실과 허구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복자들의 연대기 속에 나타난 중남미의 진실과 허구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권준(대구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9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토도로프가 말한 <적합한 진실>과 <그럴듯한 진실>이란 패러다임에서 오늘날의 중남미를 다시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의 한 형태로 <그럴듯한 진실>을 살펴본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꼴론의 『항해일지』와 꼬르떼스의 『보고서』, 로뻬쓰 데 고마라의 『인디아스 역사』, 베르날 디아쓰 델 까스띨료의 『멕시코 정복의 진실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들의 전략을 분류하고 이 분류에 따라 그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꼴론의 『항해일지』와 꼬르떼스의 『보고서』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모두 자신들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들을 다섯 가지의 전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전략은 부풀리기와 거짓말이다. 이것은 자신들의 업적을 부풀리거나 거짓말을 해서라도 자신들의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인정받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는 자신들의 행위를 모두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는 왕실에 잘 보이기 위한 목적이기도 했지만 자신들이 저지른 과오들에 대해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세 번째는 자신들의 행위와 말만이 진실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것을 주장하기 위해 꼴론은 주로 과학적 도구를 이용하였고 꼬르떼스는 문자 혹은 문서의 권위를 이용하였다. 네 번째는 분실 혹은 오류의 전략이다. 꼴론과 꼬르떼스는 보고하기 곤란한 것은 뜻밖의 사건으로 분실되었거나 오류로 인하여 실행이 불가능했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은 기적과 믿음 혹은 생각을 사실로 주장한 것으로 이 전략은 자신들 스스로에게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로뻬쓰 데 고마라의 『인디아스 역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꼬르떼스로 대변되는 스페인 정복자들과 왕실 그리고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첫 번째 전략은 과장과 속임의 전략이다. 이는 스페인 정복자들의 만행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들의 업적을 과장하는 것이며, 인디오들을 상대로 저지른 혹은 정복자들 자신들 사이에 있었던 속임의 전략과 전술을 그럴듯하게 말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꼴론이나 꼬르떼스와 마찬가지로 정복자들의 모든 행위와 사업이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 두 번째 전략에서는 그러나 왕권에 도전하는 듯한 모습도 보인다. 세 번째 전략은 진실에 대한 주장이다. 이 전략은 로뻬쓰 데 고마라 자신은 한번도 인디아스에 가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네 번째 전략은 정복자들의 과오를 인디오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혹 실패한 부분이나 과오를 저지른 부분의 설명에 있어서 그럴 수밖에 없었던 모든 원인을 인디오들에게 돌림으로써 그들의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상상과 믿음과 기적을 사실화하는 전략이다. 로뻬쓰 데 고마라는 가톨릭 사제였으므로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가정 적절한 수단은 기적이었다.
    베르날 디아쓰 델 까스띨료의 『멕시코 정복의 진실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자신으로 대변되는 원정과 정복에 참여했던 하급 병사들의 업적과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첫 번째 전략은 앞 두 논문에서 언급한 모든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행한 모든 행위와 사업이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병사들의 업적을 과장하는 것이다. 이 두 번째 전략은 그가 작품을 쓰게 된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죽은 자는 그렇다 치지만 죽도록 고생한 자신들의 업적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그에 합당한 보상을 내려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품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전략은 진실에 대한 주장이다. 이 진실에 대한 주장에서 디아쓰의 가장 큰 무기는 멕시코 정복의 초기 원정에서부터 작품을 쓰고 있는 마지막 순간까지 수많은 전투에 참여한 목격자라는 사실이다. 네 번째 전략은 항명이다. 디아쓰는 자신으로 대변되는 하급 병사들의 업적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아내기 위해 사실은 대장들보다도 병사들의 업적이 더욱 커다란 것이었다는 것을 말하며 상관들의 잘못들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전략은 자신들의 과오나 사업실패를 인디오나 다른 것들에 전가하거나 억측을 하는 것이다.
  • 영문
  • En este estudio revis?, desde el punto de vista de la verdad de revelaci?n que define Tzvetan Todorov en su libro Las morales de la historia(1993), cuatras cronicas escritas en la ?poca que pueden considerarse como un punto de partida nuevo de los hispanoamericanos de hoy.
    Las verdades de revelaci?n aparecidas en Diario de a bordo de Crist?bal Col?n y en Cartas de Relaci?n de Hern?n Cort?s son para justificarse a s? mismos, y pueden dividirse en cinco estrategias.
    La primera es de mentiras y exageraciones. Nuestros dos protagonistas desean, a trav?s de las exageraciones y mentiras, conseguir autorizaci?n de la Corona espa?ola para seguir sus trabajos en las Indias. La segunda es dirigir todos sus actos a la Corona espa?ola y a Dios. Esto no s?lo se basa en la intenci?n de adular a la Corona, sino tambi?n en la de obtener justificaciones en cuanto a sus delitos cometidos. La tercera es insistir en que sus actos y palabras ?nicamente son verdades. Para insistir sobre esto Col?n se aprovecha de los aparatos cient?ficos, y Cort?s del poder de las letras. La cuarta es de p?rdidas y errores. En cuanto a los asuntos complicados los dos personajes relatan que ha sido imposible cumplir sus trabajos por los errores y p?rdidas imprevistos. La ?ltima es decir que son reales los milagros y tambi?n sus creencias o pensamientos. Podemos considerar que esto es para conseguir justificarse a ellos mismos.
    Las verdades de revelaci?n aparecidas en Historia general de las Indias de Francisco L?pez de G?mara son para justificar las haza?as de los conquistadores espa?oles, la Corona espa?ola y los trabajos de Dios, y pueden dividirse en cinco estrategias.
    La primera es de mentiras y exageraciones. Francisco L?pez de G?mara desea, a trav?s de ?stas, justificar las conductas salvajes y los delitos cometidos por los conquistadores espa?oles. La segunda es dirigir, como hicieron Crist?bal Col?n y Hern?n Cort?s en sus obras, todos los actos y trabajos de los conquistadores espa?oles a la Corona espa?ola y a Dios. Aunque todo esto es para conseguir justificaci?n moral, a veces nuestro autor muestra ciertas figuras que protestan a la Corona espa?ola. La tercera es insistir en que sus palabras son verdaderas. Esto es para justificar su ausencia en las Indias. Con tal motivo L?pez de G?mara introduce en su obra casi todos sus conocimientos sobre este mundo y su voz directa. La cuarta es atribuir todas las causas de los errores y los delitos cometidos por los conquistadores espa?oles a los indios. Esto es tambi?n para justificar a los aqu?llos. La ?ltima es decir que son reales los milagros y las creencias o imaginaciones de ?l. L?pez de G?mara fue un sacerdote, por lo tanto e?l ten?a que justificar los trabajos realizados en las Indias con el nombre de Dios. Para esto los mejores remedios eran los milagros, las creencias y las imaginaciones.
    Las verdades de revelaci?n aparecidas en Historia verdadera de la conquista de la Nueva Espa?a de Bernal D?az del Castillo son para justificar las haza?as de los soldados plebeyos que puede representarse de s? mismo y pueden dividirse en cinco estrategias.
    La primera es dirigir, como en las obras anteriores, todos los actos y trabajos de los conquistadores espa?oles a la Corona espa?ola y a Dios. La segunda es exagerar los trobajos o las haza?as de los soldados plebeyos. La tercera es insistir en que sus palabras son verdaderas. La cuarta es desobedecer a sus superiores, o sea desestimar relativamente las haza?as de los capitanes. Con esto D?az quer?a sobresaltar las haza?as de los soldados plebeyos. La ?ltima es atribuir todas las causas de los errores o los delitos cometidos por los conquistadores espa?oles a los indios y dar rienda suelta a sus conjetur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토도로프가 말한 <적합한 진실>과 <그럴듯한 진실>이란 패러다임에서 오늘날의 중남미를 다시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의 한 형태로 <그럴듯한 진실>을 살펴본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꼴론의 『항해일지』와 꼬르떼스의 『보고서』, 로뻬쓰 데 고마라의 『인디아스 역사』, 베르날 디아쓰 델 까스띨료의 『멕시코 정복의 진실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들의 전략을 분류하고 이 분류에 따라 그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꼴론의 『항해일지』와 꼬르떼스의 『보고서』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모두 자신들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들을 다섯 가지의 전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전략은 부풀리기와 거짓말이다. 이것은 자신들의 업적을 부풀리거나 거짓말을 해서라도 자신들의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인정받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는 자신들의 행위를 모두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는 왕실에 잘 보이기 위한 목적이기도 했지만 자신들이 저지른 과오들에 대해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세 번째는 자신들의 행위와 말만이 진실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것을 주장하기 위해 꼴론은 주로 과학적 도구를 이용하였고 꼬르떼스는 문자 혹은 문서의 권위를 이용하였다. 네 번째는 분실 혹은 오류의 전략이다. 꼴론과 꼬르떼스는 보고하기 곤란한 것은 뜻밖의 사건으로 분실되었거나 오류로 인하여 실행이 불가능했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은 기적과 믿음 혹은 생각을 사실로 주장한 것으로 이 전략은 자신들 스스로에게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로뻬쓰 데 고마라의 『인디아스 역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꼬르떼스로 대변되는 스페인 정복자들과 왕실 그리고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첫 번째 전략은 과장과 속임의 전략이다. 이는 스페인 정복자들의 만행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들의 업적을 과장하는 것이며, 인디오들을 상대로 저지른 혹은 정복자들 자신들 사이에 있었던 속임의 전략과 전술을 그럴듯하게 말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꼴론이나 꼬르떼스와 마찬가지로 정복자들의 모든 행위와 사업이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 두 번째 전략에서는 그러나 왕권에 도전하는 듯한 모습도 보인다. 세 번째 전략은 진실에 대한 주장이다. 이 전략은 로뻬쓰 데 고마라 자신은 한번도 인디아스에 가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네 번째 전략은 정복자들의 과오를 인디오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혹 실패한 부분이나 과오를 저지른 부분의 설명에 있어서 그럴 수밖에 없었던 모든 원인을 인디오들에게 돌림으로써 그들의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상상과 믿음과 기적을 사실화하는 전략이다. 로뻬쓰 데 고마라는 가톨릭 사제였으므로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가정 적절한 수단은 기적이었다.
    베르날 디아쓰 델 까스띨료의 『멕시코 정복의 진실사』에 나타난 그럴듯한 진실은 자신으로 대변되는 원정과 정복에 참여했던 하급 병사들의 업적과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첫 번째 전략은 앞 두 논문에서 언급한 모든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행한 모든 행위와 사업이 스페인 왕실과 하나님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병사들의 업적을 과장하는 것이다. 이 두 번째 전략은 그가 작품을 쓰게 된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죽은 자는 그렇다 치지만 죽도록 고생한 자신들의 업적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그에 합당한 보상을 내려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품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전략은 진실에 대한 주장이다. 이 진실에 대한 주장에서 디아쓰의 가장 큰 무기는 멕시코 정복의 초기 원정에서부터 작품을 쓰고 있는 마지막 순간까지 수많은 전투에 참여한 목격자라는 사실이다. 네 번째 전략은 항명이다. 디아쓰는 자신으로 대변되는 하급 병사들의 업적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아내기 위해 사실은 대장들보다도 병사들의 업적이 더욱 커다란 것이었다는 것을 말하며 상관들의 잘못들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 전략은 자신들의 과오나 사업실패를 인디오나 다른 것들에 전가하거나 억측을 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년차에는 연구방법론에 의거하여 그 이론적인 틀을 확립함과 동시에 1차년도의 연구 대상이었던 <서간문 및 보고서>에 속한 끄리스또발 꼴론의『항해일지』와 에르난 꼬르떼스의 『보고서』에 대해 연구하여 그 결과물을 2007년도 6월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스페인어문학』 43호에 게재하였다. 꼴론의 『항해일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번역서와 함께 원서를 대조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으며, 두 번째 작품인 꼬르떼스의 『보고서』는 양이 방대하고 원문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해서 그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연구를 계획할 때 예상했던 것보다도 힘든 작업이었다.
    2년차에는 <공식 연대기>에 속한 프라시스꼬 로뻬스 데 고마라의 『인디아스 일반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작품 또한 양이 방대하고 원문에 전적으로 의존하여야 하는 관계로 계획했던 것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었지만 논문을 2008년도 3월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스페인어문학』 46호에 게재하였다. 또한 2년차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련 작품인 바르똘로메 데 라스 까사스 신부의 『인디아스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서 Brevísima Relación de la Destrucción de las Indias』(1552)를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이 책은 1년차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련 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2년차와 3년차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서적이기에 연구 일정이 촉박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말로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3년차에는 <비공식 연대기> 에 속한 베르날 디아쓰 델 가스띨료의 『멕시코 정복의 진실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원체 방대한 분량의 원문이어서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2차년도 사업에서 번역서까지 출판하여 다소 시간이 지체된 것도 한 원인이다. 그러나 보고서를 작성하는 현재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으며 2009년 6월 13일 한국스페인어문학회의 여름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고 논문은 9월 31일에 출판되는 『스페인어문학』 52호에 게재할 예정이다.

    2. 활용방안

    본 연구는 중남미와 관련된 연구를 하는 모든 분야의 학자들에게 기초자료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일반인들에게도 중남미의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대학에서는 스페인․중남미전공의 학과들 외에도 역사학과나 인류학과 문화사를 가르치는 학과에서 보조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연구가 지속되어 단행본으로 출판된다면 세계의 문화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좋은 친구가 될 것이다. 또한 각 대학의 도서관에 비치하여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단행본으로 번역되어 출판된 『인디아스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서』는 중남미 역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되고 있음도 지적하고자 한다.
  • 색인어
  • Verdad de revelaci&oacute;n/ Cr&oacute;nica/ Crist&oacute;bal Col&oacute;n/ Hern&aacute;n Cort&eacute;s/ Francisco L&oacute;pez de G&oacute;mara/ Bernal D&iacute;az del Castillo; 그럴듯한 진실/ 연대기/ 끄리스또발 꼴론/ 에르난 꼬르떼스/ 프란씨스꼬 로뻬쓰 데 고마라/ 베르날 디아쓰 델 까스띨료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