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830&local_id=10014293
불어 고유명사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불어 고유명사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재연(서강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5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불어 고유명사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유명사의 한정(détermination) 문제를 새롭게 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고유명사가 발화체 안에서 보통명사와 비교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상이점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것이 일반 문법서에 기술된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고유명사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고유명사의 의미,지시적 특성 및 통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연구 내용을 구성한다.
    고유명사는 ‘어떤 개체에 주어진 이름’의 범주를 일컬으며, 이러한 지칭관계는 직접적이고 고정적이며, 장기적으로 지속된다(Jonasson(1994)참조). 고유명사의 주된 기능은 그 지시대상(référent initial)을 규명하고 확인하는 기능(fonction d'identification)이다. 본 연구는 고유명사의 기능이 이처럼 인지적 측면에서 파악되어야 함에 동의하고, 고유명사의 통사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유명사는 보통명사와 통사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고유명사(nom propre)라는 명칭 자체가 이와 같은 유사성을 반영하고 있다. 고유명사는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외에도 부가어, 속사, 동격어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통사적으로 명사 부류에 속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두드러진 고유명사의 특징은 고유명사의 한정이다. 관사의 부재가 고유명사의 특성 중 하나로 간주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의 고유명사가 정관사와 함께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국가나 강의 이름(La France, La Seine)은 정관사를 반드시 동반한다. 그런가 하면 정관사가 고유명사의 한 부분으로 통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Le Corbusier, Le Mans). 또한 은유적 용법으로 사용된 고유명사가 관사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un Tartuffe).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고유명사의 한정, 다시 말해서 한정사를 동반하는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고유명사의 통사적 측면을 살펴보는데 치중했다. 고유명사의 변형(modification du nom propre)이라는 표현은 고유명사가 한정사를 동반하는 경우, 그 지시대상에 대한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한정사를 동반한 고유명사’ 혹은 ‘고유명사의 한정’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실제로는 고유명사가 한정, 혹은 수식될 경우 그것이 지시적 측면에서 변형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불어 고유명사가 한정사의 수식을 받는 예를, 한정사의 종류에 따라서 검토하였다. 통사적으로 한정된 고유명사는 의미적으로 감정적, 비유적, 대조적 해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고유명사의 형태,통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통사구조를 설정하였고 그 통사구조에 고유명사가 가지는 의미적 구조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고유명사는 관사가 없으나 지시적(référentiel)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은 표면구조에서 한정사(Déterminant) 범주가 없더라도 통사구조 내에 D위치를 내포하고 있다는 가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불어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의 범주를 DP로 설정하여, 표면상 한정사를 동반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구조 내에 D위치가 보장된다고 가정한다. 고유명사의 지시성은 N이 D로 핵어 이동한다는 가정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내용상 명사를 한정하는 de가 이끄는 보어나 관계절, 혹은 형용사 등은 명시적인 정관사, 즉 D의 출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므로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 내에 DP의 존재 역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영문
  • Cett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les caractéristiques sémantico-syntaxiques des noms propres en français et d'éclaircir le problème de la détermination de cette catégorie. Cette recherche se concentre d'abord sur des convergences et des divergences entre le nom propre(Npr) et le nom commun(Nc) qui apparaissent dans les énoncés, et sur ce que décrivent réellement des grammaires. J'examine surtout la définition du Npr et ses caractéristiques sémantico-référentielles et syntaxiques. Le nom propre est "toute expression associée dans la mémoire à long terme à un particulier en vertu d'un lien dénominatif conventionnel stable"(Jonasson(1994)). La fonction principale du Npr consiste à identifier son référent initial. En reconnaissant cette fonction cognitive du Npr, j'examine ses traits syntaxiques. Le Npr se comporte comme le Nc sur le plan syntaxique, et son nom catégoriel(nom propre) reflète cela.
    Je m'intéresse ensuite à la détermination du Npr. Malgré que l'absence de l'article soit considérée comme un des traits qui caractérisent le nom propre, beaucoup de Npr sont modifiés par un déterminant(la France, la Seine). En fait, 'le nom propre modifié' ne semble pas un terme approprié, comme le souligne Gary-Prieur(2005), "parce que le sens courant de modifié introduit l'idée que dans ce type de construction, le Npr 'n'est plus vraiment lui-même'"(Gary-Prieur(2005)). Par ailleurs, il y a des Npr du type le Corbusier, le Mans, etc., qui se présentent toujours précédés de l'article défini, et des Npr précédés de l'article indéfini(un Tartuffe) et d'autres déterminants(du, mon, ce). Ces déterminants qui accompagnent le Npr peuvent entraîner les interprétations affective, métaphorique et contrastive.
    Dans cette étude, la construction syntaxique du syntagme nominal dont la tête est un nom propre est établie sur la base des traits syntaxico-morphologiques. Le Npr est dépourvu d'article, mais il est référentiel. Cela conduit à faire l'hypothèse que le SN dont la tête est un Npr contient la position de D dans sa construction syntaxique. De plus, les expansions du Npr comme le complément adnominal en de, la relative et l'adjectif obligent la présence de l'article défini, D au sein du S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유명사는 어떤 대상을 지칭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그 이름은 대상의 특징이나, 그것이 속한 부류와는 상관없이 그것을 다른 대상과 구분 짓기 위해 특별히 부르는 명칭이다. 고유명사는 이처럼 인지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명명관계를 통해 한 개체에게 주어진 모든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고유명사는 보통명사와 통사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고유명사는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및 부가어, 속사, 동격어로 사용된다. 인명은 관사 복수형과 결합할 수 있고, 동사도 복수로 일치한다. 속사와 부가 형용사도 복수로 일치시키므로 고유명사의 복수형은 문법적으로 복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시 말해서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는 통사적 구조 내에서도 수 자질을 포함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고유명사의 한정, 즉 한정사를 동반하는 고유명사의 통사적 측면을 살펴본다. 고유명사의 변형이라는 표현은 한정사가 고유명사를 수식할 때, 지시대상에 대한 변형을 가져온다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한정사를 동반한 고유명사’, ‘고유명사의 한정’으로 표현한다.
    정관사를 동반하는 고유명사는 형용사, 관계절, de + 명사보어와 같은 확장요소와 함께 나타난다. 고유명사와 정관사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점은 정체규명 기능이다. 정체규명 기능은 지시대상의 유일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기능과 결부되어 이중성을 제거하는데 기여한다. Gary-Prieur(1994)는 고유명사는 부류를 가리킬 수 없다고 주장한다.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그 밖에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부류의 개념이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초기 지시대상과 다른 개체로 이루어진 부류는 은유적 해석을 가지는 un Npr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비유적 해석이 아닐 때, 형성된 부류 속에는 고유명사가 지칭하는 초기 지시대상만이 포함된다. 부분관사의 사용은 환유적 해석과 결부된다. 앞의 경우에서와 달리, 부분관사와 결합한 고유명사 구성에서는 고유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은 그것과 결부된 행동이나 대상과 구분되지 않는다. 비분리 지시 상황은 부분관사의 사용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결국, du Npr구성은 부분관사가 가진 일반적인 가치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지시형용사와 고유명사는 해석적 측면에서 별개이다. 지시형용사는 명사구 해석에 의미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며, 단순히 선행사와 대용적 관계만을 가진다. 고유명사가 소유사와 결합시,고유명사의 지시대상은 변형되지 않는다. 고유명사는 초기지시대상, 소유형용사는 인칭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결합은 지시대상과 소유주 간의 관계를 형성시키며 이 관계는 문맥에 따라 다른 해석을 가진다.
    고유명사의 한정을 통해서 우리는 ‘고유명사가 다른 명사들과 마찬가지로 한정사 혹은 고유명사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되 그 정의는 변화시키지 않는 확장표현’과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고유명사의 한정에서 생겨나는 특수한 의미적 효과는, 고유명사 범주가 지닌 인지적 특성 및 기능과 관련된다고 본다. 따라서 고유명사가 기본적으로 인지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본 연구의 주장이 뒷받침된다.
    이 연구는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을 분석의 근거로 삼고, 앞에서 살펴본 고유명사의 형태적, 통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통사구조를 설정하였다. 고유명사는 관사가 없으나 지시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은 표면구조에서 한정사 범주가 없더라도 통사구조 내에 D위치를 내포하고 있다는 가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의 범주를 DP로 설정한다. 본 연구는 로망스어 고유명사의 통사적 구조를 다룬 Longobardi(1994)의 분석을 불어에 적용시킨다. 이태리어에서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는 다른 한정사가 고유명사 앞에 나타나는 경우 관사가 붙는다(il mio Gianni). 명사가 소유 형용사를 앞서는 어순 역시 가능한데(Gianni mio), 이러한 어순에서는 관사가 나타날 수 없다. Longobardi의 분석에 의하면, 정관사는 D위치에, Gianni는 명사 핵어 N위치에, 소유 형용사 mio는 NP의 지정어 자리에 생성되며, N에 있던 Gianni가 D로 핵어 이동함으로써 Gianni mio의 어순이 생겨난다. N의 D로의 이동은 일반적인 핵어 간 이동규칙의 제약을 받으며, D가 통사적으로 존재하는 위치임을 전제로 한다. 불어의 경우, 표면상 한정사를 동반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구조 내에 D위치가 보장된다고 보며, 고유명사의 지시성은 N이 D로 핵어 이동한다는 가정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내용상 명사를 한정하는 de가 이끄는 보어나 관계절, 혹은 형용사 등은 명시적인 정관사, 즉 D의 출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므로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 내에 DP의 존재 역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불어 고유명사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에서 모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학문적 측면에서, 불어학 및 언어학 연구와 교육의 토착화에 기여하고, 불어학 및 언어학 연구와 교육의 정보화에 기여한다. 고유명사를 핵어로 하는 명사구 연구를 통해, 불어 명사구 구조 연구 및 불어 명사구에 관한 이론 정립에 기여한다. 자연 언어 이론 구축과 자료의 다양화에 기여한다. 하나의 독립적 학문 분야로 정립됨에 따라 불어 문법서 내에서 독립된 항목으로 등재되어 문법서 및 언어교재의 기술적 완성도를 높인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 고유명사 사전과 같이, 끊임없는 개정을 요구하는 기존의 어휘목록의 구축 및 완성에 기여한다. word나 한글 같은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에서 문제시되는 고유명사 목록을 보강하여, 철자 수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고유명사(nom propre), 보통명사(nom commun), 한정사(determinant), 통사론(syntaxe), 의미론(semantique), 지시대상(referent), 지시(designation),고정지시어(designateur rigide), 명사구(syntagme nominal), 한정사구(syntagme determinant), 핵어이동(deplacement de tet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