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888&local_id=10015621
혼란스러운 식이(disordered eating)행동과 보호요인 -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혼란스러운 식이& #40;disordered eating& #41;행동과 보호요인 -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혜련(서울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5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알코올 중독자 자녀에 관련된 연구들 중에 식이장애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자녀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여자 COAs들은 어느 정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서도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이 없으면서 잘 적응하는 여자 COAs들에게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있는 중/고등학교 여학생 1162명을 대상으로 CAST-K, 혼란스러운 식이행동, 현재 체중에 대한 만족, 문제중심 대처기술, 인구사회학적 특성(학년, 친부모 동거여부, 부모의 음주문제 인식, 종교, 주관적인 경제적 상태)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COAs와 non-COAs 간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의 차이를 교차분석한 결과를 보면, 폭식경험, 음식을 먹는 것을 멈출수 없어 두려움을 느낀 경험, 작년 1년 동안 다이어트 경험, 체중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 경험 등에서 COAs집단이 non-COAs집단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여자 COAs집단을 대상으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로짓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중학생 보다는 고등학생인 경우, 마르고 싶은 욕구가 높을수록, 체중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문제 중심 대처기술이 높을수록, 어머니와의 애착정도가 낮을수록, 성적 접촉이나 성적 접촉을 강요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은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에 많이 나타날 수 있는 행위로, 예측 가능한 사회문제라는 점에서 볼 때 적절한 개입시기를 고려하여 지역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정신보건센터나 학교 등의 세팅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 영문
  • Studies have shown that children of alcoholics are at risk of various negative outcomes in term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malfunctioning. Among these undesirable outcomes, the least investigated is likely to be the impact of parental alcoholism on eating disorders of children.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the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nd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that mitigate such behaviors.

    The sample consisted of 1162 female teenagers for grade 7 to 12 living in Seoul. The self- reporte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the teenagers of alcoholic parents were assessed. Other variables such as drive for thinness, body dissatisfaction, problem solving skills, attachment with mothers, experience of worry about being sexually forced and demographic factors(grade, living with biological parents, perception of parental drinking problems, religio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students with alcoholic par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students with non-alcoholic parents with regard to the items of the eating disorder scal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self-evaluation of binge eating, non-stop eating, number of attempts of dieting during last 1 year, use of diuretics.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d those who reporte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from those who did not. Six variables in the model wer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have shown that the respondents are likely to have distorted eating behaviors if they have high derive for thinness, low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higher problem solving skill, lower attachment with mother, and experience of have experience of worry about being sexually forced.
    Distorted eating behaviors among teenage girls are very common and it is anticipated predictable social problem. Appropriate intervention periods needed to be reviewed to solve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community. It seems th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or school settings are proper intervention for preven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알코올 중독자 자녀에 관련된 연구들 중에 식이장애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자녀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여자 COAs들은 어느정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서도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이 없으면서 잘 적응하는 여자 COAs들에게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있는 중/고등학교 여학생 1162명을 대상으로 CAST-K, 혼란스러운 식이행동, 현재 체중에 대한 만족, 문제중심 대처기술, 인구사회학적 특성(학년, 친부모 동거여부, 부모의 음주문제 인식, 종교, 주관적인 경제적 상태)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COAs와 non-COAs 간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의 차이를 교차분석한 결과를 보면, 폭식경험, 음식을 먹는 것을 멈출수 없어 두려움을 느낀 경험, 작년 1년 동안 다이어트 경험, 체중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 경험 등에서 COAs집단이 non-COAs집단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여자 COAs집단을 대상으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로짓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중학생 보다는 고등학생인 경우, 마르고 싶은 욕구가 높을수록, 체중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문제 중심 대처기술이 높을수록, 어머니와의 애착정도가 낮을수록, 성적 접촉이나 성적 접촉을 강요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은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에 많이 나타날 수 있는 행위로, 예측 가능한 사회문제라는 점에서 볼 때 적절한 개입시기를 고려하여 지역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정신보건센터나 학교 등의 세팅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Studies have shown that children of alcoholics are at risk of various negative outcomes in term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malfunctioning. Among these undesirable outcomes, the least investigated is likely to be the impact of parental alcoholism on eating disorders of children.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the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nd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that mitigate such behaviors.

    The sample consisted of 1162 female teenagers for grade 7 to 12 living in Seoul. The self- reporte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the teenagers of alcoholic parents were assessed. Other variables such as drive for thinness, body dissatisfaction, problem solving skills, attachment with mothers, experience of worry about being sexually forced and demographic factors(grade, living with biological parents, perception of parental drinking problems, religio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students with alcoholic par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students with non-alcoholic parents with regard to the items of the eating disorder scal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self-evaluation of binge eating, non-stop eating, number of attempts of dieting during last 1 year, use of diuretics.
    Logit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d those who reporte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from those who did not. Six variables in the model wer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have shown that the respondents are likely to have distorted eating behaviors if they have high derive for thinness, low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higher problem solving skill, lower attachment with mother, and experience of have experience of worry about being sexually forced.
    Distorted eating behaviors among teenage girls are very common and it is anticipated predictable social problem. Appropriate intervention periods needed to be reviewed to solve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community. It seems th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or school settings are proper intervention for preven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COAs의 경우 '부모님 두 분 모두 음주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라고 인식한 경우가 40.6%나 되어서 알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이는 집단(적응유연성이 없는 집단)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34%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As집단과 non-COAs집단 간에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서 차이를 보일 것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결과, 폭식경험, 음식 먹는 것을 멈출 수 없어 두려움을 느낀 경험, 작년 1년 동안 다이어트 경험, 체중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 경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OAs집단 경우 폭식경험이 있다고 답한 경우가 82.9%로 non-COAs집단은 76.7%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식조절이 안 되어 두려움을 느낀 경험 역시 COAs집단이 31%로 mon-COAs집단의 18.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작년 1년 동안 다이어트 경험에서도 COAs집단과 non-COAs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적인 다이어트라고 할 수 있는 지난 1년간 10번 이상 혹은 항상(Story et al., 1991: 995) 범주에서는 COAs집단은 11.9%, non-COAs집단은 9.4%가 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체중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경우가 COAs집단(1.8%)은 non-COAs집단(0.5%)보다 많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경험자수가 절대적으로 적어 집단 간의 차이는 향후 추후 검토를 통해 다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반면 체중에 대한 자기평가, 의도적으로 음식을 토한 경험, 체중감소를 위한 구토 유발제 사용 경험 등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에 대한 자기평가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 여부와 상관없이 여학생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의도적으로 음식을 토한 경험이나 구토유발제의 사용과 같이 극단적인 식이장애는 두 집단 모두에서 경험이 매우 낮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여자 COAs는 중학생인 경우, 마르고 싶은 욕구가 낮을수록, 체중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중심 대처 기술이 낮을 수록, 어머니와 애착정도가 높을수록, 성적 접촉이나 성적 접촉을 강요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shown that 40.6% of the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did not recognize their parental alcohol problems, so alcohol education is needed for this specific group. It is also reported that 34% of the respondents show distorted eating behaviors .

    Intergroup comparisions are tested using chi square between the children of alcoholics and children of non-alcoholics. Female teenagers from alcoholic par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non-alcoholic parents with regard to most of the items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used in the study including self-evaluation of binge eating, nonstop eating, frequency of dieting during last year and use of diuretics.

    82.9% of COAs have experience of binge eating, whereas 76.7% of non-COAs have experience of binge eating. 31% of COAs have experience of nonstop eating, whereas 18.1% of mon-COAs have experience of nonstop eating. With the number of attempts of dieting during last 1 year, COAs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e to the non-COAs. 11.9% of COAs and 9.4% of non-COAs belong to the case of chronic dieting which is more than 10 times of attempts of dieting during last year. In the case of binge eating, experience of nonstop eating and the number of attempts of dieting during last 1 year, statist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As and non-COA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COAs and non-COAs with regard to the self-report of weight, number of attempts of self-induced vomiting, and use of Ipecac.
    It is an universal phenomenon for teenage girls to be sensitive about self-evaluation of weigh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COAs and non-COAs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attempts of self-induced vomiting and the use of Ipecac, which are criterias of clinical eating disorders.

    Logit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that insulated those who did not develop eating disorders. Those who did not develop disordered eating among COA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 색인어
  •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여자 청소년, 혼란스러운 식이행동, 보호요인 female children of alcoholics, disturbed eating behaviors, protective factor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