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936&local_id=10014761
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특성과 영향구조에 관한 연구: 구미와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특성과 영향구조에 관한 연구: 구미와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성근(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27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클러스터지역인 구미와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사례로 하여 혁신클러스터의 구축정도와 영향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혁신클러스터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가 사례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즉 혁신클러스터에 대한 구성요소와 영향관계에 관한 모형을 구미와 창원혁신클러스터에 적용함으로써, 혁신클러스터 영향모형을 일반화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미와 창원혁신클러스터는 집적경제와 노동시장, 네트워크, 착근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창원혁신클러스터는 구미혁신클러스터에 비해서 집적경제, 노동시장, 네트워크, 공동학습의 구축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양 혁신클러스터간 착근성과 거버넌스의 구축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과 측면에서 볼 때, 창원혁신클러스터는 구미혁신클러스터보다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혁신성과에서 중요한 기업신설과 개방성·혁신성 제고는 양 클러스터가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기술개발수준과 새로운 기회제공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 분석결과에 의하면, 구미혁신클러스터는 여섯가지 구성요소가 모두 제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영향구조가 조밀한 형태를 띠고 있다. 반면 창원혁신클러스터는 노동시장을 제외한 다섯가지 구성요소가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영향구조가 조밀하지 못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혁신클러스터 영향구조에서 네트워크가 연계기능을 적절히 담당하지 못하고 있고, 공동학습이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구미혁신클러스터의 경우 공동학습과 착근성이 그리고 창원혁신클러스터의 경우 착근성과 네트워크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전제로 해 볼 때, 혁신클러스터의 구축과 혁신성과의 수준은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순히 혁신클러스터의 구성요소별 구축정도가 높다고 하여 혁신성과가 제고되는 것이 아니다. 혁신클러스터의 구축이 혁신성과의 제고를 궁극적 목표로 한다고 볼 때, 혁신클러스터 구축사업은 혁신생산성 제고라는 효율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위해서는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를 파악하고, 구성요소와 혁신성과의 영향관계를 보다 조밀하게 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구미혁신클러스터는 여섯가지 구성요소별 확충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 창원혁신클러스터는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에서 제거된 노동시장의 안정적인 확보와 네트워크의 연계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동학습이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전체의 교육기회제공, 교육훈련기관, 정보통신망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영문
  • 1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클러스터지역인 구미와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사례로 하여 혁신클러스터의 구축정도와 영향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혁신클러스터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가 사례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즉 혁신클러스터에 대한 구성요소와 영향관계에 관한 모형을 구미와 창원혁신클러스터에 적용함으로써, 혁신클러스터 영향모형을 일반화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미와 창원혁신클러스터는 집적경제와 노동시장, 네트워크, 착근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창원혁신클러스터는 구미혁신클러스터에 비해서 집적경제, 노동시장, 네트워크, 공동학습의 구축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양 혁신클러스터간 착근성과 거버넌스의 구축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과 측면에서 볼 때, 창원혁신클러스터는 구미혁신클러스터보다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혁신성과에서 중요한 기업신설과 개방성·혁신성 제고는 양 클러스터가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기술개발수준과 새로운 기회제공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 분석결과에 의하면, 구미혁신클러스터는 여섯가지 구성요소가 모두 제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영향구조가 조밀한 형태를 띠고 있다. 반면 창원혁신클러스터는 노동시장을 제외한 다섯가지 구성요소가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영향구조가 조밀하지 못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혁신클러스터 영향구조에서 네트워크가 연계기능을 적절히 담당하지 못하고 있고, 공동학습이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구미혁신클러스터의 경우 공동학습과 착근성이 그리고 창원혁신클러스터의 경우 착근성과 네트워크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상의 연구결과를 전제로 해 볼 때, 혁신클러스터의 구축과 혁신성과의 수준은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순히 혁신클러스터의 구성요소별 구축정도가 높다고 하여 혁신성과가 제고되는 것이 아니다. 혁신클러스터의 구축이 혁신성과의 제고를 궁극적 목표로 한다고 볼 때, 혁신클러스터 구축사업은 혁신생산성 제고라는 효율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위해서는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를 파악하고, 구성요소와 혁신성과의 영향관계를 보다 조밀하게 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구미혁신클러스터는 여섯가지 구성요소별 확충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 창원혁신클러스터는 혁신클러스터의 영향구조에서 제거된 노동시장의 안정적인 확보와 네트워크의 연계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동학습이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전체의 교육기회제공, 교육훈련기관, 정보통신망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혁신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영향구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