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946&local_id=10014751
평생교육 강사의 평가 준거 및 척도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평생교육 강사의 평가 준거 및 척도 개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영화(홍익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20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학습자 관점에서 평생교육강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그것을 통계적으로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평생교육강사의 직무분석을 수행하여 평생교육강사에게 요구되는 자질 영역을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 , 프로그램 개발, 교수기술, 학습자 평가, 학습상담, 전문지식, 인성 및 태도 영역으로 구분하고 74개의 예비평가문항으로 구성된 평가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평가도구의 구성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수업의 계획성, 수업설계능력, 교육효과성, 강의태도의 적절성, 학습자 평가의 적절성, 교수방법의 다양성, 학습자 상담능력,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수준, 발문의 효과성, 수업자료 및 과제물의 적절성, 전문지식수준, 품성 등 12개의 평가준거가 확인되었으며, 선정된 문항들이 각 평가준거를 구성하는 문항으로서 갖는 내적합치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정한 평생교육강사 평가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이 모형은 높은 구성타당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생교육강사 평가도구는 통계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and statistically validate them. First, on the basis of the job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seven areas of quality required to lifelong lecturers were drawn: (1)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2)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3) teaching skills; (4) evaluating learners; (5) counseling with learners; (6) professional knowledge and (7) personality and attitude. Second, develop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74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we conducted a survey to 1,000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llected 934 responses.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welve evaluation criteria were extracted: (1) the planning quality of lessons; (2) the ability to design lessons; (3) the teaching effectiveness; (4)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 attitude; (5)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learners; (6)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 methods; (7) ability to counsel with learners; (8)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9) the effectiveness of raising questions to learners; (10) the appropriateness of class materials and homework; (11) the level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12) fine character.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factor were found to have very high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itness of an evaluation model also proved that the model had a high level of construct valid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학습자 관점에서 평생교육강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그것을 통계적으로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평생교육강사의 직무분석을 수행하여 평생교육강사에게 요구되는 자질 영역을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 , 프로그램 개발, 교수기술, 학습자 평가, 학습상담, 전문지식, 인성 및 태도 영역으로 구분하고 74개의 예비평가문항으로 구성된 평가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평가도구의 구성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수업의 계획성, 수업설계능력, 교육효과성, 강의태도의 적절성, 학습자 평가의 적절성, 교수방법의 다양성, 학습자 상담능력,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수준, 발문의 효과성, 수업자료 및 과제물의 적절성, 전문지식수준, 품성 등 12개의 평가준거가 확인되었으며, 선정된 문항들이 각 평가준거를 구성하는 문항으로서 갖는 내적합치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정한 평생교육강사 평가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이 모형은 높은 구성타당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생교육강사 평가도구는 통계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분석 결과, 수업의 계획성, 수업설계능력, 교육효과성, 강의태도의 적절성, 학습자 평가의 적절성, 교수방법의 다양성, 학습자 상담능력,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수준, 발문의 효과성, 수업자료 및 과제물의 적절성, 전문지식수준, 품성 등 12개의 평가준거가 확인되었으며, 선정된 문항들이 각 평가준거를 구성하는 문항으로서 갖는 내적합치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현장에 타당성과 신뢰성이 높은 평생교육강사 평가도구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평생교육강사의 질을 높이고 더 나아가 평생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평생교육, 평생교육강사, 평가준거, 평가지표, 학습자 관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