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978&local_id=10012923
동아시아 문학에서의 산문/운문 혼합서술에 대한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아시아 문학에서의 산문/운문 혼합서술에 대한 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신은경(우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8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동아시아 문학에서는 하나의 텍스트 안에 산문과 운문이 혼재하는 서술양식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혼합서술 텍스트들을 개괄하고 그 텍스트들의 형성 기반을 제공한 연원 혹은 祖型을 탐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혼합서술 텍스트의 공통의 祖型 중의 하나로 ‘漢賦’를 제시하고 漢賦의 문학적 특성이 세 나라의 혼합서술 텍스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본고에서는 한부의 영향이 감지되는 ‘-幷序’형 텍스트, 일본의 <이세모노가타리>(伊勢物語), "三國遺事"의 讚詩를 예로 들어 그 구체적인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幷序’형 텍스트의 예로서는 陶淵明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부는 서-본사-결의 3단 구성을 취하는데 서가 발전하여 일본 와카집의 詞書가 이루어졌고 이 詞書를 바탕으로 <이세모노가타리>가 성립되었음을 밝혔다. 한편 頌이나 讚처럼 칭송과 찬미의 어조를 지닌 한부의 '亂'(결어 부분 서두에 사용하는 말)이 발전하여 讚을 이루었다고 보고 그 양상을 규명하였다.
  • 영문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 Style of Prose and Verse in East Asian Liter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동아시아 문학에서는 하나의 텍스트 안에 산문과 운문이 혼재하는 서술양식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혼합서술 텍스트들을 개괄하고 그 텍스트들의 형성 기반을 제공한 연원 혹은 祖型을 탐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혼합서술 텍스트의 공통의 祖型 중의 하나로 ‘漢賦’를 제시하고 漢賦의 문학적 특성이 세 나라의 혼합서술 텍스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본고에서는 한부의 영향이 감지되는 ‘-幷序’형 텍스트, 일본의 <이세모노가타리>(伊勢物語), "三國遺事"의 讚詩를 예로 들어 그 구체적인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幷序’형 텍스트의 예로서는 陶淵明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부는 서-본사-결의 3단 구성을 취하는데 서가 발전하여 일본 와카집의 詞書가 이루어졌고 이 詞書를 바탕으로 <이세모노가타리>가 성립되었음을 밝혔다. 한편 頌이나 讚처럼 칭송과 찬미의 어조를 지닌 한부의 '亂'(결어 부분 서두에 사용하는 말)이 발전하여 讚을 이루었다고 보고 그 양상을 규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인문학은 학문의 성격상 실용적으로 연구성과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도 이런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지만,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다소간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1. 학계에서의 활용방안
    1)혼합서술 문체라고 하는 동아시아 문학의 공통특질을 바탕으로, 한`중`일 문화의 비교에 활용될 수 있다.
    2)같은 주제를 두고 중국`일본의 문학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2.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방안: 국제화의 시대에 한국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중·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나아가서는 한국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것은 우리 문화를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일이다. 특히 비슷하면서도 다른 일본의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국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혼합서술, 산문, 운문, 漢賦, 도연명, 幷序, 삼국유사, 讚, 이세모노가타리, 古今和歌集, 左注, 題詞, 詞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