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988&local_id=10016992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부르디외의 문화생산의 장(場) 이론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부르디외의 문화생산의 장& #40;場& #41; 이론을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오현(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6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3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매체생산과정에 개입하는 힘들과 그 힘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밝혀보고자 KBS <인물현대사>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를 행하였다. 연구결과, <인물현대사>의 인물선정은 프로그램 기획의도의 느슨한 한계 하에 피디가 자신의 성향체계를 바탕으로 부장, 차장, 구성작가, 자문위원 등과의 상호작용과 프로그램에 비판적인 내, 외부의 시선, 시청자의 흥미 및 이해, 영상자료의 확보가능성, 제작기간, 방영시기 등의 고려를 통해 결정하는 과정이었다. 물론,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인물을 선정할 때마다 항상 균등하게 작동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매체생산을 단순히 지배집단이나 정치권력의 이해를 반영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거나 매체생산자들을 단순히 주어진 구조에 순응하여 수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존재로 보는 시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매체생산 국면의 상대적 자율성과 독특성 그리고 매체생산과정의 복합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current television comedy programs has potential fuite but negative actuelite. For this purpose, it conduct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Gag Concert>. As the results, the production of <Gag Concert> is based on the carnival culture of the production team and this culture provides the program with resources for fuite. However, the potential fuite of the program is seriously pressed by several production conditions: 1) fun as an absolute criterion for the program and an arbitrary conclusion on the fun of the program; 2) rigid and clique social criticisms; 3)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s a television program such as production deadline on every week, and broadcasting time and target audiences; 4) poorness of economical investment by the broadcasting company for the program and the exploitation structure of the actors and the actresses. As th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s priority practices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at progressive communication scholars 1) do their best to continuously study the production circumstance of television comedy programs and maintain sufficient understanding them conditions of production; 2) based on 1), continuously produce the social discourses about the programs that are persuasive and acceptable for the production teams; 3) in the course of practicing 1) and 2), make communication and alliance with the production grou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을 잠재적 탈주성과 부정적 현재성이라는 이중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밝혀보고자 민속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개그콘서트>의 생산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그콘서트>의 생산은 제작진의 카니발적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개그콘서트>가 위반과 탈주를 위한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개그콘서트>가 제공하는 웃음의 잠재적 탈주성은 생산과정을 둘러싼 여러 환경들에 의해서 억압되어졌다: 1) 제작진의 재미 절대주의와 재미판단의 자의성; 2) 엄격하고 상투적인 사회적 비판; 3) 텔레비전 생산물로서의 특징; 4) 경제적 투자의 열악성과 연기자에 대한 착취구조.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최우선 과제가 진보적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생산환경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진영에도 설득력있는 사회적 담론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내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진영과 소통과 연대를 이루어내는 것임을 제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분석결과, <개그콘서트>의 생산은 제작진의 카니발적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개그콘서트>가 쥬이상스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플레지르적 수준에서도 위반과 탈주를 위한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개그콘서트>가 제공하는 웃음의 잠재적 탈주성은 생산과정을 둘러싼 여러 환경들에 의해서 억압되어졌다. 첫째, 제작진은 웃음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을 크게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그램의 재미(웃음 유발 가능성) 자체를 절대가치로 삼고 있었으며 재미 여부의 판단은 제작진 내의 권력관계에 의해 형성된 위계적인 다단계 검열체계를 통해 자의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생산환경은 기존의 시각과 관행을 따르는 프로그램이 생산되기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에 대한 엄격하고 상투적인 사회적 비판은 제작진이 생산과정에서 위계적인 다단계의 자기 검열체계를 작동하게 하였다. 이러한 생산환경은 웃음 자원을 고갈시키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타나는 것을 억압하였으며, 코미디의 자발성, 즉각성, 생동성을 제거하여 결국 사회적으로 ‘정상적’인 것을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삼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현실에 대한 희화화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희화화의 대상으로 소수집단들이 선택되어지도록 이끌었다. 다른 한편으로 엄격하고 상투적인 사회적 비판은 제작진들로 하여금 모든 외부 비판에 대해 냉소적 태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제작진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차단하도록 하였다. 셋째,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서 갖는 특성과 관련한 것으로, 먼저 일주일을 단위로 계속해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완성해야하는 상황은 제작진이 기존 코미디의 문법과 형식에 의존하여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가진 프로그램이 나오기 어려운 환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제작이 다단계의 연습과 수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코미디의 즉흥성과 생동성을 제한하였으며 재미 판단의 위계적 검열체계가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한편, <개그콘서트>는 방영시간대로 인해 청소년들이 주요 시청대상층에 포함되었고 이러한 특성은 공영방송사의 생산물이라는 특성과 어우러지면서 더욱더 엄격한 사회적 규제가 가해지도록 하였으며 청소년들의 관심과 이해 수준을 고려하면서 프로그램을 생산하도록 하게 하였다. 이러한 생산환경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웃음의 자원이나 구사할 수 있는 코미디의 장르를 심각하게 제한하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인식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에서의 기여도에 비하여 <개그콘서트>에 대한 방송사의 투자는 열악하였으며 이는 연기자들에 대한 착취구조를 형성하게 하였다. 연기자들은 프로그램의 생산을 실질적으로 담당하여 자신들의 시간과 능력을 최대한 프로그램에 쏟고 있었으나 방송사로부터 받은 임금으로는 (연예인으로서의)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이 착취구조는 자유경쟁이라는 출연방식에 의해 형성된 연기자들의 매우 불안정한 신분을 기반으로 하여 유지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생산환경은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논리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가 분석결과를 통해 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논리적인 비약이나 상투적 주장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연구가 주 목적으로 삼았던 것이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환경에 대한 이해였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연구결과가 시사하고 있는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해보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개그콘서트>의 잠재적 탈주성을 억압하는 생산환경들에서, 궁극적으로 첫 번째 문제는 제작진의 과제, 두 번째 문제는 관련 학자들의 과제, 그리고 네 번째 문제는 방송국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주체들의 자기반성이 선행되
  • 색인어
  • 매체연구, 매체생산, 방송제작, 텔레비전 코미디, 민속지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