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992&local_id=10013837
대통령 지지도 관리 모델: 대통령과 언론의 이슈경쟁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통령 지지도 관리 모델: 대통령과 언론의 이슈경쟁을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영재(한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8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대통령 의제와 언론 보도, 그리고 시민의 대통령지지도간의 상호관계를 추적해 본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계열 VAR 분석과 회귀분석은 공통적으로 언론의 대통령 비판 및 공격이 대통령의 지지도를 하락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수 신문의 대통령 공격이 대통령의 신뢰도 및 지지도를 하락시켰을 것이라는 세간의 추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로 여겨진다.
    둘째 조선일보의 대통령 비판 기사 뿐만 아니라 한겨레와 KBS의 대통령 관련기사가 증가할수록 대통령의 지지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통령의 말, 수사가 늘어날수록 지지도는 떨어지고 있음을 분석 결과는 보여준다. 이 것은 자의든 타이든 대통령의 언론 노출 또는 대통령의 대국민 발언 및 노출은 관리되지 않으면 지지도 하락을 불러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경제 변인과 탄핵 변인이 일관되게 지지도 변화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은 대통령 지지도 형성에 경제와 국가위기 상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들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넷째, 한국 언론이 대통령 지지도 변화에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는 결과는 정치와 언론의 현실을 감안 할 때 언론이 정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정치세력이 그만큼 지지도 관리에 실패하고 있으며, 또한 언론이 대통령 지지집단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 정도의 독자적인 언론 지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말하자면 정파적, 이념적 균열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연구는 언론보도와 대통령 지지도간의 시계열적 실증 분석으로서는 아마도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시도하는 작업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통령 지지도에 대한 시장지배적 신문의 영향력을 과학적으로 보여주는데 일정부분 성공하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 영문
  • Abstract will be uploaded so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대통령 의제와 언론 보도, 그리고 시민의 대통령지지도간의 상호관계를 추적해 본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계열 VAR 분석과 회귀분석은 공통적으로 언론의 대통령 비판 및 공격이 대통령의 지지도를 하락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수 신문의 대통령 공격이 대통령의 신뢰도 및 지지도를 하락시켰을 것이라는 세간의 추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로 여겨진다.
    둘째 조선일보의 대통령 비판 기사 뿐만 아니라 한겨레와 KBS의 대통령 관련기사가 증가할수록 대통령의 지지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통령의 말, 수사가 늘어날수록 지지도는 떨어지고 있음을 분석 결과는 보여준다. 이 것은 자의든 타이든 대통령의 언론 노출 또는 대통령의 대국민 발언 및 노출은 관리되지 않으면 지지도 하락을 불러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경제 변인과 탄핵 변인이 일관되게 지지도 변화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은 대통령 지지도 형성에 경제와 국가위기 상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들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넷째, 한국 언론이 대통령 지지도 변화에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는 결과는 정치와 언론의 현실을 감안 할 때 언론이 정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정치세력이 그만큼 지지도 관리에 실패하고 있으며, 또한 언론이 대통령 지지집단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 정도의 독자적인 언론 지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말하자면 정파적, 이념적 균열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연구는 언론보도와 대통령 지지도간의 시계열적 실증 분석으로서는 아마도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시도하는 작업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통령 지지도에 대한 시장지배적 신문의 영향력을 과학적으로 보여주는데 일정부분 성공하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대통령 의제와 언론 보도, 그리고 시민의 대통령지지도간의 상호관계를 추적해 본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계열 VAR 분석과 회귀분석은 공통적으로 언론의 대통령 비판 및 공격이 대통령의 지지도를 하락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수 신문의 대통령 공격이 대통령의 신뢰도 및 지지도를 하락시켰을 것이라는 세간의 추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로 여겨진다.
    둘째 조선일보의 대통령 비판 기사 뿐만 아니라 한겨레와 KBS의 대통령 관련기사가 증가할수록 대통령의 지지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통령의 말, 수사가 늘어날수록 지지도는 떨어지고 있음을 분석 결과는 보여준다. 이 것은 자의든 타이든 대통령의 언론 노출 또는 대통령의 대국민 발언 및 노출은 관리되지 않으면 지지도 하락을 불러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경제 변인과 탄핵 변인이 일관되게 지지도 변화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은 대통령 지지도 형성에 경제와 국가위기 상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들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넷째, 한국 언론이 대통령 지지도 변화에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는 결과는 정치와 언론의 현실을 감안 할 때 언론이 정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정치세력이 그만큼 지지도 관리에 실패하고 있으며, 또한 언론이 대통령 지지집단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 정도의 독자적인 언론 지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말하자면 정파적, 이념적 균열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연구는 언론보도와 대통령 지지도간의 시계열적 실증 분석으로서는 아마도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시도하는 작업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통령 지지도에 대한 시장지배적 신문의 영향력을 과학적으로 보여주는데 일정부분 성공하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 색인어
  • 대통령지지도, 언론보도, 시계열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