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01&local_id=10013797
설명식 글의 구조화 방식이 텍스트 흥미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설명식 글의 구조화 방식이 텍스트 흥미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신종호(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9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학습장면에서 흥미의 경험은 학습활동에 대한 내재동기를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과정과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학습교재의 속성으로부터 유발되는 텍스트 흥미는 개인차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으며 교재의 조작을 통해 비교적 쉽게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장면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텍스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글의 구조화 전략들을 제안하여 글의 구조화 방식이 흥미와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텍스트 흥미에 관한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글의 구조화 방식은 구체화 전략, 맥락화 전략, 질문하기 전략의 세 가지이다. 먼저 현상을 설명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정보들만으로 응집성 있게 기본텍스트를 구성하고, 기본텍스트에 적용된 전략에 따라 구체화 텍스트(구체화 전략), 맥락화 텍스트(맥락화 전략), 답찾기 텍스트(질문하기 전략)를 구성하였다. 구체화 전략은 기본텍스트의 내용을 뒷받침하는 보충 설명들을 삽입함으로써 텍스트를 보다 구체적이며 상세하게 만들고자 하는 전략이며, 맥락화 전략은 기본 텍스트의 내용을 전개하기에 앞서 일상에서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글의 내용에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전략이다. 마지막으로 질문하기 전략은 글의 전개에 앞서 '왜 그럴까 '에 관한 질문과 그에 대한 선택지들을 제시함으로써 인지적인 갈등을 유도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총 2가지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들을 읽었을 때 지각된 흥미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집단별로 한 가지 구조화 전략이 적용된 세 가지 주제의 텍스트를 읽었을 때, 각 구조화 전략이 흥미와 글의 이해,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세 가지 구조화 전략 모두 전략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텍스트에 비해 지각된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특히 맥락화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를 가장 흥미롭다고 지각하였는데, 그 이유는 글 앞에 제시된 상황이 글 내용에 대해 보다 친근감을 느끼게 해주고 자신의 관련된 경험도 떠올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험 2의 결과에서는 이러한 유의미한 흥미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실험 1과 실험 2의 실험 설계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1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주제에 대한 4가지 다른 유형의 텍스트를 읽게 되므로 적용된 글의 구조화 전략이 기본 텍스트에 비해 더 두드러져 보일 수 있으나, 실험 2에서는 동일한 구조화 전략이 적용된 서로 다른 주제의 글들을 접했으므로 구조화 전략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덜 드러났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해와 기억결과에 있어 실험 2의 결과는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즉 기본 텍스트와 답찾기 텍스트가 나머지 두 텍스트에 비해 기억과 이해 결과에 있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 1에서 가장 흥미롭다고 지각된 맥락화 텍스트에서 가장 낮은 기억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몇몇 구조화 전략들이 비록 독자의 흥미를 높이는 데에는 효과적일지라도 그것이 이해와 기억의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 확인된 이러한 결과는 연구에서 사용된 텍스트의 길이와 ‘유혹적인 세부사항’이 글의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과도 관련지어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본 텍스트는 200 단어 내외의 짧은 글로 한 가지 현상을 응집성 있게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텍스트가 독자로 하여금 텍스트 내용에 집중하게 하여 더 나은 이해와 기억으로 이끌 수 있는 반면, 다른 보충 설명 혹은 상황 등이 추가로 삽입된 구체화 텍스트와 맥락화 텍스트의 경우 구조화 전략이 글의 이해와 기억에 오히려 방해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학생들이 가장 낮은 기억 수행을 보인 맥락화 텍스트의 경우, 글의 전개에 앞서 제시된 상황이 독자가 텍스트 내용을 처리하는 동안 ‘유혹적인 세부사항’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한 가지 흥미로운 결과는 질문하기 전략이 적용된 답찾기 텍스트의 경우 기본텍스트에 비해 기억 수행 결과를 떨어뜨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글의 전개에 앞서 제시된 질문과 선택지가 글의 응집성을 깨뜨리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답찾기 텍스트는 독자의 인지적 갈등을 유도하여 기본텍스트에 비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ository-text structures on interest and memory. Three methods of structuring texts used in the study were detailing, contextualizing, and questioning strategies. Students in grades 6 and 7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 1, a within-subjec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ext interests among different forms of texts. In the experiment 2, a between-subjec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ext-structuring strategies on text comprehension and memory as well as text interest. Results of the experiment 1 showed that students selected contextualized texts as the most interesting. The reason was that students felt contextualized texts practically relevant to their real lives. In addition, texts constructed by using the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est than the base text where no strategies were applied. However, in the experiment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 interest were found among the different forms of texts. In addition, scores on the text comprehension and memory te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se and questioning-strategy texts than in the other two forms of texts. Especially, the lowest performance was found in the contextualized text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o structure expository texts commonly used in school to enhance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ould be the most desirable to construct text contents so as to create cognitive conflicts to readers, when text interest, comprehension, and memory are all consider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설명식 글의 구조화 방식이 텍스트의 흥미와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텍스트의 흥미를 높이는 속성들을 중심으로 세 가지 구조화 전략(구체화 전략, 맥락화 전략, 질문하기 전략)을 제안하고 각각의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에 대해 학생들의 지각된 흥미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또한 그것이 글의 기억과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하에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들을 읽었을 때 지각된 흥미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집단별로 한 가지 구조화 전략이 적용된 세 가지 주제의 텍스트를 읽게 하여 각 구조화 전략들이 텍스트의 흥미와 이해, 기억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세 가지 구조화 전략 모두 전략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텍스트에 비해 지각된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특히 맥락화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를 가장 흥미롭다고 지각하였는데, 그 이유는 글 앞에 제시된 상황이 글 내용에 대해 보다 친근감을 느끼게 해주고 자신의 관련된 경험도 떠올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2에서는 각 텍스트 유형 간에 유의미한 흥미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해와 기억결과에 있어 기본 텍스트와 질문하기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가 나머지 두 텍스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맥락화 전략이 적용된 텍스트에서 가장 낮은 기억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설명식 텍스트를 어떻게 구조화할 수 있을 지에 관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구체적으로 본 결과는 텍스트의 흥미, 이해, 기억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독자의 인지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도록 텍스트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연구결과는 실제 학습교재를 구성하고 제작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습장면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대부분이 설명식 글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기존 연구와 달리 설명식 글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료 구성에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식 글을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주로 내용전달의 체계성과 관련된 것이라면(Jones, Palincsar, Ogle, & Carr, 1987), 본 연구는 학습내용을 어떻게 ‘흥미 있게’ 구성, 전달할 것인가에 주 관심을 두고 진행된다는 측면에서 설명식 글의 구성과 관련하여 또 다른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학습흥미와 관련하여 학습교재 구성에 대한 평가 틀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학습자료와 교재들에 대한 평가에 있어 아직까지 흥미라는 요인은 중요한 평가 준거로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흥미가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고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등 학습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학습교재의 평가에 있어 흥미 요인은 결코 빠져서는 안 될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명식 글의 흥미 유발을 위해 제안한 구조화 전략들과 그에 대한 효과 검증 결과는 학습교재의 평가 틀 구성과 관련하여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색인어
  • 텍스트 흥미, 기억, 설명식 글, 글의 구조화 방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