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09&local_id=10013054
조나단 스위프트의 化粧室(dressing-room) 담론-- 여성의 미(美), 몸,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위계(hierarchy) 차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조나단 스위프트의 化粧室& #40;dressing-room& #41; 담론-- 여성의 미& #40;美& #41;, 몸,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위계& #40;hierarchy& #41; 차이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문순(한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6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스위프트의 작품속에는 『걸리버 여행기』에서 걸리버가 브롭딩낵(Brobdingnag) 나라에서의 하녀와의 만남처럼 기억에 남는 화장실 장면이 등장한다. 걸리버의 여성 묘사에는 여성에 관한 스위프트가 사용하는 모든 풍자의 수사가 총동원된다. 여성들의 벗은 몸은 "유혹적인 장면과는 거리가 먼" 혐오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나라의 거인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난장이처럼 보이는 걸리버를 경악하게 한다. 물론 이러한 사건은 역설적이에도 그들의 화장실--그들이 자신들을 아름답게 꾸미는 공간인--에서 일어난다. 같은 시기에 스위프트가 쓴 시에서는--특히 "The Progress of Beauty," "The Lady's Dressing Room," "A Beautiful Young Nymph Going to Bed," "Strephon and Chloe," 그리고 "Cassinus and Peter" 같은 시에서는--이러한 묘사가 의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들 시에서 스위프트는 여성의 몸을 풍자하고 있다. 화장실 수사(trope)을 통해 스위프트는 여성의 몸이 그로테스크하고 궁극적으로는 분변(糞便)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더구나 화장실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성(gender) 위계의 효과를 만들어 내고 주체 형성의 공적 구분과 사적 구분을 불분명하게 하는 노출의 수사학(rhetoric of exposure)을 용이하게 해준다. 사적 공간에 있는 여성을 관찰하는 행위는 공공의 영역에서는 감춰진 여성을 사적인 영역에서 관찰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한다.
    앞서의 스위프트의 시들은 이러한 패턴을 따르고 있는 동시에 풍자를 통해 여성을 비난하고 조롱하기위해 화장실 수사를 사용하고 있다. "The Progress of Beauty"와 "A Beautiful Young Nymph Going to Bed"에서 스위프트의 풍자는 여성적 미는 신체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다. 즉, 여성적인 미는 관찰의 영향으로 생겨나는 단지 하나의 추상적인 개념에 불과하게 된다. 이 두시는 여성의 몸과 여성적인 미를 상호 배타적인 불가능의 개념이라고 묘사하면서 여성의 몸에 관련된 특정한 기술(account)과 이것이 만들어낸 일반적 진실사이의 긴장을 노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몸과 미라는 개념은 인식론적으로 반대가 되는 개념으로 되며 순차적으로 물질적인 구체성과 추상적인 일반성사이의 차이와 동일시된다. "The Lady's Dressing Room"은 관찰의 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안에서 여성의 몸을 구체적으로 경험한 후 이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이 추론된다. 그러므로 화장실은 스위프트의 풍자적 목표와 인식론적 목표가 추구되는 상상의 공간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부분적으로는 이속에서 여성은 자신의 몸과 지력으로 이와 같은 목표에 도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에서 스트레폰(Strephon)이 씰리아(Celia)의 요강을 발견하는 것은 특권화된 영역인 남성들의 화장실과 이것의 상대인 여성들의 은밀한 화장실 사이의 차이를 노출시킴으로써 스위프트는 18세기 사회의 위계를 공고히 구현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풍자시들은 여성적인 미가 단지 하나의 책략임을 반복해서 주장함과 동시에 여성의 몸을 파편화된 육체성이 결여된, 마치 사람의 몸이라고 부를 수 없는 하나의 의체(義體, prosthesis)로 재현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시들은 여성의 몸과 여성적인 미의 관계를 특정한 관찰과 일반적인 진실과의 관계에 관한 의문을 제기하는데 사용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관찰의 속성이 있는 특정 관찰이 과연 얼마나 타당한지에 관한 의문을 제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스위프트의 화장실은 여성적인 미와 여성의 몸을 사회적 질서와 인식론적 질서 둘 다를 포함하는 개념을 재현하는 공간인 셈이다.
  • 영문
  • Dressing-rooms undress the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in Restoration and eighteenth-century English literature. Although the eighteenth-century witnessed improved material conditions that made women more equal with men, the construction of the dressing-room conceptualized modern gender difference and introduced strategies to facilitate its regulation. This regulation functioned to hold men and women in a strict hierarchy that the dressing-room potentially threatened. The dressing-room first institutionalized privacy for women and foregrounded the possibility that women hid their true selves beneath clothing and cosmetics; but it also evoked a range of connotation that represented female subjects as having access to privileges ordinarily reserved for men. As an private space central for ordering structures outside of it, dressing-room scenes enact a logic that attempts to render women as spectacles and inferior to men, and men as spectators and superior to women. Therefore the trope of the dressing-room stages a profoundly performative structure of gender identity and gender difference that attempts to naturalize this hierarchy. Female subjects need to be watched by masculine subjects because this activity defines them both; yet the very act of observing women is confound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e dressing-room. The possibility of a closed dressing-room thus gives rise to speculation about what sorts of activities might be happening insid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화장실은 왕정복고 시대와 18세기 영국문학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위계를 드러내주는 매개이다. 18세기에 들어와 여성들만의 고유 공간인 화장실이 생겨남으로써 현대적인 의미의 젠더 차이가 개념화 되었고 이를 통제하려는 전략들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통제는 화장실이라는 공간이 생겨남으로써 잠재적으로 위협을 받는 남성과 여성의 위계의 차이를 남성의 입장에서 한층 더 공고히 하는 기능을 하였다. 화장실은 무엇보다도 여성만의 사적 공간이 확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따라서 여성들이 의상과 화장이라는 위장 밑으로 여성이라는 본래의 자아를 숨길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겨났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하지만 이는 또한 보통 남성들에게만 유보되어있던 특권을 여성도 향유할 수 있다는 함의를 만들어냈다. 여성만의 사적 공간인 화장실에 관한 묘사는 여성을 구경거리로,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만들고, 동시에 남성은 구경하는 자, 여성보다 우월한 존재로 만드는 논리를 만들어 냈다. 그러므로 화장실 수사(trope of dressing-room)는 이러한 위계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만들려는 젠더 정체성과 젠더 차이가 수행되는 무대가 된다. 관찰이라는 행위를 통해 여성 주체와 남성 주체 둘 다가 정의되고 있기 때문에 여성 주체는 남성 주체에 의해 관찰되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여성을 관찰하는 행위 자체는 화장실이라는 사적인 공간이 도입됨으로써 혼란을 겪게 된다. 공개되지 않은 화장실이라는 가능성은 그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가를 추론하게 만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scatological poetry에 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결과를 나았으며 이는 18세기 영국문학에서의 젠더의 위계와 젠더의 차이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Jonathan Swift; dressing-room; woman; gender; scatolog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