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16&local_id=10017038
다학제간 접근을 통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노년 예측 모형구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다학제간 접근을 통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노년 예측 모형구축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주일(한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1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학제간 접근을 통해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었다. 한국 노인들이 생각하는 행복한 노년, 성공적인 노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성공 집단과 비성공 집단을 구분하여 이들의 정서경험 및 심리적 특성, 사회적 활동 및 관계, 노화에 대한 생각, 전쟁과 같은 사회적 사건의 영향, 생태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연구 참여자들은 한림대학교에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3년에 걸쳐 실시한 HAS(Hallym Aging Study)에 참가한 노인들이었다. 1차 연구와 2차 연구에 모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종단적 자료를 구축한 후, 이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의학, 심리, 사회 분야의 성공적 노년의 선정 기준에 따라 성공적 노화 집단을 구분하였다. 각 기준에 따라 선발된 성공적 노화 집단으로 84명(평균연령 72.23세, 표준편차 4.88/남자 60명, 여자 24명)이 추출되었다. 또한, 성공적 노화 집단과 대비되는 집단으로 세 기준에 입각하여 69명(평균연령 75.57세, 표준편차 3.89/남자 20명, 여자 49명)을 추출하여 비성공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총 26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기 위해 연구 참가자와 연락을 시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심층 면접에 응해서 면접이 가능했던 연구 참가자는 최종적으로 123명이었다. 선정된 연구 참가자를 대상으로 전문연구조사원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성공적 노화’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한 결과, 노인들은 신체적 건강, 경제적 안정, 심리적 안녕감이 유지될 때 성공적이고 행복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특히 성공 집단의 경우에는 자식의 행복이나 배우자 등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점이 차이가 있었다. 성공 집단과 비성공 집단의 노인들이 자신의 지나온 삶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하는지 알아본 결과, 성공 집단의 노인들 70% 이상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비성공 집단의 노인들 70% 이상은 자신의 삶에 대해 불만족스럽고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집단과 비성공집단의 노인들의 일상과 정서경험 및 대처, 사회활동 유지에 대해 비교해 본 결과, 성공집단의 노인들은 일상이 대체로 규칙적이며 자신 만의 일을 갖고 있었다. 또한 부적 정서에 대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성공집단의 노인들은 일상이 불규칙적이고 특별히 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정서에 대해 무기력하고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self)에 대한 인식도 성공집단의 노인들은 자기 자신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했으나, 비성공집단의 노인들은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자기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사회적 활동에 있어서도 성공집단의 노인들은 구체적인 사회적 활동을 여러 가지 하고 있으며, 그 활동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고 역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쟁 또는 기아의 경험이 노인의 인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 결과, 동일한 경험에 대해서 성공 집단의 노인들은 긍정적인 해석과 의미 부여를 통해 부정적인 사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비성공 집단의 노인들은 부정적인 해석을 통해 실제 사건의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 모델에 대한 타당성 확인을 위해 생태학적 분석 및 서구의 성공적 노후 모델과 비교 검토하고, 본 연구가 한국 노인에 대한 성공적 노화 모델 구축에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predictive model of successful aging of the Korean elderly by interdisciplinary approach. We investigated how Korean elderly thought about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or 'bliss in aging' by the depth interview. Furthermore we classified a successful aging group and an unsuccessful aging group and th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daily life, emotion experienc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hips, opinions about aging, effects of social events such as wars and starvation, the relationship of aging and ecological features. The participants were old people over 65 who were dwelling on the Chuncheon or Seoul and all of them already participated first and second wave of Hallym Aging Study, from 2002 to 2005. To classify a successful aging group and an unsuccessful aging group, we made medical,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ndards based on the academic rationale. Finally we selected the successful aging group who were maintaining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activity(N=84, male 60, female, 24/ mean age = 72.23, sd= 4.88) and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who had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nd had no social activity(N=69, male 20, female 49/ mean age = 75.57, sd=3.89). To conduct depths interviews about successful aging, we contacted a participant by individually. Well-trained professional interviewers visited participants' house and had an interview. Ultimately, 123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In result of the depth interview about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answered that physical health, economic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successful aging. Especially, the successful aging group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ir family's happiness(children or spouse). However,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There were differences in evaluation one's own life: the 70% of the successful group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of their lives but the 70% of the unsuccessful group expressed unsatisfaction of their lives and assessed their lives negatively. We compared the successful and the unsuccessful group in reference of daily lives, emotion experience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activity. In result, the successful aging group's daily lives were regular. The successful aging group had their own activities and works, and regulated their emotions by using effectiv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In contrast,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s daily life was irregular.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had no special works or activities, and regulated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passively and helpless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awareness of 'self': the successful aging group realized their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themselves and assessed positively, but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were not aware of themselves distinctively and assessed negatively. In regards of social activity, the successful group participated in several activities actively and were aware of the meaning of the social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but the unsuccessful group didn't. In respect of the experiences of wars or starvation, the successful group minimized the negative effects of those experiences by positive reinterpretation but the unsuccessful aging group expressed their negative views about the result of traumatic experiences, such as wars and starvation. To validat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model, we did ecological analysis and compared our model to other successful aging model. The meanings of this study which is building Korean's own successful aging model we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 측면, 의학적 측면, 사회관계적 측면에서 모두 양호한 노인과 실패한 노인 266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조사에 응한 123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266명의 선정은 기존의 종단적 패널에서 선정하였으며, 2003년과 2005년에 실시된 노인 종단 패널을 대상으로 심리, 사회, 사회복지, 의학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년의 의미가 무엇이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성공 노인과 비성공노인을 나누어 정서경험의 차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념의 차이, 사회 및 가족 관계의 차이, 노화고정에 대한 차이, 인생 경험 및 삶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성공 노인과 비성공 노인의 생태적 삶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크게 (1) 성공노인과 비성공 노인간의 정서경험의 차이, (2)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념의 차이, (3) 사회 및 가족 관계에서의 차이, (4) 노화 과정에 대한 차이, (5) 인생 경험 및 삶의 차이, (6)성공, 비성공 노인들의 생태적 삶의 차이 등으로 정리되었다. 또한 기존의 종단적 패널자료에서 성공적 노화와 비성공정 노화의 분석 틀에 맞는 사람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학, 사회 복지학, 심리학 및 사회 의학 관련 저널에 발표를 하고, 심리학회와 노년학회 등의 학술대회에서 심포지엄을 통해 결과를 발표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의 발표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이 연구결과들을 편집, 집대성하여 도서를 발간하여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123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원 데이터와 자료 수집 과정에 작성한 인터뷰 녹화 자료는 행복한 노화에 대한 강의 및 사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색인어
  • 성공적 노화, 다학제간 접근, 정서경험, 인생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