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17&local_id=10013773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 듣기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 듣기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행(호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4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 듣기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

    본 연구는 1994년 도입된 이래 13년 이상 실시되어온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 듣기평가에 대한 평가로서, 듣기 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washback effect)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질문 1) 수학능력 시험 영어듣기평가의 특성은 무엇인가 2) 듣기평가와 듣기평가가 영어교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중등 영어교실에서 실제 영어 듣기 교육의 양상은 어떠한가 이 제기되었다. 연구질문 1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실시된 평가문항을 언어기능, 주제, 상황, 지문유형, 사실적/추론적 이해질문의 5가지 범주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질문 2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사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38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질문 3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4개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2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8회의 수업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각 연구 질문에 대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능력 시험 듣기평가에서의 언어기능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는 데에 필요한 기능과 직장생활에서 업무수행과 관련 필요한 언어기능을 다루고 있고, 주제도 일상적인 것과 전문적인 주제가 포함되었으며, 상황은 실생활 중심이었고, 지문은 두 사람간의 대화와 방송, 녹음된 메시지, 알림, 강의 등 진정성이 있는 글귀가 활용되었으며, 질문은 사실적인 내용 이해와 추론적인 이해를 묻는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수학 능력 시험 듣기평가가 학생들의 듣기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듣기학습, 듣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으나, 평가의 신뢰도, 내용, 유형에 있어서 보통의 만족도를 보여줌으로써 평가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면담조사결과 교사들은 듣기평가의 부정적인 역류효과로 평가의 유형에만 맞추어 학습하는 것을 들었고, 긍정적인 역류효과로는 듣기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학습방향제시를 들었다. 넷째, 수업관찰표를 분석한 결과 듣기학습은 수업시간에 교사에 의해서 활동중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자율학습시간에 학교방송을 통해서 하루 20분-30분씩 녹음된 테이프를 듣고 문제풀이를 하는 방식으로 행해짐을 알 수 있었다.
  • 영문
  • The Washback Effects of English Listening Test in Korean CSAT on Secondary School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ashback effects of English listening test in Korean CSAT o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n EFL secondary schoo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or this study. 1) What are the CSAT English listening test's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teachers' opinions about the CSAT listening test and its effects on English teaching 3) What are actual aspects of the English teaching practices in secondary English classroom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1, the test items conducted over 13 years from 1994 to 2006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5 categories such as language functions, topic, situation, text type, and factual/inferential understanding. For the research question 2,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85 high school teacher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38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research question 3,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total of 8 class observations for 2 different teachers' classes from 4 different schools.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language functions covered in the test were about both everyday life and work place. The topics of the test items were related with everyday life and professional one. Situations were concerned with real life. Text types included both dialogues and genuine passages such as recorded message, broadcast, weather forecast, announcement, notice, and lecture. Questions were asked for either factual understanding or inferential understanding. Secondly, questionnair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 listening test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otivation, listening learning, listening ability, while they showed a mediocr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test reliability, contents, types. Thirdly, the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negative washback of the test was teaching and learning only preparing for the test while the most beneficial washback of the test was stimulation of motivation and guideline of listening learning. Lastly, analysis of the class observation checklists manifested that listening learning and teaching took place not with some activity based tasks in a class by a teacher but with 'listen and choose the right answer' type test preparation through school broadcast system in a self study wa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 대학 입학 수학능력 시험에서 영어 듣기평가는 1994년 도입된 이래로 문항수와 유형에 있어서 약간의 변화를 거치며 현재까지 13년 이상이나 실시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수학능력시험 영어 듣기평가에 대한 평가로서, 듣기 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washback effect)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듣기평가에 활용된 문항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1994년부터 2006년 까지 13년 동안 실시된 평가문항을 수집하여 언어기능, 주제, 상황, 지문유형, 사실적/추론적 이해질문의 5가지 범주에서 각 문항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언어기능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는 데에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인사하기, 사람/ 장소 묘사하기, 제안하기, 감정표현하기, 좋아하는 것 말하기, 도움청하기, 정보요청하고 주기, 동정보이며 반응하기, 불평하기, 축하하기 등이 다루어졌다. 또한 직장생활에서 업무수행과 관련 필요한 언어기능으로 일자리 지원하기, 아프다고 전화로 연락하기, 약속하기, 약속 변경하여 정하기, 전화 메시지 남기고 받기, 동료 격려하기 등이다. 2) 주제도 가족, 친구, 사람, 시간, 장소, 날씨, 옷, 음식, 돈, 건강, 운동, 교통 등 일상적인 것과 환경, 교육, 기술, 컴퓨터 등 전문적인 주제가 포함되었다. 3) 상황은 식료품가게, 백화점, 우체국, 도서관, 학교, 강의실, 학교식당, 음식점, 공항, 버스/기차역, 공항, 병원, 가정, 직장 등이 다루어졌다. 4) 지문은 대화와 글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대화는 주로 두 사람 간에 주고받는 대화로 이루어졌고, 글귀는 한 두 문단정도의 길이로 된 혼자서 말하는 형태로서 녹음된 메시지, 방송, 일기예보, 알림, 강의 등으로 이루어졌다. 5) 듣기이해를 점검하는 질문은 지문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사실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묻는 유형과 주어진 사실적인 정보와 맥락을 바탕으로 의미를 유추하여 이해하는 추론적인 이해를 묻는 유형(전화목적, 화자의 의도, 대화참여자들의 관계, 주제 등)이 활용되었다.
    수능 영어 듣기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내기 위해 실시한 고등학교 영어교사 385명에 대한 5점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1) 듣기평가가 학생들의 영어 듣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동기유발을 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데에 매우 동의하였고 (4.25), 2)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으며 (4.18), 3)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데에 대체로 동의(3.85) 하였다. 그러나 평가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신뢰도(3.26), 내용(3.15), 유형(3.07), 현재상태로 평가가 지속 되어야 함(3.02)에 있어서 보통의 만족도를 보여줌으로써 평가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설문을 보충하기 위해 지역별로 선정한 38명의 영어교사들과의 면담결과 교사들은 듣기평가의 부정적인 역류효과로 1) 수능에서 읽기와 듣기만을 다루므로 수업시간에도 읽기와 듣기와 같은 이해기능에만 치중함 (60.53%), 2) 듣기활동도 진짜 듣기활동이 아닌 수능에서 다루어진 유형 위주의 듣기 문항풀이 훈련 만을 하고 있음 (39.47%), 3) 평가유형에 익숙해지게 하는 훈련 만을 가져옴 (34.21%), 4) 듣고 선택지에서 고르는 유형만을 활용하므로 추측에만 의존하여 정답을 고르게 됨(21.05%)을 들었다. 반면 긍정적인 역류효과로는 1) 듣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임 (81.58%), 2) 듣기 자료개발 (68.42%), 3) 듣기 기능 향상을 위한 동기유발 (65.79%), 4) 듣기 교수 학습을 위한 방향제시(42.11%)를 답했다.
    중등학교 영어교실에서 영어수업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4개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2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8회의 수업관찰을 실시하였고, 관찰 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시간에 듣기기능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으며 교과서 새 단원의 도입단계에서 몇 몇 선생님들에 의해서만 약 5-7분 정도씩 실시되었다. 2) 듣기 기능은 수업의 형태로가 아니고 아침 자습이나 점심식사 후 쉬는 시간에 정규적으로 20분-30분정도 거의 매일 학교방송을 통해서 일제히 실시되었다. 3) 듣기자료로는 EBS 방송교재를 모두가 활용하고 있었으며, 3학년 교실에서는 EBS 방송교재 외에 상업용 듣기교재를 채택하여 기 출제된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풀이를 하였다. 4) 듣기활동으로는 순수한 듣기활동을 위한 과업은 활용되지 못하였고, 듣고 선다형문제에서 답고르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었고, 가끔 교과서에서 듣기활동을 하는 교사들은 듣고 빈칸채우기를 활용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 듣기평가가 중등 영어 교수. 학습에 미치는 역류효과는 교육과정, 교사의 인식, 교육양상의 세 가지 영역으로 정리된다. 먼저 평가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1998년 도입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새로이 듣기능력에 대한 성취기준을 포함하도록 하였고, 수능 듣기평가의 목표를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듣기기능의 목표 및 성취기준과 부합되도록 하였다. 다음 평가가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교사는 평가가 학생들의 듣기에 대한 동기유발, 듣기학습, 듣기능력향상에 매우 긍정적이라고 보고 있으며, 평가의 신뢰도, 내용, 항목유형, 현 상태로 지속되어야 함에 보통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교육양상에 있어서는 첫째 듣기기능은 교과서에 의해서가 아니라 과거 출제된 문제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연습하도록 되어있는 평가 준비 문제집을 통해 훈련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듣기는 실제 수업시간에 다루어지기 보다는 자습방식으로 공부하도록 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고등학교들에서는 학생들에게 EBS 수능 듣기문제 풀이를 학교방송을 통해서 매일 20-30분씩 다 함께 듣게 하고 있었다. 넷째, 수업시간에 활용되는 듣기활동은 의미 있는 과업을 통한 진짜 듣기활동이 아니고 선다형 문항에서 듣고 답 고르기 에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수학능력시험 시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나 평가개발에 참여한 평가개발자들로 하여금 현재 시행되는 수능 영어 듣기평가의 형식, 내용, 유형, 실행과정 등에 대한 반성과 함께 듣기평가가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개선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은 영어 듣기평가의 목적과 기대효과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통해 평가와 수업의 목표를 일치시키고, 수업내용과 방법에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영어 듣기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 색인어
  • 영어 평가, 듣기평가, 수능영어평가, 평가의 환류효과, washback effect, backwash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