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33&local_id=10013786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의 도전: 거시역사적 적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농업체제의 위기와 세계화의 도전: 거시역사적 적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철규(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9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한국 농업이 세계체제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으며, 세계체제의 변화가 그 위치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여 작금의 위기를 낳았는가를 거시 역사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분석의 초점은 근대화에 의해 초래된 남한의 농업 위기와 세계화에 의해 유발된 위기가 어떻게 서로 중첩되면서, 한국의 농업과 농민들을 심각한 재생산 위기에 빠지도록 하였는가 하는 것 이다.
    1980년대까지의 한국 농업 위기는 국가주도적 근대화의 틀 속에서 생성되고 심화된 위기였다. 이 첫 번째 위기는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의 기획 하에 세계를 풍미한 발전주의의 내면화 과정에서 발생했던 것이다. 반면 1990년대 이후 진행되어온 우리나라의 두 번째 농업 위기는 세계화라는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구조 및 이념적 변동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즉, 발전주의의 해체와 미국 헤게모니의 쇠퇴에 따라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신자유주의적 시장주의가 제도화되면서 근대화의 틀 속에서 유지되면 농업이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중적 위기(double crises)는 남한 자본주의 발전의 압축성 때문에 동시적으로 경험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그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도 매우 크다. 농업의 이중적 위기는 한국 사회에서 먹거리의 위기와 사회적 위기를 의미하는 데, 앞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 영문
  • By employing a macro historical approach,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questions of where the Korean agriculture was located in the world system, how its position changed over time, and how the change led to the current crisis. The analytical focus is given to the overlap of two crises, one stemming from the modernization and the other from globalization, and how the crises were translated into a serious reproduction crisis of Korean farmers and agriculture.
    The crisis of Korean agriculture until the 1980s was formed and deepened by the state-led modernization which emphasized industry and marginalized agriculture. This first crisis was a child of developmentalism, promoted and planned by the US after the World War II. Meanwhile, the second crisis of Korean agricultur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ructural and ideological changes of the 1990s in the world economy.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globalization. As the dissolution of developmentalism and the decline of US hegemony have been taking place, world capitalist system is in the process of a major restructuring. Neo-liberal market fundamentalism has undermined the basis of Korean agriculture maint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modernization. The Korean farmers are now exposed to two crises since the two coexist because of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This makes the crisis even more serious problem in socio-economic terms. The double crises implies that Korean people are vulnerable to food and thus social crisis. Alternative food movement is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and to resurrect 'the soci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한국 농업이 세계체제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으며, 세계체제의 변화가 그 위치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여 작금의 위기를 낳았는가를 거시 역사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분석의 초점은 근대화에 의해 초래된 남한의 농업 위기와 세계화에 의해 유발된 위기가 어떻게 서로 중첩되면서, 한국의 농업과 농민들을 심각한 재생산 위기에 빠지도록 하였는가 하는 것 이다.
    1980년대까지의 한국 농업 위기는 국가주도적 근대화의 틀 속에서 생성되고 심화된 위기였다. 이 첫 번째 위기는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의 기획 하에 세계를 풍미한 발전주의의 내면화 과정에서 발생했던 것이다. 반면 1990년대 이후 진행되어온 우리나라의 두 번째 농업 위기는 세계화라는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구조 및 이념적 변동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즉, 발전주의의 해체와 미국 헤게모니의 쇠퇴에 따라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신자유주의적 시장주의가 제도화되면서 근대화의 틀 속에서 유지되면 농업이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중적 위기(double crises)는 남한 자본주의 발전의 압축성 때문에 동시적으로 경험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그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도 매우 크다. 농업의 이중적 위기는 한국 사회에서 먹거리의 위기와 사회적 위기를 의미하는 데, 앞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한국에는 '근대화의 농업위기'와 '세계화의 농업위기'가 있으며, 압축적 사회변동 속에 두 위기는 중첩해서 나타나고 있다. 공업을 중심에 둔 자유무역협정은 전통적인 농민운동과 농업 정치를 약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먹거리 정치를 바탕으로, 대중적 지지를 확보해야 한다.

    생산주의적 농업 정책이 아닌 사회적 연대, 생태, 문화를 키워드로 하는 농업 정책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농업 위기, 농업 세계화, 한국 농업체제, 자본주의 발전, 먹거리 정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