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연구 결과를 내용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화와 생명공학의 친화성,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생명공학에 미친 영향, 세계화 시대 종교의 두 흐름(세속화와 종교의 부흥), 세계화가 종교에 미친 영향(종교의 사사화), 대체종교로서 생명공학의 대두, 생명 ...
1. 본 연구 결과를 내용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화와 생명공학의 친화성,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생명공학에 미친 영향, 세계화 시대 종교의 두 흐름(세속화와 종교의 부흥), 세계화가 종교에 미친 영향(종교의 사사화), 대체종교로서 생명공학의 대두, 생명공학에 대한 세계 종교 - 유대교, 기독교(가톨릭과 개신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 의 반응, 초인간주의 운동의 사회문화적 함의, 기술세속주의 시대 종교의 미래 전망.
2.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으로서, 우선 한 편의 논문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201>(학술진흥재단 등재지)(2007년 8월 31일 발행 예정)에 게재되어 사회학, 종교학, 신학, 생명공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 의미있는 토론을 유발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그리고 또한 최근 하버드대가 3년간의 연구를 거쳐 최근 30년만에 최대 규모로 커리큘럼 개편을 확정지으면서 학부생의 교양필수과목으로 종교학의 범위를 한층 넓힌 '문화와 믿음'을 새롭게 지정한 것에서도 잘 드러나듯, 본 연구결과중 '인간배아 복제의 윤리성' 문제를 논한 부분은 국내 학부생의 생명공학에 대한 관심을 진작시키고 교양을 증진시키는 데 일정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개인적으로 본 연구자는 소속 대학에서 사회학 개론, 인간과 사회, 사회학이론 및 사상, 사회문제 그리고 생명과학과 사회 등을 교수하고 있는데 본 연구결과를 적절히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