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38&local_id=10013829
地理誌를 이용한 조선시대 堤堰의 지역적 특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地理誌를 이용한 조선시대 堤堰의 지역적 특성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치영(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9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간행된 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는 제언 관련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언의 전국적인 분포와 그 지역별 특성과 함께, 제언의 규모와 위치 등의 특징 등을 고찰하였다.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 '여지도서'를 이용한 조선시대 제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조선시대에는 지방 사회의 실정 파악, 조세 확보를 위한 지방의 경제, 재정, 인구실태의 조사 등을 목적으로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을 지역적 범위로 하므로 전국지리지 중 제언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堤堰條가 포함된 18세기 중반의 여지도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2. 조선후기 제언의 전국적 분포 고찰

    제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조선후기 제언의 전국적인 분포를 고찰하였다. 도별, 군현별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제언의 분포와 자연조건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자연조건 중에서는 기후, 지형, 하천 등이 제언의 분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기후로는 강수량의 차이, 지형으로는 산지와 구릉지, 평야의 분포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다음으로는 제언과 사회경제적 조건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각 지역의 인구규모와 인구밀도, 논면적, 농업의 집약성, 지역 나름의 기술적 전통 등이 제언 분포에 중요한 조건이 되었다.


    3. 조선시대 제언의 특성에 대한 파악

    본 연구에서 구축한 제언 데이터베이스는 조선시대 전국 330여개 군현의 제언을 총망라하며, 제언의 위치는 물론 둘레, 길이, 폭, 깊이, 몽리면적 등이 모두 포함되었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면, 조선시대 제언의 여러 가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 제언의 평균 규모를 추산하며, 이것이 지역별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둘레, 길이, 깊이, 몽리면적 등 제언의 세부 제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길이와 깊이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길이, 깊이 등이 몽리면적과는 비례하는지 등을 계산하였다.
    이밖에도 제언의 제원 파악을 통해 당시의 토목기술을 엿볼 수 있고, 각 군현별 제언의 몽리면적과 논면적의 비교를 통해 당시 벼농사의 수리 안전성을 단편적이나 추정해 볼 수 있었다.
  • 영문
  • This paper analyz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mbankment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Using materials of irrigation work found in the Yeojidoseo in 330 counties nationwide during the 18th century was pre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With regards to population size, those regions wher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s (Gamyeong) were located, and where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enters, such as, the Bu, Daedohobu, Mok, Dohobu, were established, usually had large populations. In addition, large population centers were uncovered in counties and villages in northern areas such as the Pyungan, Hamgyeong, and Hwanghae provinces. In comparison, the population in southern areas, such as the Chungch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was found to be much smaller. This discrepancy in population size can be attributed to the considerably larger size of the northern provinces than the southern ones.
    However, different results were exhibited with regards to population density. The population density of those counties and villages located in plain areas and on islands near the coas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Moreover, the population in the southern provinces, an area which enjoys a favorable topography and natural conditions, as well as large-scale agricultural lands, was found to be quite dense. On the other hand, those regions where the topographic and geographic conditions were not as favorable exhibited lower population density ratios.
    As the Chosun dynasty was an agricultural society, the various phases of population distribution that occurred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lands. Using a statistical approach, this paper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the density of agricultural land. It was uncovered that as the density of agricultural lands increased so did the population density. With regard to the types of agricultural lands found in the various regions of the country, the Gyeonggi, Gyeongsang, Jeolla, Chungchong, and Pyungan areas were found to have a high density of rice paddies, while the Gangwon, Hamgyeong, and Hwanghae areas exhibited a high density of field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벼는 다른 작물과는 달리 생육기간 거의 내내 물속에서 자란다. 따라서 벼농사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토지자원으로서의 土壤과 수자원으로서의 灌漑水의 결합이 전제되어야 하며, 적절한 물의 공급과 관리는 벼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전통사회에서는 "한 나라의 政事 중 농사보다 더한 것이 없고, 농사의 요체 중 水利보다 더한 것은 없다"며 수리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수리는 용수원의 종류와 관개시설의 형태, 수리관행, 수리조직의 성격, 수리공간의 배치, 용수의 과부족 등 여러 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유형화할 수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용수원의 종류이다. 용수원의 차이에 따라 관개시설의 형태와 구조, 관리조직의 성격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용수원의 차이는 수리라는 측면에서 본 농업지역의 구조를 규정한다. 이 같은 의미를 지닌 용수원에 기초하여 관개체계를 유형화하면, 일반적으로 河川 灌漑,, 溝渠 灌漑 , 貯水池 灌漑, 湖沼 灌漑, 地下水 灌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온 것은 하천 관개와 저수지 관개이다.
    하천 관개는 洑나 水車 등의 수리시설을 이용해 하천수를 관개용수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중에서도 축조와 관리가 용이한 보를 이용한 하천관개는 산지와 소하천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해 온 관개 방식이었다. 한편 저수지 관개는 저수지, 즉 堤堰을 이용해 흐르는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농경지에 관개하는 방식으로, 많은 물을 이용할 수 있어 관개할 수 있는 면적 즉 몽리면적이 넓고 수온도 흐르는 물보다 높아 효율성 면에서는 보를 이용한 하천관개에 비해 장점이 많다.
    그러나 제언은 보와 비교해 축조와 관리에 엄청난 비용과 노동력, 그리고 기술이 투입되었고, 따라서 제언의 건설 및 유지 관리는 보통 국가가 담당하였다. 특히 농업이 국가의 근간이었던 조선시대에는 제언이 중요한 기반시설이었으며, 이의 관리는 국가의 중대사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조선시대의 문헌에는 제언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이중에서도 地理誌는 당시 각 군현의 제언의 숫자, 규모, 위치 등이 기재되어 있어 조선시대 제언의 상황을 가장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조선시대 간행된 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는 제언 관련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언의 지역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제언의 전국적인 분포상황을 분석하여 제언 분포의 지역별 특성과 함께 제언의 입지조건, 인구, 경지면적 등 사회경제적 조건과의 상관성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제언 규모(둘레, 길이, 몽리면적 등), 위치 등의 특징과 그것이 지역에 따라 어떠한 편차를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① 그동안 수리문제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주제 중심적 관점에 치중하여 수리문제를 살필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시각인 지역적 관점을 소홀히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특성과의 관계를 기초로 수리문제를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연구 시야의 확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수리문제에 대해 보다 폭 넓은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② 수리시설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은 물론 사회경제적 조건, 문화적 조건 등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에 따른 제언의 특성 고찰은 궁극적으로 조선시대 각 지역의 지역성 파악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③ 지금까지의 수리연구는 정성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었다. 본 연구는 제언에 대한 방대한 양의 수량적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 계량적인 연구를 시도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수리연구의 방법론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④ 본 연구는 지리지를 이용해 조선시대 전국의 제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18세기 전국 제언을 총망라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본 연구 뿐 아니라 농업을 비롯한 조선시대 전반에 대한 후속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⑤ 본 연구는 제언의 입지, 규모, 몽리면적 등의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제언의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제언, 나아가 수리시설의 구체적인 실상을 밝힘으로써 당시의 토목기술, 농업특성 등을 엿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⑥ 수리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치는 복잡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도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은 지리학 뿐 아니라 농업사, 사회경제사, 과학사 등의 수리연구에도 원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⑦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농업의 성격과 기술수준을 추체험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교육 자료의 개발에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지리지, 제언, 수리시설, 조선시대, 여지도서, 지역적 특성, 관개, 저수지, 보, 방축, 언, 제, 군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