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39&local_id=10015178
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미은(한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1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9월 현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정신 보건사회복지사 1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클라이언트인 정신장애인들로부터 경험하는 폭력의 정도 및 폭력 관련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의 경험정도에서는 78.2%의 응답자들이 지난 1년 동안 7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폭력척도에서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폭력을 경험하였다. 유형별로 보면, 언어적(51.75%)․성적(37.1%)․기물파손(15.0%)을 포함한 비신체적 폭력의 평균이 34.6%로 신체적 폭력의 평균인 19.7% 보다 높았다.
    둘째, 폭력척도에서 1개 이상의 항목을 지적했던 응답자들이 기술한 폭력의 하위유형별 발생빈도 및 대표적인 폭력사건의 특성을 보면, 지난 1년간 발생횟수는 언어적 괴롭힘(6.2회)이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공격이 1.3회로 가장 낮았다. 클라이언트의 성별은 대부분 남성(평균 81.9%)이고 2-30대의 젊은 연령대(평균 31.2세)였는데, 성적 괴롭힘의 경우가 26.4세로 가장 낮았다. 사회복지사와 알고지낸 기간은 평균 15.6개월이었으며, 상담자 혹은 치료자인 경우가 63.9%로 가장 많았다. 사건은 대부분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였고(69.0%), 장소는 주로 기관 내 사무실이나 병동이었고(81.4%), 클라이언트 집이나 외부에서 발생한 경우는 적었다. 폭력적인 클라이언트의 주요 진단명은 정신분열증(51.6%)과 알코올의존(19.7%) 등이었으며, 사건의 이유는 행동제한에 따른 욕구불만, 증상, 입․퇴원 관련, 서비스에 대한 불만 등이 지적되었다.
    셋째, 폭력사건의 보고 및 피해정도를 보면, 응답자들의 59.4%가 보고한 반면 12.9%는 보고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증상으로 생각했거나, 자연스럽게 넘길 수 있어서, 혹은 사건이 심각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클라이언트가 폭력적이 되는 이유로 증상(32.1%), 성격특성(29.2%), 치료체계에 대한 불만(17.5%)을 지적한 반면, 사회복지사 자신의 이유로는 성별특성(32.8%), 성격이나 대처방식의 미흡(21.5%), 폭력을 다루는 경험의 부족(16.1%) 등을 지적하였다. 폭력으로 인한 피해는 대부분 당황, 놀람, 두려움 등의 부정적 정서(79.7%)를 지적했으나 클라이언트를 염려하고 걱정하는 경우(12.9%)도 있었다. 신체와 행동상의 변화로는 클라이언트 경계 및 애정/관심의 감소, 심한 피로와 스트레스, 업무집중 곤란 등을 호소하였다. 응답자들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평균 3.67/5점 만점), 대부분이 관련 교육을 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기관이 구비하고 있는 폭력예방책도 미흡한 수준이었다.
    넷째, 폭력경험의 차이와 관련요인을 보면, 우선 클라이언트 요인으로 언어적 괴롭힘에서는 연령이 30세 이하이고 알고지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성적인 괴롭힘에서는 남성이고 알고지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신체적 공격에서는 남성이고 30세 이하인 경우에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기물손상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사회복지사 요인에서는 연령이 젊고, 정신보건 경력이 짧을수록, 한 달 평균 사례수가 많고, 폭력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일수록, 정신보건전문요원(사회복지사) 2급인 경우가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기관요인에서는 총 직원 수가 적을수록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한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사 및 기관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이고, 폭력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일수록 폭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기관요인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s 170 social workers in order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client-perpetrated violence in mental health settings.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were 1) 78.2% of the respondents had been victimized in violent acts of a physical or nonphysical nature, and the primary type of violence is verbal harrassment. The worker-victims of client violence experienced various psychological and physical pain. 2) the client-perpetrators are mainly male in early thirties with diagnosis of schizophrenia or alcohol dependency, and the violence mostly occur in psychiatric wards and office setting. 3) based on demographic and psychiatric variables of the violent clien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ients' age, length of relationship and violence. 4) based on demographic and work-related variables of the worker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pondents' age, work experience, case loads, license, perception of client violence and violence. Finally, the research recommends that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in order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limate of reducing risks, and develop training/supervision programs and formal report system of violent act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key words: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client violence, prevalence, influencing fac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현장 사회복지사들중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폭력경험과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78.2%가 7개 항목 중 1개 이상의 폭력을 경험하였다. 유형별 발생빈도에서는 언어적 괴롭힘, 성적인 괴롭힘, 신체적 공격, 기물파손의 순이었다. 폭력을 행사한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젊은 남성이었으며, 사회복지사와 알고지낸 기간은 1년 이상이고 치료 및 상담을 받는 관계가 많았다. 폭력은 주로 병동과 기관내부에서 발생했으며, 정신분열증과 알코올의존의 진단명이 많았고, 주 이유는 행동제한 및 치료에 대한 불만 등이었다. 응답자들은 폭력의 결과로 다양한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호소하였다. 폭력경험의 차이에서는 클라이언트 요인으로 대체로 젊고 알고지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사회복지사 및 기관 요인에서는 연령이 젊고 경력이 짧을수록, 사례수가 많고, 전문 자격증이 2급이며, 폭력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직원 수가 적을수록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폭력 관련요인으로는 사회복지사의 학력과 폭력에 대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에서는 클라이언트 및 현장(기관) 특성, 사회복지사 특성을 고려한 폭력예방의 중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9월 현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정신 보건사회복지사 1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클라이언트인 정신장애인들로부터 경험하는 폭력의 정도 및 폭력 관련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의 경험정도에서는 78.2%의 응답자들이 지난 1년 동안 7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폭력척도에서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폭력을 경험하였다. 유형별로 보면, 언어적(51.75%)․성적(37.1%)․기물파손(15.0%)을 포함한 비신체적 폭력의 평균이 34.6%로 신체적 폭력의 평균인 19.7% 보다 높았다.
    둘째, 폭력척도에서 1개 이상의 항목을 지적했던 응답자들이 기술한 폭력의 하위유형별 발생빈도 및 대표적인 폭력사건의 특성을 보면, 지난 1년간 발생횟수는 언어적 괴롭힘(6.2회)이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공격이 1.3회로 가장 낮았다. 클라이언트의 성별은 대부분 남성(평균 81.9%)이고 2-30대의 젊은 연령대(평균 31.2세)였는데, 성적 괴롭힘의 경우가 26.4세로 가장 낮았다. 사회복지사와 알고지낸 기간은 평균 15.6개월이었으며, 상담자 혹은 치료자인 경우가 63.9%로 가장 많았다. 사건은 대부분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였고(69.0%), 장소는 주로 기관 내 사무실이나 병동이었고(81.4%), 클라이언트 집이나 외부에서 발생한 경우는 적었다. 폭력적인 클라이언트의 주요 진단명은 정신분열증(51.6%)과 알코올의존(19.7%) 등이었으며, 사건의 이유는 행동제한에 따른 욕구불만, 증상, 입․퇴원 관련, 서비스에 대한 불만 등이 지적되었다.
    셋째, 폭력사건의 보고 및 피해정도를 보면, 응답자들의 59.4%가 보고한 반면 12.9%는 보고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증상으로 생각했거나, 자연스럽게 넘길 수 있어서, 혹은 사건이 심각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클라이언트가 폭력적이 되는 이유로 증상(32.1%), 성격특성(29.2%), 치료체계에 대한 불만(17.5%)을 지적한 반면, 사회복지사 자신의 이유로는 성별특성(32.8%), 성격이나 대처방식의 미흡(21.5%), 폭력을 다루는 경험의 부족(16.1%) 등을 지적하였다. 폭력으로 인한 피해는 대부분 당황, 놀람, 두려움 등의 부정적 정서(79.7%)를 지적했으나 클라이언트를 염려하고 걱정하는 경우(12.9%)도 있었다. 신체와 행동상의 변화로는 클라이언트 경계 및 애정/관심의 감소, 심한 피로와 스트레스, 업무집중 곤란 등을 호소하였다. 응답자들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평균 3.67/5점 만점), 대부분이 관련 교육을 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기관이 구비하고 있는 폭력예방책도 미흡한 수준이었다.
    넷째, 폭력경험의 차이와 관련요인을 보면, 우선 클라이언트 요인으로 언어적 괴롭힘에서는 연령이 30세 이하이고 알고지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성적인 괴롭힘에서는 남성이고 알고지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신체적 공격에서는 남성이고 30세 이하인 경우에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기물손상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사회복지사 요인에서는 연령이 젊고, 정신보건 경력이 짧을수록, 한 달 평균 사례수가 많고, 폭력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일수록, 정신보건전문요원(사회복지사) 2급인 경우가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기관요인에서는 총 직원 수가 적을수록 폭력을 더 경험하였다. 한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사 및 기관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이고, 폭력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일수록 폭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기관요인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은 엄연한 현실이며 이를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클라이언트 및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개입이 요구된다. 셋째, 폭력예방을 위해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기관차원에서는 폭력에 대한 최선책은 곧 예방이라는 점을 인식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안전한 근무환경을 확보해야 한다.
  • 색인어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클라이언트 폭력경험, 폭력관련요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