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50&local_id=10015617
倭學書에 表記되어 있는 한글 音注에 관한 通時的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倭學書에 表記되어 있는 한글 音注에 관한 通時的 硏究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강희(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5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조선시대 일본어 학습을 목적으로 편찬된 『이로파』『첩해신어』『개수첩해신어』『충간개수첩해신어』『왜어유해』『방언집석』『삼학역어』(『개관최찬집』『표해록』)에는 일본어에 한글로 음주가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음주를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당시 일본어의 음운의 변천사를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 일본어학습서에 표기되어 있는 음주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규범적인 서양자료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음주는 다양한 음성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비규범적인 다양한 표기야말로 규범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서양자료에서는 확인 할 수 없는 당시의 음성적 특징을 알 수 있다는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 영문
  • The studying Japanese Text Books in a Chosun Dynasty Korea has I-ro-ha(怒쨌꺼), Cheob-hae-sin-eo(쌥썩劤?Z),Kae-su-cheob-hae-sin-eo(맣錦쌥썩劤?Z), Jung-kan-kae-su-cheob-hae-sin-eo(路엷맣錦쌥썩劤?Z), Wae-eo-ryu-hae(瑁?Z??썩), Bang-eon-jib-seok (렘喇섞??), Sam-hak-yeok-eo(힛?W?g?Z), Kaek-koan-che-chan-jib(와?^鈺尖섞) and Pyo-hae-rok(특베??). As for this, Transcription is written in Japanese. An at that time Japanese sound is understood when analyzing it at these Transcription Diachronic. Especially, shape that Transcription is various appears in the studying Japanese book in a Chosun Dynasty Korea. In this research, it was clarified to be able to show a feature vocal various Transcription. Moreover, various Transcription cannot be confirmed by the KIRISITAN material.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tudying Japanese Text Books in a Chosun Dynasty Korea. in this resp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朝鮮時代에 편찬된 日本 관련 서적 중 日本語에 한글로 音注(읽기)가 表示되어있는 『伊路波』『捷解新語』『改修捷解新語』『重刊改修捷解新語』『倭語類解』『方言集釋』『客館璀粲集』『三學譯語』『漂海錄』등을 資料로, 한글로 일본어를 轉寫한 제 면모를 通時的으로 재검토하여, 倭學書에 表記되어있는 한글 音注의 실상과 배경을 다시 점검하고, 이들 한글 音注表記가 일본어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하는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른바 조선자료는 그 위치를 정당하게 획득하지 못하고 있지만, 15世紀부터 20世紀 初에 이르는 일본어의 音韻의 變遷史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조선자료에 나타나는 비규범적인 다양한 音注표기는 일본어의 음성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비규범적인 다양한 표기야말로 규범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서양자료에서는 확인 할 수 없는 당시의 음성적 특징을 알 수 있다는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일본어 音韻史 硏究에 있어서 朝鮮資料는 그 중요성에 比하여 정확한 位置가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기계적이고 規範的으로 표기되어 있는 西洋資料, 漢字로 표기되어 있는 中國資料와 비교하면, 다양한 표기가 나타나는 한글 資料야말로 당시의 일본어의 音聲硏究에 아주 중요한 자료임에 언급할 필요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安田章(1990, P35)가 말하고 있는 것처럼, 아직 朝鮮資料에 의한 연구는 초보 단계에 불과하며, 朝鮮資料의 정확한 位置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로 일본어를 轉寫한 音注를 通時的으로 재검토하여, 倭學書에 表記되어있는 한글 音注의 실상과 배경을 다시 점검하여 음성의 특징 및 문제점을 考察하였다. 조선자료가 일본 國內資料 및 規範的인 キリシタン資料로는 해명할 수 없는 音聲的 사실을 밝힐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일본어 硏究資料 중에서 朝鮮資料의 位置를 정립하는데 一助할 수 있었다.
  • 색인어
  • 조선자료, 일본어 음운사, 음주표기, 통시적 연구, 음성적 특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