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52&local_id=10016076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분석을 통한 사회재적응 촉진모형개발: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검토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분석을 통한 사회재적응 촉진모형개발: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검토하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엄태완(경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3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 목적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리사회적 위기와 재적응의 관계성 연구는 객관적인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유사한 경험을 가지는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재적응의 맥락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기본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요인과 그 결과들을 분석하여 남한사회 재적응을 촉진할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내용
    1) 난민과 이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 단계 파악
    2) 문화적응, 가족역동과 심리사회적 위기 내용 파악
    3) 중요한 심리사회적 위기내용: 이주민들의 심리사회적 문제는 기본적인 욕구의 불충족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전문가들은 알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난민과 이주민들이 겪게 되는 심리사회적 문제는 슬픔, 소외와 외로움, 자존심 손상, 우울, 불안, 신체화, 편집증, 죄책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물질남용 등과 관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게도 똑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고찰할 필요가 있다.
    4) 난민과 이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 대처 모델
    중요한 난민과 이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 대처모델은 다음과 같다; Bemark과 Chung(2002)은 난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상담과 정신치료를 위한 개입/예방 모델(Multi-Level Model, 이하 MLM)을 개발하였다. 난민에게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위기와 정신건강의 문제를 일반적 방법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TPO(Transcultural Psychosocial Organization) 모델이 고안되었다.
    5)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사회재적응 모형
    (1) 재적응 단계별 적응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문제는 시기에 따른 차별 있는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는 남한사회의 정착시기에 따른 개입전략이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2) 대상별 접근
    북한이탈주민들의 아동, 청소년, 성인, 여성, 노인들이 겪는 심리사회적 위기가 다르기 때문에 적응패턴도 차이는 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별로 차이나는 개입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 심리사회적 위기영역별 접근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이주는 남한의 사회경제적 체계를 수용해야 하고 다른 풍습, 신념, 생활사건, 정서적․사회적 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압박감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문화 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는 개인에 따라서 심각한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4) 대처전략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적응 대처전략은 크게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으로 구분되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5) 재적응 촉진모형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통하여 분석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는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발생할 것이다; 남북한의 제도적, 정치적 배경의 차이, 개인의 삶의 과정의 차이, 남한이주전의 외상, 탈북전과 과정 및 남한적응에서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적응문제, 문화적응, 개인적 정체감의 혼란, 사회문화적인 신념과 세계관의 혼란, 남한사회의 차별과 낙인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슬픔, 소외와 외로움, 심각한 자존심의 손상, 우울, 불안, 편집증, 죄책감, 외상후 스트레스, 물질남용, 공격성 등의 심리정신적 상태를 초래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입에서는 난민과 이주민의 사례에서와 같이 대상별로 차이나는 위기와 적응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청소년, 성인, 노인, 여성으로 최소한의 대상 분류를 통하여 개입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이주민들과 같이 북한이탈주민들도 다양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전체주의적(holistic)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세부적 개입이전에 북한이탈주민의 현재 상황, 환경, 인권실태, 정치적 고려, 종교, 문화적 차원, 사회경제적 상태 등이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재적응 촉진을 위한 개입과정은 크게 개별적 접근과 지역사회 전체를 통한 접근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개별적 접근은 남한입국 직후부터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단계는 남한입국 직후에 심리사회적 위기교육단계이다. 2단계는 생존개입단계이다. 3단계는 문화적 임파워먼트 단계이다. 4단계는 통합적 개입단계이다. 다음은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지역사회중심의 6단계 접근법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지역사회 중심의 접근을 기반으로 가족과 지역사회의 구조내에서 임파워먼트를 고취시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article examines social readjustment model with North Korean(NK) Refugees who live in South Korea. The work is informed by previous studies on refugee and immigrant psychosocial crisis. The psychosocial problems among immigrants and refugees have the danger of giving the erroneous impression that all members of these populations suffer from such problems. The most commonly observed psychosocial problems in immigrants and refugees, include grief, alienation and loneliness, decreased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paranoia, guil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ubstance abuse. Each of these problems is influenced by the context and many existing community and societal factors including those human rights, politics, environment, culture, and tradition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remember that in reality most psychosocial problems among immigrants and refugees is related social readjustment in resettlement. Throughout studies of refugees and immigrants, the social readjustment model with NK Refugees is made. It would be to the advantage of the strategy to broaden NK Refugees' readjustment, in the context of new communities. This model could offer the possibility to access community-based resources and to practice needs with NK Refuge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재적응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유사한 경험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난민과 이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재적응 모델을 우선적 탐구대상으로 하였다. 난민과 이주민의 연구결과에서 대부분의 난민과 이주민들은 심리사회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적응에 심각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심리사회적 문제는 문화적응, 가족역동과정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슬픔, 소외와 외로움, 심각한 자존심의 손상, 우울, 불안, 편집증, 죄책감, 외상후 스트레스, 물질남용, 공격성 등의 심리정신적 상태를 초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재적응 촉진을 위한 개입과정은 크게 개별적 접근과 지역사회 전체를 통한 접근으로 구분하였다. 개별적 접근은 남한입국 직후부터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단계는 남한입국 직후에 심리사회적 위기교육단계이다. 2단계는 생존개입단계이다. 3단계는 문화적 임파워먼트 단계이다. 4단계는 통합적 개입단계이다. 다음은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지역사회중심의 6단계 접근법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지역사회 중심의 접근을 기반으로 가족과 지역사회의 구조내에서 임파워먼트를 고취시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1단계는 정치적(political) 개입이다. 2단계는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활동이다. 3단계는 원조자 훈련 및 능력구축이다. 4단계는 지지자 네트웍 구축이다. 5단계는 자조그룹 형성이다. 6단계는 새터민 중심의 심리사회적 개입이다. 이러한 모형은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남한사회에서 어떻게 개입할 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는 것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난민과 이주민 사례를 통하여 분석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는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발생할 것이다; 남북한의 제도적, 정치적 배경의 차이, 개인의 삶의 과정의 차이, 남한이주전의 외상, 탈북전과 과정 및 남한적응에서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적응문제, 문화적응, 개인적 정체감의 혼란, 사회문화적인 신념과 세계관의 혼란, 남한사회의 차별과 낙인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슬픔, 소외와 외로움, 심각한 자존심의 손상, 우울, 불안, 편집증, 죄책감, 외상후 스트레스, 물질남용, 공격성 등의 심리정신적 상태를 초래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입에서는 난민과 이주민의 사례에서와 같이 대상별로 차이나는 위기와 적응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청소년, 성인, 노인, 여성으로 최소한의 대상 분류를 통하여 개입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이주민들과 같이 북한이탈주민들도 다양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전체주의적(holistic)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세부적 개입이전에 북한이탈주민의 현재 상황, 환경, 인권실태, 정치적 고려, 종교, 문화적 차원, 사회경제적 상태 등이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재적응 촉진을 위한 개입과정은 크게 개별적 접근과 지역사회 전체를 통한 접근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개별적 접근은 남한입국 직후부터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단계는 남한입국 직후에 심리사회적 위기교육단계이다. 2단계는 생존개입단계이다. 3단계는 문화적 임파워먼트 단계이다. 4단계는 통합적 개입단계이다.
    다음은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지역사회중심의 6단계 접근법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지역사회 중심의 접근을 기반으로 가족과 지역사회의 구조내에서 임파워먼트를 고취시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1단계는 정치적(political) 개입이다. 2단계는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활동이다. 3단계는 원조자 훈련 및 능력구축이다. 4단계는 지지자 네트?p 구축이다. 5단계는 자조그룹 형성이다. 6단계는 새터민 중심의 심리사회적 개입이다.
    활용방안:
    1) 학문적 측면의 활용방안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의 분야에 일정부분 기여하리라고 본다. 사회복지학에서 추구하는 중요한 학문적 과제 중의 하나는 욕구결핍에 있는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마련이다. 남한사회에 새로운 욕구결핍의 대상자로 존재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과 욕구에 대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과제해결에 또 다른 근거와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 될 수가 있을 것이다. 심리학 측면에서는 새로운 곳에서 재정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적응과 위기에 관한 심층적 이해의 자료가 될 수가 있을 것이다. 사회학 측면에서는 새로운 사회집단으로 생성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에 관한 탐색적 자료를 근거로 사회학의 방법론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학 측면에서는 문화적으로 상이한 남한에 적응하는 북한이탈주민을 통하여 문화적응의 차이를 탐색하고 인류학 차원의 접근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실천적 측면의 활용방안
    ①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와 재적응 관계 파악을 통한 개입의 효율성과 효과성 확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개입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다른 차원이지만 외국의 난민과 이주민의 경험을 통하여 재적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경험과 연구가 부족한 북한이탈주민의 연구에서 효율적, 효과적 개입을 가져올 것이다.
    ② 학생 교육과의 연계
    북한이탈주민을 비롯한 문화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집단의 심리사회적 위기의 내용과 전달체계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③ 정책적 차원의 활용방안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달시스템을 개발하는 이론적 자료로써 가치가 있을 것이다.
    ④ 연구의 연속적 과정으로서의 활용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사실들을 객관적 또는 질적 자료를 확보하고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심리사회적 위기, 사회 재적응 모형, 북한이탈주민, 난민, 이주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