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71&local_id=10027364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상훈(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1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는 1994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 총 15회에 걸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와 지금까지 14년 동안 출제된 역사영역의 문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수능이 의도하는 바가 평가문항을 통해 구현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탐구영역의 평가목표와 역사영역 평가문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된 14년간을 세 시기로 구분하였는데, 1994학년도부터 1998학년도까지의 제5차 교육과정 적용기, 1999학년도부터 2004학년도까지의 제6차 교육과정 적용기, 2005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의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가 그것이다. 제5차 교육과정 적용기는 통합이 강조되었던 시기였으므로 평가문항에서도 통합형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제6차 교육과정 적용기에도 통합은 여전히 강조되었으나 평가문항에서는 통합형 문항의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에 통합형 문항의 수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에는 사회탐구영역 전체에 선택과목 체제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분과형으로 출제가 이루어졌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에서는 탐구문제의 인식 능력, 탐구의 설계 및 수행 능력, 자료의 분석 및 해석 능력, 결론 도출 및 평가 능력,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능력의 다섯 가지 평가목표가 활용되었다. 그러다가 2005학년도부터는 개념․원리의 이해라는 항목이 추가되었다. 이들 여섯 가지 평가목표 중에서 개념․원리의 이해를 포함하여 문제 파악 및 인식에 해당하는 문항이 40%를 넘게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자료의 분석 및 해석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30% 정도를 차지하였다. 탐구의 설계 및 수행과 결론 도출 및 평가에 해당하는 문항은 각각 10% 미만과 15%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문항은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문항의 소재별로는 60%가 넘는 문항이 문헌자료를 소재로 출제되었고, 그 다음이 역사지도를 소재로 한 문항이었다. 역사의 기본자료가 사료이기 때문에 문헌자료를 소재로 평가문항을 구성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서 참신한 문항을 출제할 필요성이 있다.
    문항의 시대별로는 한국사의 경우에 근세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고, 세계사의 경우에는 근대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다. 별다른 문제점이 없었으므로 앞으로도 계속 시대별로 균형 잡힌 출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국사의 경우 분야별로도 문항수를 검토해 보았는데 정치사와 관련된 문항이 가장 많았고 나머지 분야는 비슷한 비중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역시 별 문제가 없었으므로 앞으로 잘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사의 경우에는 지역별로 문항수를 검토해 보았는데 예상대로 중국사와 유럽사에 대한 문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세계사 교육에서 중국사와 유럽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실정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편중된 문항 구성은 세계사 교육의 파행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역별 안배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선택과목 체제가 도입된 상황에서 역사영역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평가목표를 여섯 가지 설정하였다. ㉠ 역사 지식의 이해, ㉡ 연대기의 파악, ㉢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 역사 탐구의 설계, ㉥ 결론 도출 및 역사적 판단이 그것이다.
    평가문항 자체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는데, 초기에는 단순 암기 지식을 묻는 문항이나 억지 통합형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줄어들었으므로 문제가 시정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세계사의 경우에는 암기한 지식 자체를 측정하는 문항이 많았으므로 앞으로 시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역사영역 평가문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 가지 평가목표의 비중을 적절하게 유지할 것, 단순 암기 지식을 묻는 문항을 지양할 것,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것, 역사적 사고를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할 것, 분야나 지역별로 적절하게 안배해서 문항을 구성할 것 등이 그에 해당하는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into problem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and to suggest their improvement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urveyed previous articles and 14 years'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In order to analyse 14 years'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I divided 14 years into three periods. First period is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period is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third period is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many integration type' items and tests were made and there were many knowledge type' items and tests. In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ntegration type' items and tests and knowledge type' items and tests were decreased. In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elective subject-matters are introduced.
    The evaluation objectives of social inquiry domain are the recognition ability of inquiry problem, the plan and execution ability of inquir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bility of data, the formation and evaluation ability of conclusion, the value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ability. And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and principle is added from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se evaluation objectives are not suitable to history subject-matter. So I suggest new evaluation objectives suitable to history subject-matter. They are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knowledge, the grasping of chronology, the recognition of historical situations and issues,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data, the plan of historical inquiry, the formation of conclusion and historical judgement.
    The improvement methods about problem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lance maintenance of six evaluation objectives in history domain, the avoidance of simple memorizing type' item and test, the use of various material, the making of items and tests to measure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the balance maintenance of fields in korean history, the balance maintenance of regions in world history, and so 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고는 1994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 총 15회에 걸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와 지금까지 14년 동안 출제된 역사영역의 문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수능이 의도하는 바가 평가문항을 통해 구현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탐구영역의 평가목표와 역사영역 평가문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행된 14년간을 세 시기로 구분하였는데, 1994학년도부터 1998학년도까지의 제5차 교육과정 적용기, 1999학년도부터 2004학년도까지의 제6차 교육과정 적용기, 2005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의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가 그것이다. 제5차 교육과정 적용기는 통합이 강조되었던 시기였으므로 평가문항에서도 통합형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제6차 교육과정 적용기에도 통합은 여전히 강조되었으나 평가문항에서는 통합형 문항의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에 통합형 문항의 수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적용기에는 사회탐구영역 전체에 선택과목 체제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분과형으로 출제가 이루어졌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에서는 탐구문제의 인식 능력, 탐구의 설계 및 수행 능력, 자료의 분석 및 해석 능력, 결론 도출 및 평가 능력,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능력의 다섯 가지 평가목표가 활용되었다. 그러다가 2005학년도부터는 개념․원리의 이해라는 항목이 추가되었다. 이들 여섯 가지 평가목표 중에서 개념․원리의 이해를 포함하여 문제 파악 및 인식에 해당하는 문항이 40%를 넘게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자료의 분석 및 해석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30% 정도를 차지하였다. 탐구의 설계 및 수행과 결론 도출 및 평가에 해당하는 문항은 각각 10% 미만과 15%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문항은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문항의 시대별로는 한국사의 경우에 근세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고, 세계사의 경우에는 근대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다. 국사의 경우 분야별로도 문항수를 검토해 보았는데 정치사와 관련된 문항이 가장 많았고 나머지 분야는 비슷한 비중을 가지고 있었다. 두 항목의 경우 별 문제가 없었으므로 앞으로 잘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사의 경우에는 지역별로 문항수를 검토해 보았는데 예상대로 중국사와 유럽사에 대한 문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세계사 교육에서 중국사와 유럽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실정이라 하더라도 특정 지역에 편중된 문항 구성은 세계사 교육의 파행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역별 안배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선택과목 체제가 도입된 상황에서 역사영역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평가목표를 여섯 가지 설정하였다. ㉠ 역사 지식의 이해, ㉡ 연대기의 파악, ㉢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 역사 탐구의 설계, ㉥ 결론 도출 및 역사적 판단이 그것이다. 평가문항 자체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는데, 초기에는 단순 암기 지식을 묻는 문항이나 억지 통합형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줄어들었으므로 문제가 시정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세계사의 경우에는 암기한 지식 자체를 측정하는 문항이 많았으므로 앞으로 시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역사영역 평가문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 가지 평가목표의 비중을 적절하게 유지할 것, 단순 암기 지식을 묻는 문항을 지양할 것,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것, 역사적 사고를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할 것, 분야나 지역별로 적절하게 안배해서 문항을 구성할 것 등이 그에 해당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고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사회탐구영역에 속하는 역사영역의 문항에 대해 검토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사영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목표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의 평가목표를 바로잡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평가문항의 타당도와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역사과에서 평가와 관련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사회탐구영역, 역사영역, 역사적 사고력, 평가목표, 역사 지식의 이해, 연대기의 파악, 역사 상황이나 쟁점의 인식,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역사 탐구의 설계, 결론 도출 및 역사적 판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