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095&local_id=10013888
한국어 흉내말의 구조와 음성상징에 대한 인지 실험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 흉내말의 구조와 음성상징에 대한 인지 실험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동근(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0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지 실험적 연구 방법의 모색: 한국어 흉내말의 음성상징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인지 실험적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험한다.
    (1) 새로운 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여야 한다.
    흉내말도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었다는 점에서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현대국어의 흉내말이 음성상징의 직접적인 반영이라고 보기 힘들다. 공시적인 한국어 화자의 음성상징의 실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대국어의 음운 체계가 성립된 이후에 만들어진 흉내말이나 어형들과 그 이전의 것을 구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동물과 관련하여 쓰이는 의성어 의태어는 그 쓰임이 오래 전이라고 판단된다. 그밖에 전통적으로 있어왔던 물체의 소리나 모양, 신체와 관련된 소리와 동작은 그 기원일 오래라고 판단된다.
    (2) 형태의 의미
    우리가 흉내말을 범주화하는데는 음성적 특징 못지 않게 형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흉내말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반복형’이다. 단순형과 반복형을 비교할 때 ‘반복형’은 구조적으로 보다 복잡한 형태를 띄며 결과적으로 단순형에 어떤 의미를 부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이는 음성상징의 차원을 넘어 도상성의 문제에 해당하는 것이다.
    (3) 그러므로 모양흉내말의 유연성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기원적으로 일반어에서 파생된 것은 제외하고 논의해야 하는데 일반어와 흉내말의 경계가 늘 명쾌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소리를 음성으로 흉내낸 소리흉내말의 경우 도출형의 형태가 어떻든 그것이 소리를 흉내내려는 동기에서 출발한 것이 분명하며, 소리흉내말은 대부분 소리의 주체가 분명하므로 유연성을 연구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므로 우리가 흉내말의 유연성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먼저 소리흉내말에 대해 어느 정도 연구 성과를 다져 둘 필요가 있다.
    (4)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음성상징 가치에 대한 판단을 묻는 질문을 개발하였다. 특히 한국어 화자들이 모음에서 느끼는 대립적 인상에 대한 가치가 외국어 모국어 화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문지를 계발하였다. 일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 영문
  • - A cognitive study on the word structure and sound symbolism in Korean symbolic words -
    A variety of definitions on symbolic word assumes the admission on the motiv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However, the researches on the symbolic words in Korean depend on the obscure intuition for the judgment on the motiv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Thus, there is no definite conclusion on the motiv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in Korean because of numerous onomatopoetic words
    The difference words by country are the important basis for the linguistic arbitrary. In this context, the different symbolic words by country brings the doubt on the motivation of symbolic words. Nevertheless, the native language speakers aware the close relationship Categorization is the tool that people recognize the sounds by dividing them into th meaningful segments.
    Through this analysis and examin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word and phoneme that the Korean speakers prefer in recognizing the bird sounds.
    Keywords: symbolic word, onomatopoetic word, sound symbolism, categor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어 흉내말의 형태와 음성상징의 특성을 살피기 위한 방법론으로 음성상징에 대한 인지실험적 연구 방법을 새롭게 모색해 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한국어는 흉내말이 발달하여 음성상징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박동근 2005). 한국어 흉내말에서 소리와 의미와의 관계는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앞서 이루어진 흉내말에서 소리와 의미의 유연성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의 막연한 직관에 의존하는 경향이 컸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 태도에 대한 반성의 의미도 갖는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한국어 흉내말의 음성상징 여부에 대한 어떤 선입견도 배제한다. 음성상징을 지지하는 증거와 그렇지 않은 증거나 형태와 의미의 일련의 규칙성을 찾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해 보려고 한다.
    모든 흉내말에서 소리와 의미와의 관계가 정연한 규칙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조심스럽다. 하지만 특정한 범주 내에서 소리와 의미 또는 형식과 의미 간에 일반적인 관계가 찾을 수는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 범주는 언어 보편적인지를 살피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무엇보다도 한국어 음성상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첫 출발이라는 데 의의를 갖는다. 한국어는 풍부한 음성상징 자료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극적이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음성상징 연구 방법으로 새롭게 ‘인지 실험적 방법’을 도입한다는 데 방법론적인 의의가 있다. (인지 실험적 방법은 연구자의 예비 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타당성이 확보된 상태이다.) 인지 실험 방법을 통해, 음성상징의 문제가 연구자의 개인적인 직관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 결과에 있어 보다 객관성,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 흉내말 연구는 주로 형태 연구에 집중해 있었으며 흉내말의 정체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음성상징에 대한 연구는 1) 당연시하거나 2) 관심 밖이었거나 3) 연구자의 역량 밖이었다. 음성상징 연구에 관련 연구자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새로운 연구 거리와 방법 대상을 제공함으로써 음성상징 연구에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어는 풍부한 음성상징 자료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외의 음성상징 연구 논저에서 한국어 흉내말이 전혀 언급이 되지 않거나 그저 한국어는 흉내말이 발달한 언어이다 정도만이 언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국의 한자들이 인용할 만한 한국어의 흉내말(음성장징)에 대한 적절한 연구 논저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흉내말은 그 파생어를 포함해서 약 1만 5천 개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국어사전에 수록된 약 6만 개의 순우리말 가운데 25%에 해당하는 수로 순우리말 4개 가운데 1나는 흉내말이나 그 파생어인 셈이다. (<우리말 큰사전>(1992) 기준 통계). 수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우리말 어휘 교육에 있어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흉내말의 음성상징 여부는 어휘 교육의 이론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국어사전 편찬에 있어 흉내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색인어
  • 흉내말, 의성어, 의태어, 음성상징, 인지실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