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112&local_id=10016067
명청시대 지역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명청시대 지역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준갑(인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6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필자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상호작용을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상호작용으로 파악하고 이것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라고 파악하였다. (1) 경제적 상호작용 : 상인들이 취급하는 상품은 단순한 물자가 아니라 2차 언어이다. 2차 언어로서의 상품에는 각각 고유한 메시지 즉 1차 언어를 담고 있다. 예컨대 비단이라는 상품(2차 언어)이 담고 있는 메시지(1차 언어)는 천하제일이라는 자부심이다. 소주, 남경, 성도 등 각 지역의 비단생산 중심지에서는 자신들이 생산한 비단에 천하제일이라는 자부심을 공통적으로 담았다. 또 금당현에서 수입한 郫縣産 담배는 최고 (품질인 복건산 담배)에 버금간다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소주, 남경, 성도산 비단이나, 비현산 담배의 소비자들은 상품에서 전해지는 으뜸이라는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생산지 주민들과 비단과 담배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다. 그러나 모든 상품의 메시지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양귀비는 재배자들 간에는 곤궁해소, 화폐획득을 위한 수단이라는 메시지가 형성되지만 아편으로 가공되면서 환각, 쾌락, 무기력이라는 메시지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된다. 이렇게 메시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존재가 나타난다. 이처럼 경제적 측면에서 본 지역은 상인들이 유통시킨 상품(2차 언어)과 그것에 내재한 메시지(1차 언어)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전적으로 공유되거나 혹은 일부만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다. 교류가 적고 자급자족적인 경제구조를 유지하는 지역에서는 지역 내에서 생산되는 상품들에 메시지를 부여하고 그것을 지역주민들 스스로가 공유한다. 이것은 지역 내에서 생산된 내부 메시지(inside-message)이다. 그러다가 경제 교류가 빈번해지고 중핵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외지 상품이 많이 유입할수록 그 상품에 수반된 중핵, 주변, 변경지대의 메시지들도 증가한다. 이는 밖에서 유입된 외부 메시지(outside-message)이다. 각 지역은 중핵지대와 중심도시에서 생산되고 운반된 상품에 포함된 외부 메시지들을 점차 공유하게 된다. 이리하여 각 지역에서는 고유한 내부 메시지와 중핵지대 및 중심도시와 공유하는 외부 메시지가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을 거치면서 지역주민들은 중핵지대, 중심도시 주민들과 공통적인 경제적 정체성을 가진다. (2) 정치적 상호작용 : 정치적 상호작용은 그 흐름이 수직적이라는데 특징이 있다. 경제적 상호작용, 문화적 상호작용은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이뤄진다. 반면 정치적 상호작용은 중앙정부와 지역주민, 혹은 관료와 주민이라는 수직적인 관계에서 주로 이뤄진다. 물론 중앙정부나, 관료의 정치적 행위나 요구에 대응하려고 지역 주민들 스스로가 여론을 수렴하거나 직접 행동에 나서는 등의 수평적인 상호작용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중앙정부나 관료들의 행위나 요구 즉 위에서부터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반응이므로 종속적인 요소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정치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분야는 징세와 치안이다. 왜냐하면 중앙정부의 지역에 대한 정치적 관심사는 주로 징세와 치안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 차원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상호작용의 범주 역시 징세문제, 치안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도 하다. 징세와 치안은 국가가 존립하는 토대이므로 중앙정부는 지역의 특수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전국적 차원에서 획일적인 제도를 통해 이를 관철하려 하였다. 이런 목적에서 고안된 제도가 명초 홍무 연간부터 시행된 이갑제였다. 甲首와 里長 (강남지역에서는 糧長도 포함)으로 이어지는 징세 라인과 이노인(과 신명정, 명선정)으로 대표되는 치안 라인이 이갑제 속에서 통합되어 작동하였다. 그러나 명 중기에 접어들면서 이갑제는 부역 부담의 불공평, 지주들의 토지집적, 이갑호의 몰락과 인구의 逃散 등 여러 가지 모순 때문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해체되었다. 필자는 이갑제의 해체를 불러온 여러 가지 모순은 각 지역의 다양성 내지는 특수성을 인정하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분출한 것으로 이해한다. (3) 문화적 상호작용 :문화적 측면에서 본 지역은 민간신앙(토신) 이라는 2차 언어가 巫師의 중재로 지역의 평안, 저항의 합리화라는 메시지(1차 언어)를 형성하는 공간이었다. 이 공간에서 주민들은 土神이 전하는 메시지를 강제적으로 수용당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자신들의 열망을 土神에 투영시키고 그 실현을 의탁하였다. 이런 면에서 민간신앙은 주민들 스스로의 판단이 보장되는 자율의 세계라는 내부메시지(inside-message)를 형성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new paradigm of local history in Ming-Qing times. Since 1960's, William Skinner's theory , that is the analysis of Market Structure and Macro- Region in china, have been accepted almost all of the scholars who study chinese local history in Ming-Qing Period. But, in my opinion, Skinner have so much emphasised on the space that he ignor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mong local habitant. Their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factor to chacterize local society. So, I divided three types of interaction among local habitant. The first type is economical interaction, the second type is political interaction, and the third is cultural interaction. These three types of interactions affect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space. In other words, the space of local society is subordinated to the interaction among local habitant. Thus, it had better to emphasise and analysis to economical, political, cultural interaction among local habitant than to space of local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local society proper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명청시대 지역사연구의 방법론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스킨너 이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였다. 시장체계론과 대권역 개념을 핵심으로하는 스키너 이론은 지역사연구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지만 공간결정론이라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의 활동에 미치는 공간의 영향을 절대화하였다는 약점을 안고 있기도 하다.
    필자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상호작용을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상호작용으로 파악하고 이것들이 지역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라고 파악하였다. (1) 경제적 상호작용 : 상인들이 취급하는 상품은 단순한 물자가 아니라 2차 언어이다. 2차 언어로서의 상품에는 각각 고유한 메시지 즉 1차 언어를 담고 있다. 예컨대 비단이라는 상품(2차 언어)이 담고 있는 메시지(1차 언어)는 천하제일이라는 자부심이다. (2) 정치적 상호작용 :정치적 상호작용은 중앙정부와 지역주민, 혹은 관료와 주민이라는 수직적인 관계에서 주로 이뤄진다. 물론 중앙정부나, 관료의 정치적 행위나 요구에 대응하려고 지역 주민들 스스로가 여론을 수렴하거나 직접 행동에 나서는 등의 수평적인 상호작용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중앙정부나 관료들의 행위나 요구 즉 위에서부터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반응이므로 종속적인 요소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3) 문화적 상호작용 :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상호작용의 전형적 형태는 신앙이다. 신앙은 국가가 공인하고 장려하는 국가제례와 주민들의 일상의 삶속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하여 전파되는 민간신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교의례를 핵심내용으로 하는 국가제례는 국가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선전하고 강화한다. 따라서 지배이념의 수용을 강요하는 국가제례를 주목하면 문화적 상호작용은 수직적 흐름을 내포한다.
    이러한 각각의 상호작용의 전개과정에 따라서 지역의 공간은 변화하는 유기체의 모습을 띠게된다. 예컨대 경제적 공간의 형태와 성격을 결정짓는 상호작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交易이다. 교역의 유형에 따라 사천의 미곡교역권은 청초(18세기초~중반)와 청말-민국연간(19세기중반~20세기)이라는 100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성격이 변질되었다. 청초 사천에서 행해진 미곡교역의 根幹은 중경과 한구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다. 양자강 중하류에서 대규모의 미곡수요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곡시장이 內需市場으로 전환하는 청말 민국연간에는 성도평원을 중심으로 하는 岷江水系, 민강의 동쪽에 위치한 沱江水系, 타강의 동쪽에 위치하며 사천 북부에서 동부로 흐르는 涪江水系, 부강의 동쪽에 위치한 嘉陵江水系, 중경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揚子江水系 등 사천의 주요 水系마다 미곡교역권이 분포하였다. 내수시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사천내부에서 미곡교역권이 세분화하는 현상은 필연적 귀결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미곡시장이라는 경제적 공간의 구조가 수요라는 요인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였음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이다. 정치적 공간이나 문화적 공간 역시 각각의 상호작용에 따라 공간의 구조가 변화하였다. 예컨대 정치적 공간인 이갑은 지방아문의 지배의지가 일방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침투하는 상명하복의 공간이었다. 그러나 명 중기 이후 와해되는 이갑의 기능을 대신한 보갑이나 향약 등의 정치적 공간에는 민의가 아래에서 위로 상달되는 기능도 추가되면서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정치적 공간의 구조가 다양해지게 되었다. 문화적 공간 역시 전통적으로 신앙의 영역에서 접근하던 성황묘, 현묘관 등의 사묘는 명청시대에 들어와 상업발달과 지역주민이 나타낸 세속화의 물결속에서 축제의 장소, 교역의 장소로서 공간적 성격을 변모시켰던 것이다.
    이런 사례들로 보아 지역민들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이야말로 지역의 특성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인 동시에 공간의 성격도 좌우하는 근원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고는 초고는 이미 2006년 10월 동양사학회 추계발표회에서 발표하여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 절차를 거쳐 이미 연구결과의 상당부분은 공개되었으며 그 후 원고를 마무리하는 작업을 거쳐 현재 원고를 완성한 단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학술지에 발표하여 연구자들과 함께 공유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지역사, 1차언어, 2차언어, 정치적 상호작용, 문화적 상호작용, 경제적 상호작용, 정치적 공간, 문화적 공간, 경제적 공간, 스킨너, 시장체계, 대권역, 내부메시지, 외부메시지, 향약, 보갑, 성황묘, 민간신앙, 이갑제, 이노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