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149&local_id=10013484
제2언어 영어 강세 습득에 있어서 청각 인지와 발음과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2언어 영어 강세 습득에 있어서 청각 인지와 발음과의 관계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신숙(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2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제2언어 학습자들의 영어 발화상의 어려움이 목표어 소리의 인지상의 어려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해 29명의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파생어 강세 습득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파생어의 경우 학습자들의 강세 인지 능력이 발화 능력보다 훨씬 높았는데 구체적으로 강세 인지의 정확도가 76.83%인데 반해 발화의 정확도는 55.93%로 이 둘 사이에 심각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영어 강세 인지와 발화 사이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검증 결과 학습자들의 인지 능력이 높다고 해서 발화 능력이 높은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인지와 발화 사이에 항상 1대1 대응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접미사의 종류 및 어휘 범주에 따라 영어 강세 인지 및 발화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영어 학습자들이 레벨 1 접미사가 첨가된 형용사와 명사의 강세 습득에 상당한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강세와 관련된 인지 및 발화상의 오류 유형을 개별 접미사 및 어휘 유형에 따라 오류 수 및 음절의 위치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개별 오류 유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강세와 관련된 교육적인 함축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단지 이론적인 토론에 그치지 않고 제2언어 학습 및 교육에 응용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 영문
  • This paper investigated whether L2 learners’ pronunciation difficulties were related to their perceptual deficiency of the target sounds,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29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word stress. It was shown that overall the correct percentage of perception (76.8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oduction (55.93%).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which suggests that second (or foreign) language learners’ good perception abilities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ir good production abilities, and vice versa. It was also shown that the overall results interacted with suffix class (class 1 or class 2) and lexical class (noun or adjectiv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much better with class 2 suffixes (perception 85.4%; production 73.5%) than with class 1 suffixes (perception 68.3%; production 38.4%) across perception and production. As for lexic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main stress target-appropriately when the target words were adjectives than when they were nouns (noun 74.6% vs. adjective 79.1%). However, their production of primary stress was more target-appropriate when the target words were nouns than adjectives (noun 63.8% vs. adjective 48.1%). Mor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had most difficulty in producing correct stress when the targets were class 1 adjectives, followed by class 1 nouns.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production error pattern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rrors and the distribution of syllable pos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English word stress were draw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paper investigated whether L2 learners’ pronunciation difficulties were related to their perceptual deficiency of the target sounds,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29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word stress. It was shown that overall the correct percentage of perception (76.8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oduction (55.93%).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which suggests that second (or foreign) language learners’ good perception abilities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ir good production abilities, and vice versa. It was also shown that the overall results interacted with suffix class (class 1 or class 2) and lexical class (noun or adjectiv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much better with class 2 suffixes (perception 85.4%; production 73.5%) than with class 1 suffixes (perception 68.3%; production 38.4%) across perception and production. As for lexic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main stress target-appropriately when the target words were adjectives than when they were nouns (noun 74.6% vs. adjective 79.1%). However, their production of primary stress was more target-appropriate when the target words were nouns than adjectives (noun 63.8% vs. adjective 48.1%). Mor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had most difficulty in producing correct stress when the targets were class 1 adjectives, followed by class 1 nouns.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production error pattern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rrors and the distribution of syllable pos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English word stress were draw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 영어를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경우 영어 강세 인지의 정확성이 발화보다 훨씬 높게 나왔지만 인지를 잘한다고 해서 반드시 발화를 잘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학자들이 주장해 온 것처럼 영어 강세 인지와 발화 사이에 항상 1대1 대응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고 이를 통해 앞으로 영어 교육 시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인지와 발화의 수준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 인지 및 발화 교육을 해야 더 효과적 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경우 비강세 음절에 오는 모음을 축약해서 슈와로 발화하지 않는 경향이 높았고 이는 앞으로 영어 강세 교육시 비강세 모음의 발화에 좀 더 비중을 두고 교육을 시켜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접미사의 유형에 따라 강세 교육의 비중을 달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레벨 1 접미사가 첨가된 형용사 및 명사의 강세 학습 시 인지 및 발화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영어 교육 시 레벨 1 접미사와 관련된 단어에 대해 좀 더 비중을 두고 교육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이처럼 한국인 학습자들이 영어의 레벨 1, 2 접미사와 어간의 강세 유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영어 강세 규칙을 습득할 경우 이들 접미사와 연관이 있는 영어 단어의 경우 일일이 각 단어의 강세를 암기하는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 면에서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찰한 접미사들뿐만 아니라 다른 접미사와 어간의 강세 유형까지 포함해서 강세 교육을 확장할 수 있고 이것을 영어를 학습하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도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색인어
  • English word stress, perception and production, suffix class, lexical class, error pattern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