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162&local_id=10013218
가웨인 시(詩)에서 후반행 말미-e의 음가에 관한 연구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A00543 |
Year(selected) |
2005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06년 12월 20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06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가웨인 시의 총 2530시행 중에서 확장된 장시행 586행을 전반행과 후반행으로 나누어 1172반행들의 운율분석 결과는 의외로 음율형의 결정은 강세음절보다 약세음절의 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단 하나의 어말약세음절이 운율형 결정에 필수적인 ...
가웨인 시의 총 2530시행 중에서 확장된 장시행 586행을 전반행과 후반행으로 나누어 1172반행들의 운율분석 결과는 의외로 음율형의 결정은 강세음절보다 약세음절의 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단 하나의 어말약세음절이 운율형 결정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반행과 후반행의 운율형은 상호배타적인 것(91.1%)으로, 전반행의 어말에는 약세음절의 수가 수의적으로 나타나지만, 후반행에 있어서는 정확히 하나의 약세음절로 끝나는 결과(99.03%)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는 후반행의 어말어 끝음절 -e가 음가보존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가웨인 시인이 후반행의 어말어의 마지막 음절 -e를 분명한 음가를 가지고 율독한 것으로 해석된다.
후반행의 어말어 끝음절 -e의 음가보존적인 의미는 어원적인 면과 음운적인 면에서 상호작용하는 규칙의 한 결과로, 첫째 North West Midlands의 두운시행의 음운은 전통역사문법가들이 평가하는 것보다도 음운 보수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으며, 둘째 현대음율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14세기 말의 중세영어 두운시행의 음율형은 체계적이었으며 고도의 규칙성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
English
-
Traditionally the question of word-final-e has been controversial in understanding Middle English alliterative poetry, and the meter has not been clearly fixed.
Throughout scansion and classification of a limited corpus (586 lines) of Sir Gawain and ...
Traditionally the question of word-final-e has been controversial in understanding Middle English alliterative poetry, and the meter has not been clearly fixed.
Throughout scansion and classification of a limited corpus (586 lines) of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hereafter Gawain: N. Davis, 1967) found a coherent metrical pattern to explain the confusing -e in determining the metrics of reading in the text.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main metrical patterns shows that rhythmical patterns of two half-lines are mutually exclusive(91.1%).
Evidence for the proposed syllabic structure suggests that the final-e was phonologically present at the end of long lines in the Gawain text, and that the final-e was an essential factor in fourteenth-century alliterative meter because the end of the a-verse allowed unstressed syllables to be optional, but the end of the b-verse had only an unstressed syllable (99.03%). Such text frequency says that the end of b-verse required one unstressed syllable: syllabic value of the final-e was there in the final syllable of the words at the ends of the alliterative long lines in Gawain.
The implications of this as a result of interacting principles etymologicall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honology of the (North) West Midlands alliterative poetry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standard grammars indicate and (2) the fourteenth-century alliterative long line is more highly regulated in its patterns of unstressed syllables than prosodists of the modern period have understood.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본 논문은 『가웨인 경과 녹색의 기사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이후 가웨인'Gawain'으로 약칭함)라는 시의 운율분석을 통해서 어말-e의 음가 유무를 규명하고 중세영어 두운시의 운율체계와 규칙성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이들 두운시의 운율형태를 찾기 위해 ...
본 논문은 『가웨인 경과 녹색의 기사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이후 가웨인'Gawain'으로 약칭함)라는 시의 운율분석을 통해서 어말-e의 음가 유무를 규명하고 중세영어 두운시의 운율체계와 규칙성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이들 두운시의 운율형태를 찾기 위해서 가웨인의 시중에서 586행을 전반행과 후반행으로 나누어 1172반행을 운율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의외로 음율형의 결정은 강세음절보다 약세음절의 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단 하나의 어말약세음절이 운율형 결정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반행과 후반행의 운율형은 상호배타적인 것(91.1%)으로, 전반행의 어말에는 약세음절의 수가 수의적으로 나타나지만, 후반행에 있어서는 정확히 하나의 약세음절로 끝나는 결과(99.03%)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는 후반행의 어말어의 음절-e가 음가보존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가웨인 시인이 후반행 어말어의 마지막 음절-e를 분명한 음가를 가지고 율독한 것으로 해석된다.
후반행의 어말어 끝음절-e의 음가보존적인 의미는 어원적인 면과 음운적인 면에서 상호작용하는 규칙의 한 결과로, 첫째 North West Midlands의 두운시행의 음운은 전통역사문법가들이 평가하는 것보다도 음운 보수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으며, 둘째 현대음율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제 14세기 말의 중세영어 두운시행의 음율형은 체계적이었으며 고도의 규칙성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가웨인 시의 총 2530시행 중에서 확장된 장시행 586행을 전반행과 후반행으로 나누어 1172반행들의 운율분석 결과는 의외로 음율형의 결정은 강세음절보다 약세음절의 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단 하나의 어말약세음절이 운율형 결정에 필수적인 ...
가웨인 시의 총 2530시행 중에서 확장된 장시행 586행을 전반행과 후반행으로 나누어 1172반행들의 운율분석 결과는 의외로 음율형의 결정은 강세음절보다 약세음절의 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단 하나의 어말약세음절이 운율형 결정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반행과 후반행의 운율형은 상호배타적인 것(91.1%)으로, 전반행의 어말에는 약세음절의 수가 수의적으로 나타나지만, 후반행에 있어서는 정확히 하나의 약세음절로 끝나는 결과(99.03%)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는 후반행의 어말어의 음절-e가 음가보존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가웨인 시인이 후반행 어말어의 마지막 음절-e를 분명한 음가를 가지고 율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어로써 영어를 학습하고 영어의사소통능력에 역점을 두고 있는 현 한국 사회에서 영어학을 연구하는 대학원생들이나 학자들이 공시적 언어연구에만 치우친 경향이 없지 않다. 통시적 영어학 연구는 공시적 연구의 밑거름을 제공하고 향후 영어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근까지 국내에서는 문자로 남고 음성자료가 없는 옛 문헌자료에 대한 음가추정 내지 음의 복원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거나 결과가 발표되지 않고 있지만 국외에서는1985년 Chicago MLA회의에서 Cable교수와 Duggan교수의 발표 이후부터 운문 분야에서 어원적, 음운적 바탕에 근거하여 그 율격을 추적 조사하여 운율형을 정치하는 방법으로 음가의 진위여부를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문자로 남아있고 음성자료가 거의 전무한 우리 한국의 시적 문헌 자료들의 음성추정 내지 복원 연구하는 새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음성자료가 없는 과거의 운문작품들의 음성 재현 내지 추정하는 데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Index terms
-
가웨인 경과 녹색의 기사, 가웨인시, 가웨인시인, 중세영어시, 두운시행의 음운, 어말어, 약세의 어말-e의 음가여부, 강세와 약세의 음절수, 두운장시행, 확장된 장시행, 초서의 시행, 전반행, 후반행, 운율형, 케이블교수, 두간교수, 두운운율이론, 시형정립, 율독, 제 14세기 말의 두운 영웅서사시, 운율분석, 어말-e의 위치와 지위, 어원적 고려, 음운적 고려, 음율형, 빈도율, 후렴행, 음운보수적 성격, 운율형의 규칙성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