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164&local_id=10013775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신복(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0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 국가 또는 주의 교육과정은 새로운 시대의 교육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를 고려하여 변화되고 있으며 한국도 제7차 교육과정이 2007년 2월 수시 개정된 형태로 새롭게 고시되었다. 따라서 학교체육의 중요성과 가치, 그 위상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체육과 교육과정의 보다 질 높은 프로그램이 현장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9개국(한국, 영국, 뉴질랜드, 핀란드, 일본,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호주)의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목표, 내용, 평가 영역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최근의 세계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한국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을 비롯하여 선진 영어권 국가(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권 국가(일본, 싱가포르), 유럽권 국가(영국, 핀란드)를 고루 포함시켜 Bereday(1964)의 4단계 절차에 따라 목표, 내용, 평가라는 커다란 비교 준거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문헌 분석, 면담, 전문가 회의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비교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표 영역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비교대상국 교육과정 문서의 ‘목표’ 영역 설정 원리는 모든 국가가 학교체육 교육의 전반적인 목적과 함께 세부적인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며, 세부 목표 제시의 형태는 수준별 제시형, 내용 연계형, 혼합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목표 설정의 주안점을 기능, 지식, 태도와 같은 수행적인 측면과 건강 및 체력 증진, 기본 운동능력 발달, 인성 및 사회성 개발 등 주제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내용 영역의 편성 원리 및 체제는 종목중심형과 주제중심형이라는 두가지 형태로 분석되었으며, 비교대상국 중 종목중심형 국가에서는 ‘필수와 선택’의 개념을 도입하여 학생의 부분적인 선택권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주제중심형 국가의 경우 영역 및 요소에서 부각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이들 국가에서는 건강한 삶, 생활기술과 사회성, 환경과의 조화라는 세가지 측면의 주제가 강조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비교대상국의 평가 영역을 살펴보면 각 국의 평가 영역 제시 방식은 특정한 기준과 준거에 의해 분석되기 어려우며 이는 각국의 교육적 전통과 현실적 상황의 맥락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체육과 교육과정 ‘평가 영역’의 주안점에서는 평가의 준거 및 영역에 관한 내용과 평가 방법에 관한 내용에 관하여 비교대상국들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음. 평가의 준거 및 영역에서 비교대상국들은 목표 또는 내용과 연계하여 평가의 준거 및 영역을 제시하고 있음이 분석되었으며 평가 방법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 방법은 목표 및 내용 준거형, 등급 제시형, 유형 제시형, 혼합형으로 구분되었음.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학습자의 수준을 토대로 문서 체제와 구성 원리에 관한 연계성과 일관성을 고려하고, 내용 영역의 구성에서 언급된 다양한 가치를 융통성 있게 현장에서 잘 실천할 수 있는 유연성을 반영하며, 평가의 다양한 도구와 사례를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형태로 제시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general concern and trends on juni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and comparing South Korea and eight foreign countries(UK, New Zealand, Finland, Japan, Singapore, USA, Canada, Australia.), so that ultimately we could suggest desirable structure and direction of juni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in what ways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junior secondary school is constructed in Korea and other eight countries, especially in terms of the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s and evalu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ereday's comparison methodology was conducted, which consists of four step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ach country's various documents and literature related to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o.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construction should have logically consistent context, value-oriented physical activities, from objective to evaluation including contents, considering attainment target achievement(learning levels) or group of the age(UK, Japan), not school level. Second, most countries provide the emphasis on objectives and contents related to a healthy life or life skill, thinking and judging skills on the well-adaptive person to surroundings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this case, we need to have more flexible attitude for implementing newly revised curriculum to schooling field. Because the value-oriented physical activities(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recreation.) can be integrated within intra-subje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assessment of each country, there are more demanding various tools and examples for evaluation, which can be supported by not only national and but also regional organizations. with our open and practical min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7차, 2007)과 여덟 개의 외국(영국, 뉴질랜드, 핀란드, 일본,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호주)을 포함한 총 아홉 개의 국가의 중학교 수준의 체육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서 중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적인 관심사와 경향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 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2007년 수시 개정된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과 방향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총 9개국의 중학교 수준의 체육교육과정 문서가 목표, 내용, 평가 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이해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Bereday의 4단계 비교 방법이 활용되었으며, 체육교육과정에 관련된 각 국의 다양한 교육과정 문서와 문헌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문서 체제와 구성 원리의 측면에서 신체활동 가치 중심의 맥을 유지하면서 영국이나 일본과 같이 학생의 학습 발달 단계나 수준을 고려하고, 학교급에만 너무 얽매일 필요 없이 목표, 내용, 평가에 대한 문서의 논리적 일관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목표 및 내용의 강조점 측면에서 건강한 삶 또는 생화기술, 생활 속에서 접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사고 및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 경우, 현장의 보다 융통성 있는 실천이 가능하도록 내용 영역(건강 활동, 도전 활동, 경쟁 활동, 표현 활동, 여가 활동)이 교과 내에서 부분적 통합될 수 있다는 유연한 자세가 요구된다. 셋째, 평가 측면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평가 도구 개발을 비롯하여, 국가 또는 KICE 및 교육청 수준에서도 유용한 평가 사례가 요구되며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개방적이고 실제적인 마음가짐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즉,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교사가 쉽게 근접하여 활용할 수 있는 통로와 지원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목표 영역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비교대상국 교육과정 문서의 ‘목표’ 영역 설정 원리는 모든 국가가 학교체육 교육의 전반적인 목적과 함께 세부적인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며, 세부 목표 제시의 형태는 수준별 제시형, 내용 연계형, 혼합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교대상국들의 목표에 대한 주안점을 기능, 지식, 태도와 같은 수행적인 측면과 건강 및 체력 증진, 기본 운동능력 발달, 인성 및 사회성 개발 등 주제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2. 내용 영역의 편성 원리 및 체제는 종목중심형과 주제중심형이라는 두가지 형태로 분석되었으며, 비교대상국 중 종목중심형 국가에서는 ‘필수와 선택’의 개념을 도입하여 학생의 부분적인 선택권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주제중심형 국가의 경우 영역 및 요소에서 부각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이들 국가에서는 건강한 삶, 생활기술과 사회성, 환경과의 조화라는 세가지 측면의 주제가 강조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3. 마지막으로 비교대상국의 평가 영역을 살펴보면 각 국의 평가 영역 제시 방식은 특정한 기준과 준거에 의해 분석되기 어려우며 이는 각국의 교육적 전통과 현실적 상황의 맥락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체육과 교육과정 ‘평가 영역’의 주안점에서는 평가의 준거 및 영역에 관한 내용과 평가 방법에 관한 내용에 관하여 비교대상국들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평가의 준거 및 영역에서 비교대상국들은 목표 또는 내용과 연계하여 평가의 준거 및 영역을 제시하고 있음이 분석되었으며 평가 방법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 방법은 목표 및 내용 준거형, 등급 제시형, 유형 제시형, 혼합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동안 범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해 총론수준의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가 연차적ㆍ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각론 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임을 감안하면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중학교 교육과정,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 내용, 평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