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182&local_id=10027371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광오(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23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어 음절의 표기 빈도와 형태소 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음절의 표기 빈도와 형태소 빈도는 아직 공개된 것이 없기 때문에, 먼저 빈도표를 만드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국립국어원이 공개한 한국어 단어 빈도표(조남호, 2002)를 중심으로 작업하였다. 한국어의 전체 어휘에서 한자어의 비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어와 외래어는 분석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다. 2음절 한자어 15354개, 3음절 한자어 11346개, 4음절 한자어 3815개, 5음절 한자어 670개를 분석하였다. 작업 결과를 가지고, 각 단어별로, 구성 음절의 단어내 위치에 따른 표기 빈도표와 형태소 빈도표를 만들었다.
    아울러, 2음절 한자 합성어의 어휘판단이 구성 형태소의 빈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표적으로 사용할 자극 단어에 대해서, 단어빈도, 글자-형태소 대응, 발음용이성 등의 요인을 통제하고, 어두 형태소와 어말 형태소의 빈도를 고저로 조작하였다. 실험결과, 어두와 어말 형태소의 빈도 간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즉, 어두 음절이 고빈도일 때에는 어말 음절의 빈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두 음절이 저빈도일 때에는 어말 음절의 빈도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심성어휘집에서 2음절 한자 합성어의 표상이 형태소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어휘표상의 활성화에서 어두 음절이 어말 음절보다 더 큰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roles of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frequency of a syllable in recognizing words written in Hangul were investigated. To make a table of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frequency of a syllable the word frequency book by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Cho, 2002) was analysed. Only Sino-Korean word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or that type of words occupies over 70 percents of the Korean vocabulary. The final frequency table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15,354 disyllabic, 11,346 trisyllabic, 3815 four-syllabic, and 670 five-syllabic wor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morphological frequency of a component character in disyllabic Sino-Korean words is able to influence their recognition. With lexical frequency, character-morpheme correspondence, and pronounceability maintained equally, the morphological frequency of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s in a word were manipul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s was obtained. Whe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haracters was high, there was no frequency effect of the second characters. In contrast, when the frequency of the first characters was low, frequency effect of the first charact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yllabic Sino-Korean words are represented as a network of morphemes in the mental lexicon, and the first character in a disyllabic word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lexical activ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어 음절의 표기 빈도와 형태소 빈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조남호(2002)의 단어빈도표를 중심으로 작업하였다. 고유어와 외래어를 제외하고 한자어를 대상으로 한 것은, 한국어의 전체 어휘에서 한자어의 비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높기 때문이다. 2음절 한자어 15354개, 3음절 한자어 11346개, 4음절 한자어 3815개, 5음절 한자어 670개를 분석하였다. 작업 결과, 각 단어에 대해서, 구성 음절의 단어내 위치에 따른 표기 빈도표와 형태소 빈도표를 만들었다.
    아울러, 2음절 한자 합성어의 어휘판단이 구성형태소 빈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단어빈도, 글자-형태소 대응, 발음용이성 등의 요인을 통제하고, 어두 형태소와 어말 형태소의 빈도를 고저로 조작하였다. 실험결과, 어두와 어말 형태소의 빈도 간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즉, 어두 음절이 고빈도일 때에는 어말 음절의 빈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두 음절이 저빈도일 때에는 어말 음절의 빈도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심성어휘집에서 2음절 한자 합성어의 표상이 형태소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어휘표상의 활성화에서 어두 음절이 어말 음절보다 더 큰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한자어의 인지에서 단어 특성, 형태소 특성, 표기 특성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한글 표기 텍스트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크게 기여할 것이며, 독서의 지도와 교육에 응용될 수 있는 바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한국어 독서 과정의 이해에 대해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하였다. 한국어 단어 처리 과정에서의 한자어 인지과정을 탐구하였으며, 한자어의 인지에서 형태소 정보 처리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한자어 정보 처리 모형의 제시하였는데, 이는 중국어나 일본어의 모형과 달랐으며, 한자어의 처리가 표기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으로서는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본 연구의 과정에서 작성된 한국어 음절의 표기 빈도표 및 형태소 빈도표인데, 이것은 한자어의 인지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앞으로 후속 연구자들에 의해 많이 이용될 수 있다. 또 하나는, 한자어의 학습 및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단어인지, 한자어, 형태소 빈도, 표기 빈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