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18&local_id=10012961
중학생 구어 서사문화의 지역별 특성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학생 구어 서사문화의 지역별 특성 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인자(신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7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담화 공동체가 자신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구사하는 구어 서사 서사물의 특징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어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국어교육에서는 사회 구성주의 교육 이론이 도입됨에 따라, 교육 활동의 주요 매체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화나 이야기 방식은 주체의 정체성이나 사회 문화적 배경, 그들이 소속되어 있는 공동체와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수업과 교과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서도 대화적 상호작용의 다양한 양태들에 대한 실증적 기초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 교수 학습 방법론에서는 토론과 토의, 자기 주도적인 문제 해결력의 수업 방식을 강조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당위적인 선언에 불과할 뿐이다. 실제 교실에서 이러한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교사는 학습자 삶의 실제적인 언어문화에 토대하여, 교실 상호작용의 패턴을 설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볼 때, 청소년들의 일상에서 수행되는 대화적 서사물(conversational narrative) 이야말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사가 경험과 사건을 시간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열거하는 과정과 그 결과라고 할 때, 대화적 서사는 주로 대화의 과정에서 실현된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대화적 서사는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우리의 일상적 삶에 가장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서사 유형 중의 하나이다. 자료 수집은 대도시(서울), 중소도시 지역 각각 두 개 학교씩 총 4개 학교에서 12개 그룹의 대화 상황을 녹취하였다. 대도시 학교는 서울 소재, 아파트 밀집 지역의 학교 두 곳을 선택하였고, 중소도시는 경상남도 양산시, 김해시 소재의 학교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지역 배분은 서울과 지방이 학습자의 문화적 자원이나 생활 방식의 차이로 하여 문화적 차이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참여자 그룹은 교사가 추천하였으며,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친밀한 관계의 또래 집단이었다. 이들은 4-6명 정도였고 남녀를 구부하지는 않았으나 친밀성의 기준에 의해 자연스럽게 남과 녀로 분리되었다.다음, 비디오와 녹음기로 녹취된 자료를 전사하였다. 화자 중심으로 일련 번호를 매기고, 언어적 기호 뿐 아니라 비언어적 기호까지 문자로 기록하였다. 비언어적 기호는 가브리엘레 루치우스-회네의 서사 인터뷰의 ‘대화 분석을 전사 체계’에 따랐다. 전사를 마친뒤, 에피스드별로 번호를 매겨 1장씩 복사한 뒤, 각각 형식과 내용 범주로 패턴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도시 중학생의 경우, 자기 의견의 표현과 합리적 상호 작용, 그리고 정보 중심의 논리적 개연성을 지향하는 서사 문화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정보 내용에 기초한 의견의 차이와 합리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의사소통을 교육적 소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지방 소도시의 경우,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상호주관성을 더 중시하며 상호작용에서 관계적 요소를 더욱 강조하여 다양한 의견보다는 공유의 소통을 중시한다. 경향으로 비유컨대, 전자가 ‘옳고 그름’의 보편적 가치 기준을 지향하는 정의론적 특성이 더 강하다면, 후자는 ‘좋고 싫음’이라는 공동체주의적 지향이 더 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서울 대도시가 ‘합리성’과 정보성 중심, 그리고 현실적 개연성 중심의 구어 서사문화적 경향이 강하다면, 지방 중소도시는 ‘공유’와 관계성 중심의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자기 표현적 경향이 강하여 다양하고 서로 논쟁적인 다성적 서사를 큰 저항감이 없이 향유하고 있음에 반해, 후자는 상호 주관적 공유의 경향이 강하여 다소 구심적이고 배타성 있는 공동체를 구성하였다.
  • 영문
  •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seek the on the regional character of the adolescent's conversational narrative and the impli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of educational interaction in class in according to social construction education theory. But the conversation is constructed in social-cultural context. The teacher must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adolescent's conversational narrative in their community. The region is important fact which determined the character of the conversational narrative. In Korea the regional identity is very important of story teller's identity. This research is quality case study. The research materials are collecting in Seoul metropolis and small town. I record the conversational narrative of twenty small groups. The participants are all girl middle school student. According to the result, I discovered two pattern. One pattern is oriented to the self-exposure-expression, rationale interaction and the real probability of story. The other pattern is oriented to the intersubject in community, relational expression and the sympathy. But there are many commons. The adolescents have common ownership in conversational narrative and understand the other. S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the teacher consider the the type of the adolescent's intera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글의 목적은 청소년 담화 공동체가 자신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구사하는 구어 서사 서사물의 특징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어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국어교육에서는 사회 구성주의 교육 이론이 도입됨에 따라, 교육 활동의 주요 매체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시하고 있다.러나 대화나 이야기 방식은 주체의 정체성이나 사회 문화적 배경, 그들이 소속되어 있는 공동체와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경험적으로도 특정의 지역에서는 ‘친밀성’을 표현하는 상호작용의 표현이 다른 지역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전달되기도 한다. 대도시 학생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과 농촌 지역 학생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수업과 교과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서도 대화적 상호작용의 다양한 양태들에 대한 실증적 기초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 교수 학습 방법론에서는 토론과 토의, 자기 주도적인 문제 해결력의 수업 방식을 강조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당위적인 선언에 불과할 뿐이다. 실제 교실에서 이러한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교사는 학습자 삶의 실제적인 언어문화에 토대하여, 교실 상호작용의 패턴을 설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청소년들의 서사문화를 분석하여 이들의 언어문화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청소년 학습자의 동일성보다는 지역별 문화적 차이에 관심을 둘 것이다. 특히, 지역별 차이를 문제 삼은 이유는, 국어교육에서도 지역별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고 또 ‘지역성’의 문제는 교육과정의 현실화의 중요한 변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dusrn 논의 결과를 참조한다면, 대도시 중학생의 경우, 자기 의견의 표현과 합리적 상호 작용, 그리고 정보 중심의 논리적 개연성을 지향하는 서사 문화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정보 내용에 기초한 의견의 차이와 합리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의사소통을 교육적 소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지방 소도시의 경우,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상호주관성을 더 중시하며 상호작용에서 관계적 요소를 더욱 강조하여 다양한 의견보다는 공유의 소통을 중시한다. 경향으로 비유컨대, 전자가 ‘옳고 그름’의 보편적 가치 기준을 지향하는 정의론적 특성이 더 강하다면, 후자는 ‘좋고 싫음’이라는 공동체주의적 지향이 더 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서울 대도시가 ‘합리성’과 정보성 중심, 그리고 현실적 개연성 중심의 구어 서사문화적 경향이 강하다면, 지방 중소도시는 ‘공유’와 관계성 중심의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자기 표현적 경향이 강하여 다양하고 서로 논쟁적인 다성적 서사를 큰 저항감이 없이 향유하고 있음에 반해, 후자는 상호 주관적 공유의 경향이 강하여 다소 구심적이고 배타성 있는 또래 문화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 물론 지역적 차이보다는 청소년 문화로서의 동일성이 더 많은 것도 사실이다. 사실, 청소년 집단의 대화 서사는 그들만이 가진 특유의 사회생활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대화는 정해진 학교 생활의 시간표와 무관할 수 없다. 그들의 대화는 학교 수업 시간 외의 짧은 여가 시간에 이루어지며, 등교와 하교의 시간에 의해 규정된다. 또 이들 또래 집단은 일년 마다 이루어지는 반편성 과정에서 타의적으로 재구성되어 단기적으로 모였다가 해체된다. 만남 자체가 불연속적인 것이다. 그러나 청소년의 생활 방식이 ‘청소년’이라는 공통점도 있지만 지역’이라는 공간적 특수성에 의한 차이가 발생한다. 필자의 인터뷰에 따른다면, 크게 두 가지 요소가 있었다. 첫째, 이들은 대도시, 지방 소도시의 분위기에 따라 결정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표현 해 본 다양한 경험의 유무가 달랐다. 대도시 학생들의 경우, 일상 생활에서 가족, 교회, 과외, 학원 등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표현하고 논쟁해 본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부모와 형제 간에 토론문화를 상시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학생이 많았다. 그러나 소도시 학생들의 경우, 토론 문화를 거의 접해 보지 못했다.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과외, 학원, 교회 등에서도 ‘자기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는 경험이 거의 없었다. 둘째, 친구와 경험과 지식의 공유 정도가 달랐다. 대도시 학생의 경우, 주로 가족 중심의 생활 패턴을 지니고 있고, 또 아파트 생활 등으로 하여 친구와 공유하고 있는 경험과 지식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중소 도시의 학생 경우, 학교 생활 외에도 교회나 학원을 같이 다니는 경우가 많았고, 또 초등학교부터 지속적으로 친구를 유지해 온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친구와 공유하고 있는 경험이 많았고, 그러한 사회적 관계의 유무는 이야기 패턴에 영향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서울 대도시와 지방 중소도시의 중학생 이야기 패턴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내의 문화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도시 중학생의 경우, 자기 의견의 표현과 합리적 상호 작용, 그리고 정보 중심의 논리적 개연성을 지향하는 서사 문화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정보 내용에 기초한 의견의 차이와 합리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의사소통을 교육적 소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지방 소도시의 경우,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상호주관성을 더 중시하며 상호작용에서 관계적 요소를 더욱 강조하여 다양한 의견보다는 공유의 소통을 중시한다. 경향으로 비유컨대, 전자가 ‘옳고 그름’의 보편적 가치 기준을 지향하는 정의론적 특성이 더 강하다면, 후자는 ‘좋고 싫음’이라는 공동체주의적 지향이 더 강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서울 대도시가 ‘합리성’과 정보성 중심, 그리고 현실적 개연성 중심의 구어 서사문화적 경향이 강하다면, 지방 중소도시는 ‘공유’와 관계성 중심의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자기 표현적 경향이 강하여 다양하고 서로 논쟁적인 다성적 서사를 큰 저항감이 없이 향유하고 있음에 반해, 후자는 상호 주관적 공유의 경향이 강하여 다소 구심적이고 배타성 있는 또래 문화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 물론 지역적 차이보다는 청소년 문화로서의 동일성이 더 많은 것도 사실이다. 사실, 청소년 집단의 대화 서사는 그들만이 가진 특유의 사회생활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대화는 정해진 학교 생활의 시간표와 무관할 수 없다. 그들의 대화는 학교 수업 시간 외의 짧은 여가 시간에 이루어지며, 등교와 하교의 시간에 의해 규정된다. 또 이들 또래 집단은 일년 마다 이루어지는 반편성 과정에서 타의적으로 재구성되어 단기적으로 모였다가 해체된다. 만남 자체가 불연속적인 것이다. 그러나 청소년의 생활 방식이 ‘청소년’이라는 공통점도 있지만 지역’이라는 공간적 특수성에 의한 차이가 발생한다. 필자의 인터뷰에 따른다면, 크게 두 가지 요소가 있었다. 첫째, 이들은 대도시, 지방 소도시의 분위기에 따라 결정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표현 해 본 다양한 경험의 유무가 달랐다. 대도시 학생들의 경우, 일상 생활에서 가족, 교회, 과외, 학원 등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표현하고 논쟁해 본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부모와 형제 간에 토론문화를 상시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학생이 많았다. 그러나 소도시 학생들의 경우, 토론 문화를 거의 접해 보지 못했다.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과외, 학원, 교회 등에서도 ‘자기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는 경험이 거의 없었다. 둘째, 친구와 경험과 지식의 공유 정도가 달랐다. 대도시 학생의 경우, 주로 가족 중심의 생활 패턴을 지니고 있고, 또 아파트 생활 등으로 하여 친구와 공유하고 있는 경험과 지식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중소 도시의 학생 경우, 학교 생활 외에도 교회나 학원을 같이 다니는 경우가 많았고, 또 초등학교부터 지속적으로 친구를 유지해 온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친구와 공유하고 있는 경험이 많았고, 그러한 사회적 관계의 유무는 이야기 패턴에 영향을 미쳤다. 물론 ‘지역성’이라는 범주만으로 대화적 서사 패턴의 차이 변인을 단순화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들 집단의 친밀성 정도, 학력, 성별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상황에서 ‘지역’ 은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정체성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주체의 사회 문화적 삶의 조건 속에서 형성된다고 할 때, 우리나라에서 ‘지역성’은 우리나라 사람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이 된다고 한다면 언어적 소통의 문화에서 ‘지역’이라는 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역은 오랜 역사적 전통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특정의 문화를 전수하게 된다. 자기를 표현하는 방식과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반응하는 방식이 달라서, 일상에서 서로 다른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별 패턴은 각 지역의 교실에서의 교육적 상호 작용 역시 그 지역의 언어문화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대부분, 토론이나 상호작용의 모델은 서구적 논증 문화를 중심으로 원리화 된 것이다. 지역 언어의 특징은 단어나 문장 차원을 넘어서 상호작용의 방식과 주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 교실에서의 상호작용 방식을 결정하는 교육적 의소통에서 이들 문화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주요 참조틀이 될 수 있겠다. 본고의 논의는 이후, 문학과 언어의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육적 상호작용은 지역별,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징에 기반한 설계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대화적 서사물, 청소년 언어 문화, 대화적 서사 구조, 서사적 상호작용, 도덕적 위치, 지역적 차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