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20&local_id=10016588
실제적 영어 듣기 및 읽기 자료가 EFL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587 |
선정년도 |
2005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7년 05월 26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7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지닌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영어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실제적 영어듣기 및 읽기자료를 영어수업에 활용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지닌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영어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실제적 영어듣기 및 읽기자료를 영어수업에 활용해 보고 학생들의 영어듣기 및 영어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다음 네 가지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30문항으로 구성된 실제적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설문지, 둘째, 연구 참가자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 셋째와 넷째 연구 도구는 실험처치를 위한 것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일반적인 영어교재와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를 위한 실제적 영어학습 자료였다. 본 연구의 기술적 통계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실제적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설문과 영어 듣기 및 읽기 평가가 실시되었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실제적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영어 성적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가 고찰되었다. 끝으로 실제적 듣기 및 읽기 자료 활용수업의 효과를 위해서 네 분반을 두 개의 실험집단과 두 개의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학기 초와 학기말에 실제적 자료에 관한 설문과 영어 듣기 및 읽기에 대한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먼저 실제적 듣기자료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2주 동안의 실험기간동안 실험집단 A에서는 일반적인 영어교재와 DVD 타이틀 영화를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고 통제집단 A에서는 일반적 영어교재만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실제적 읽기자료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집단 B에서는 일반적 영어교재와 실제적 영어읽기자료를 병행하여 수업이 이루어졌고 통제집단 B에서는 일반적인 영어교재만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은 학생들의 영어듣기 및 읽기능력과 어느 정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읽기 영역에서는 그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듣기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처치의 효과가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both authentic listening and reading materials. It also intend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both authentic listening and reading materials. It also intend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authentic materials, and their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performances. Finall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with an emphasis on authentic listening and reading materials in EFL classrooms. A total of 146 Korean EFL college students were drawn from four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using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on students' listening ability,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 in which traditional listening materials were replaced by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during some portions of the listening lessons for the twelve-week period of the treatment.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using authentic reading material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 in which traditional reading materials were replaced by authentic reading materials during some portions of the reading lessons for the twelve-week period of th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level of un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uthentic materials was found to be the lowest domain among other domai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authentic materials, and their performances on the listening and reading tests. Finally, although the effect of using authentic reading materials in the EFL classroom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utilizing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in the EFL classroom.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incorporating listening authentic materials into EFL classroo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첫째,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둘째, 그들이 지닌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영어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첫째,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둘째, 그들이 지닌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영어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끝으로, 실제적 영어듣기 및 읽기자료의 수업에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영어듣기 및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설문지, 연구 참가자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일반적인 영어교재와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를 위한 실제적 영어 듣기 및 읽기 자료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실제적 듣기 및 읽기 자료 활용수업의 효과를 위해서 네 분반을 두 개의 실험집단과 두 개의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실제적 자료에 관한 설문과 더불어 영어 듣기 및 읽기에 대한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먼저 실제적 듣기자료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2주 동안의 실험기간동안 실험집단 A에서는 일반적인 영어교재와 DVD 타이틀 영화를 활용이 병행된 수업이 진행되었고, 통제집단 A에서는 일반적 영어교재만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실제적 읽기자료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 B에서는 일반적 영어교재와 실제적 영어읽기자료 활용이 병행된 수업이 이루어졌고, 통제집단 B에서는 일반적인 영어교재만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은 학생들의 영어듣기 및 읽기능력과 어느 정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읽기 영역에서는 그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듣기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처치의 효과가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은 학생들의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나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적 영어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은 학생들의 영어듣기 및 읽기능력과 어느 정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읽기 영역에서는 그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듣기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처치의 효과가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교과과정 중에서 실제적 자료에 대한 도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성기완, 2003). 이는 이 분야에 대한 이론이 아직 뚜렷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우리나라 영어교육 현장에서 실제적 자료 도입에 대한 검증된 효과를 보여주는 연구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교사 및 강사 스스로가 개인의 관심과 역량에 따라 실제적 자료를 수업에 도입할 수는 있으나 그 실행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됨으로써 후속 연구를 촉진시키고 현장 교사들에게 이러한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지침을 마련해 줄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교재 분야에 관심을 지니고 있는 연구자 및 교사들에게 영어 교재 선정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며 특히 영어 교재론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날 매스 미디어와 정보통신 및 정보산업의 발달로 인해 영어교육 현장에서 제한된 수의 교과서 또는 단순한 교재만으로 일률적으로 영어를 가르치는 것은 수업의 다양화 및 학생들의 학습 지속 효과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영어를 가르치는 이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실제적인 자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사실 교과서와 수능시험 위주의 시험대비 영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현실에서 여러 교수이론을 바탕으로 교수방법을 다양화시키고 보다 실제적으로 영어를 가르칠 필요가 있다. 중고등학교 영어교재에 담겨있는 대화(dialogues)는 왠지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는데 이는 언어적 제약을 가한데서 비롯된 것이다(이자원, 2000). 다시 말하자면, 해당 단원에서 학습시켜야 할 어휘나 문법 사항 등에 초점을 맞추어 대화를 만들려고 시도한 것에 기인한 어색함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실제적 자료는 이러한 ‘교육용 영어’의 틀에서 벗어나 형태 및 내용면에서 보다 자연스러움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그 동안 일반적으로 주어진 교재로만 획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의 영어실력이 향상된다는 시각에 변화가 생기길 바라며 교사는 교재 선정할 때 보다 주의를 기울이고 다양하고 실제적인 자료들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
색인어
-
<한글키워드>
입력, 실제적 자료, 영어교재, 교수자료, 학습자료, 듣기자료, 읽기자료
<영어키워드>
input, authentic materials, English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learning materials, listening materials, reading material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