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21&local_id=10013614
컴퓨터 분석을 통한 영어 쓰기 능력과 독자 인지도가 한국 대학생의 영어 작문 과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컴퓨터 분석을 통한 영어 쓰기 능력과 독자 인지도가 한국 대학생의 영어 작문 과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연희(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9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소리내어 작문하기 전사자료와 Inputlog라는 컴퓨터 키보드 자획 누르기 기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어 쓰기 능력과 독자 인지도가 한국 대학생들의 온라인 영어 작문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였다. 영어 전공 4학년 학생 4명과 1학년 학생 4명에게 사전 쓰기 평가를 실시한 후 작문 능력이 서로 다른지 점검하였고, 아울러 소리내어 작문하기와 연구에 사용한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였다. 이후 개별적으로 작문을 읽을 독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과제를 먼저 수행하고 이후 1주일 후 독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 과제를 수행하였다. 2번의 소리내어 작문하기 직후 회상 면담을 하여 소리내어 작문하기에서 명확하지 않았던 부분, 특정한 행위에 대한 질문을 통해 소리내어 작문하기 자료를 보완하는 회상 면담 자료를 작성하였다. 소리내어 작문하기 자료를 전사하여 키보드 자획 누르기 기록 프로그램과 합친 후 작문 과정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어 작문 능력이 온라인 작문 과정과 결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문 능력이 우수한 집단과 우수하지 않은 집단 모두 쓰기 과정 단계 중에서 특히 쓰는 과정 자체에 시간을 가장 많이 소요했는데, 우수한 집단은 쓰는 과정만큼 수정하는 과정에도 시간을 많이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수하지 않은 집단은 주로 언어적 표현 찾기를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했다. 독자 인지의 영향은 우수한 집단과 우수하지 않은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기는 했기만, 그 영향은 우수한 집단에서 더 명확하였다. 즉 자신의 작문을 읽을 독자를 고려한 전략 사용의 빈도수가 우수한 집단이 더 많았다. 그러나 독자 인지도가 전체적인 작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드러나지 않았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oduct and process of writing in English to see the impact of L2 writing proficiency and reader awareness, using a software program for recording keyboard activity and compose-aloud protocols with retrospective interviews. It analyzes compose-aloud protocols of eight students of two different levels of English writing ability (LP and HP) for two tasks (one with specific information on the target reader and the other without it),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data recorded by the computer program Inputlog. The results of the study illustrate the effects of L2 writing proficiency on the written product and writing process on-line of Korean students. Both groups spent most of their time writing, but the HP group did more editing. The LP students verbalized more often for language form searching. The study also reveals some impact of reader awareness, which was more observable in the HP group. The HP students were aware of the reader role in English writing; thus, they used audience-related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tasks. But its frequency increased in the task where the target reader was given, while no clear impact of reader awareness was noted in the overall quality of both groups’ writ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oduct and process of writing in English to see the impact of L2 writing proficiency and reader awareness, using a software program for recording keyboard activity and compose-aloud protocols with retrospective interviews. It analyzes compose-aloud protocols of eight students of two different levels of English writing ability (LP and HP) for two tasks (one with specific information on the target reader and the other without it),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data recorded by the computer program Inputlog. The results of the study illustrate the effects of L2 writing proficiency on the written product and writing process on-line of Korean students. Both groups spent most of their time writing, but the HP group did more editing. The LP students verbalized more often for language form searching. The study also reveals some impact of reader awareness, which was more observable in the HP group. The HP students were aware of the reader role in English writing; thus, they used audience-related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tasks. But its frequency increased in the task where the target reader was given, while no clear impact of reader awareness was noted in the overall quality of both groups’ writing.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소리내어 작문하기 전사자료와 Inputlog라는 컴퓨터 키보드 자획 누르기 기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어 쓰기 능력과 독자 인지도가 한국 대학생들의 온라인 영어 작문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였다. 그 결과 영어 작문 능력이 온라인 작문 과정과 결과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문 능력이 우수한 집단과 우수하지 않은 집단 모두 쓰기 과정 단계 중에서 특히 쓰는 과정 자체에 시간을 가장 많이 소요했는데, 우수한 집단은 쓰는 과정만큼 수정하는 과정에도 시간을 많이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수하지 않은 집단은 주로 언어적 표현 찾기를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했다. 독자 인지에 대한 영향은 우수한 집단과 우수하지 않은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기는 했기만, 그 영향은 우수한 집단에서 더 명확하였다. 즉 자신의 작문을 읽을 독자를 고려한 전략 사용의 빈도수가 우수한 집단이 더 많았다. 그러나 독자 인지도가 전체적인 작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방법론적으로는 작문 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컴퓨터 키보드 자획 누르기 기록 프로그램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어떠한 한계가 있는지 보여주어 앞으로의 연구에서 이러한 프로그램 활용의 개선책에 대한 제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기존의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종이에 작문하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었는데, 본 연구와 같이 온라인 작문 과정 분석은 컴퓨터 워드세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문하는 과정만이 가지는 특징을 보여주고 이러한 온라인 작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종이에 작문하는 것보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문하는 빈도수가 더 높아진 21세기에 작문 교사가 고려해야할 온라인 작문 지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에 따라 온라인 작문 과정이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나 작문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영어 작문 지도에 활용가능하다고 본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의 독자 인지도 영향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는데, 영어 작문에서는 독자를 고려한 작문을 아주 중요시하므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학습자의 독자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나 훈련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 색인어
  • writing process, online writing, reader awareness, writing ability, compose-aloud protocol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