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39&local_id=10017029
힌두 성지 바라나시를 통해 본 힌두 문화의 특성과 현 변화양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힌두 성지 바라나시를 통해 본 힌두 문화의 특성과 현 변화양상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류경희(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1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각 종교의 성지가 그 종교의 사상과 의례 그리고 종교문화 전반을 종합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유효한 창구라는 관점에서 힌두교의 주요 성지인 바라나시의 종교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힌두 종교문화의 특성을 규명해 내고 바라나시의 현 변화양상을 통해 힌두 문화가 시대적 변화 속에서 전통을 유지시켜온 측면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가 사용한 주된 연구 방법은 현지조사연구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주요 성소 및 순례루트 참여관찰과 ② 종교의례 및 종교문화현상(종교의례, 축제, 종교행사 등) 참여관찰 그리고 ③관련자(수행자, 사제, 학자, 순례자, 일반인 등) 인터뷰 등을 통해 파악한 현재 바라나시 내부의 시각과 이해를 중요한 분석 자료로 삼았다. 문헌자료는 연구에 앞선 사전연구와 현지조사연구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큰 두 주제와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는 바라나시의 신성한 지리, 종교의례 및 문화 그리고 종교 전문가 및 기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바라나시가 지닌 신성성의 토대와 바라나시가 힌두 전통을 지속시켜온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힌두 문화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첫 번째 주제의 연구결과, 힌두 성지 바라나시가 힌두교의 메카이자 인도의 문화수도로 지칭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힌두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인식되고 있고 그 근거는 성지 바라나시가 지닌 종교문헌적, 종교지리적, 역사문화적 신성성과 종교목표의 용이성에 대한 믿음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에 토대를 두어 이루어지는 힌두 의례와 의례의 목적에 대한 고찰을 통해 힌두 의례의 특성과 복합종교로서의 힌두교의 이중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바라나시에 거주하는 다양한 수행자, 수행자조직과 기관 그리고 전통 교육제도와 교육기관들이 여러 힌두 종파와 힌두 철학파의 핵심 사상을 보존, 유지, 유포 시키는 기능을 행하고 있는 사실과 다양한 종교 의례와 순례의례 (축제) 등과 같은 종교행위와 종교문화 행사 등을 통해 힌두교의 핵심 사상이 대중들에게 전승되고 힌두 문화의 관습이 유지되는 측면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힌두 문화의 특성이자 구조로 파악한 것은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들이 비위계적으로 분산되어 개별성과 독자성을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연계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주제는 현재 바라나시 사회와 문화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최근의 물질화 경향이 바라나시 힌두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바라나시의 변화양상이 외적 변화일 뿐 내적 구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실질적 변화인지를 규명해보는 것이다.
    두 번째 주제의 연구결과, 최근 바라나시의 물질화, 상업화, 관광지화 경향이 바라나시에 외형적 변화를 불러오고 있고 이것은 젊은 세대의 의식변화와 연결되면서 바라나시 거주자들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교적 삶과 문화 그리고 전통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바라나시는 여전히 중요한 힌두 성지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고 그러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바라나시 종교문화가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요소들을 자신의 전통에 융화시키면서 자신의 전통을 유지해온 실제 역사를 지니고 있고 또 이 성지가 오랜 기간 전통을 유지시켜 올 수 있었던 근원이 종교문화의 외적 구조보다는 내적인 힘이었다는 점에서 최근의 물질화와 상업화 경향이 바라나시 종교문화의 약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바라나시의 현 변화양상은 가장 최근의 현상이어서 선행연구가 전무한데다가 치밀하고 구조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현지조사가 필요한 만큼 앞으로의 계속 과제로 삼기로 하고 위의 결론은 전체적인 경향성에 대한 언급임을 밝혀둔다.
  • 영문
  •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igious culture of Varanasi(Banaras or Kashi).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indu culture through observing the Hindu culture and it`s change in Varanasi which is called Mecca of Hinduism and the cultural capital of India. For this aim, this study has two topics. One is to examine the source of sacredness which Varanasi has kept for thousands years and the important factors which Varanasi could have kept it`s Hindu cultural tradition and through this, to understand some characteristics of Hindu religious culture. The other is to look into the changing situation toward materialism, commercialism and tourism in Varanasi and to analyze this change makes Varanasi Hindu culture in real meaning. This study deals with this two topics by field-works in Varanasi. Field works had done during Jan-Feb and Oct.-Nov./ 06 and Feb./07. Details of this are visiting important temples, other sacred places, religious organization and traditional sanskrit schools, participating pilgrimage(pancha-kroshi yatra), observing Hindu ritual and festivals and interview with Hindu religious specialists(Sannyasi, Swami, Sadu, Priest), scholars, pilgrims from outside and ordinary people in Varanasi. This study shows Varanasi is thought as the most sacred Tirtha(place of pilgrimage ) because of it`s religious textual, geographical, cultural and historical sanctity and the belief which Varanasi is the best and easier Tirtha to get moksha(liberation). And this study analyses the pilgrimage of Hindus has two meanings. they are the direct communion with the Sacred and the purification of mind. Rituals related pilgrimage to Varanasi show the importance of bathing in Ganga river and Darshan(seeing the idol of gods) in Hindu ritual and the dual structure of aim of pilgrimage reflects the dual structure of Hinduism. This study concludes Varanasi has its own system and structure to have kept it`s Hindu culture and tradition for a long time. Ascetics, it`s organizations,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by guru and Sanskrit schools has been tools to preserve thoughts and knowledge of Hindu sects and schools and to propagate them to the mass. The various kinds of Rituals and religious festivals and pilgrimage also have functioned as good tools to preserve and propagate Hindu thoughts to the mass. Varanasi cultur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Hindu culture is that various religious-cultural factors hare their individuality and autonomy without any hierarchy or one controlling system,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interconnected as one unity. Nowadays the growing of materialism, commercialism and tourism in Varanasi is making this old and sacred city changing. This study concludes Varanasi is still functioning as the center of Hindu culture in spite of this changing situ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각 종교의 성지가 그 종교의 사상과 의례 그리고 종교문화 전반을 종합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매우 유효한 창구이자 시대변화에 따른 삶의 변화가 종교에 미치는 영향을 최종적으로 살필 수 있는 표본적 연구대상이란 관점에서 힌두교의 대표적 성지인 바라나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바라나시의 신성한 지리(Tirtha), 종교의례 및 문화 그리고 종교 전문가(Sadu, Sannyasi, 사제) 및 기관(Ashram, Math)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바라나시가 지닌 신성성의 토대와 바라나시가 힌두 전통을 지속시켜온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힌두 문화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는 현재 바라나시 사회와 문화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최근의 물질화 경향이 바라나시 힌두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바라나시의 변화양상의 실체를 규명해보는 것이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사용한 주 연구 방법은 현지조사연구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주요 성소 및 순례루트(Panchkroshi-Yatra) 참여관찰과 ② 종교의례 및 종교문화현상(종교의례, 축제, 종교행사 등) 참여관찰 그리고 ③관련자(수행자, 사제, 학자, 순례자, 일반인 등) 인터뷰 등을 통해 파악한 현재의 안의 시각과 이해를 중요한 분석 자료로 삼았다. 문헌자료는 연구에 앞선 사전연구와 현지조사연구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내용에 근거하여 위의 두 주제에 대해 내린 잠정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의 연구결과, 힌두 성지 바라나시가 힌두교의 메카이자 인도의 문화수도로 지칭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힌두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인식되고 있고 그 근거는 성지 바라나시가 지닌 종교문헌적, 종교지리적, 역사문화적 신성성과 종교목표 달성의 용이성에 대한 믿음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에 토대를 두어 이루어지는 힌두 의례와 의례의 목적에 대한 고찰을 통해 힌두 의례의 특성과 복합종교로서의 힌두교의 이중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바라나시에 거주하는 다양한 수행자, 수행자조직과 기관 그리고 전통 교육제도와 교육기관들이 여러 힌두 종파와 힌두 철학파의 핵심 사상을 보존, 유지, 유포 시키는 기능을 행하고 있는 사실과 다양한 종교 의례와 순례의례 (축제) 등과 같은 종교행위와 종교문화 행사 등을 통해 힌두교의 핵심 사상이 대중들에게 전승되고 힌두 문화의 관습이 유지되는 측면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힌두 문화의 특성이자 구조로 파악한 것은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들이 비위계적으로 분산되어 개별성과 독자성을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연계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주제의 연구결과, 최근 바라나시의 물질화, 상업화, 관광지화 경향이 바라나시에 외형적 변화를 불러오고 있고 이것은 젊은 세대의 의식변화와 연결되면서 바라나시 거주자들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교적 삶과 문화 그리고 전통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바라나시는 여전히 중요한 힌두 성지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고 그러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바라나시 종교문화가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요소들을 자신의 전통에 융화시키면서 자신의 전통을 유지해온 실제 역사를 지니고 있고 또 이 성지가 오랜 기간 전통을 유지시켜 올 수 있었던 근원이 종교문화의 외적 구조보다는 내적인 힘이었다는 점에서 최근의 물질화와 상업화 경향이 바라나시 종교문화의 약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바라나시의 현 변화양상은 가장 최근의 현상이어서 선행연구가 전무한데다가 치밀하고 구조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현지조사가 필요한 만큼 앞으로의 계속 과제로 삼기로 하고 위의 결론은 전체적인 경향성에 대한 언급임을 밝혀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힌두 성지 바라나시가 힌두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란 인식은 성지 바라나시가 지닌 종교문헌적, 종교지리적, 역사문화적 신성성과 종교목표의 용이성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되고 있고 이러한 믿음을 토대로 행해지는 힌두 의례와 그 의례의 목적에 대한 고찰을 통해 힌두교가 복합종교의 성격을 지니며 따라서 사상과 의례 모두에서 이중적 구조를 지닌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바라나시에 거주하는 다양한 수행자, 수행자조직과 기관 그리고 전통 교육제도와 교육기관들이 여러 힌두교의 핵심 사상을 보존, 유지, 유포 시키는 기능을 행하고 있는 사실과 다양한 종교 의례와 종교문화 행사 등을 통해 힌두교의 핵심 사상이 대중들에게 전승되고 힌두 문화의 관습이 유지되는 측면을 확인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들이 비위계적으로 분산되어 개별성과 독자성을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연계적 통일성을 지니고 있는 점을 힌두 문화의 특성으로 지적했다.
    또 최근 바라나시 문화의 물질화 경향이 바라나시에 외형적 변화를 불러오고는 있지만 바라나시는 여전히 중요한 힌두 성지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고 그러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바라나시 종교문화가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도 자신의 전통을 유지해온 실제 역사를 지니고 있고 또 이 성지가 오랜 기간 전통을 유지시켜 올 수 있었던 근원이 종교문화의 외적 구조보다는 내적인 힘이었다는 점에서 최근의 물질화와 상업화 경향이 바라나시 종교문화의 약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2. 활용방안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내용에 근거한 것으로 아직 완성된 연구결과로 볼 수는 없다. 당초 이 연구는 연구의 주제와 성격상 장기간의 인도 현지조사와 최소 2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한 연구였으나 신청 당시 학진 측의 1년 과제 적극권장으로 1년 기간으로 신청을 하다보니 연구 상의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 난제는 연구자의 장기간의 인도현지조사 연구 경험과 지식 그리고 여러 기술적인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다만 문헌자료 뿐 아니라 방대한 현지조사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시간이 많이 걸려 현 연구결과보고서에 반영시키지 못한 일부 연구결과내용이 있다. 따라서 남아 있는 최종 연구결과물 제출 기한을 활용해 확보한 연구결과를 모두 담아 낼 계획이고 이어 이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확대 발전시켜 활용할 계획이다.

    1) 논문과 전문학술저서로 집필
    우선 현재의 연구결과를 보완하여(특히 현재 빠져 있는 축제부분) 학술논문으로 작성하여 발표하고 이어 확보하고 있는 많은 연구 자료와 관련 지식 그리고 영상자료를 보완 정리하여 전문저서로 집필할 계획이다.

    2) 강의 및 관련 주제의 연구자료로 활용
    연구과정과 연구결과를 통해 확보한 활자 및 영상 자료들을 인도와 관련된 강좌나 종교학 관련 강좌에서 가장 최근의 인도 종교상황을 알려주는 생생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또 관련 학문분과에서 힌두교의 신성한 지리와 힌두 종교문화의 특성 그리고 힌두 종교문화의 지속과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이 연구가 이끌어 낸 최근 바라나시 종교문화의 변화양상에 대한 분석은 종교학 분야에서 물질적인 삶의 질이 종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 볼 수 있는 좋은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학술 영상다큐멘터리로 제작
    평소 학문적 연구나 연구결과를 학술 논문을 통해 활자화시켜 표현하는 것과 함께 영상화시켜 표현하고 자료화할 수 있다면 그 이해나 파급효과가 훨씬 더 크리라는 생각을 강하게 해왔다. 현지조사과정에서 논문의 주요 항목에 맞춰 동영상과 스틸 사진으로 영상 자료를 확보해 놓은 만큼 기회가 되면 영상학술 다큐멘터리로 만들어볼 계획이다.

    4)대중적 차원에서 활용
    학문적 연구를 대중적 차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학자가 담당해야할 또 다른 역할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좀더 대중적인 성격의 영상화보를 곁들인 책으로 출판하거나 대중강좌의 방법 등을 통해 인도의 종교문화에 대한 객관적이고도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문의 사회적 기여를 시도할 것이다. 실제로 연구기간 중에 KBS의 ‘역사기행’ 바라나시편 다큐멘터리 제작에 직접 참여하여 자문과 리포터 역을 맡아 본 연구 결과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 색인어
  • 힌두 성지, 띠르타, 힌두문화, 힌두문화의 특성, 힌두교, 바라나시, 까시, 성지순례, 띠르타 야뜨라, 해탈, 윤회, 목샤, 묵띠, 스깐다 뿌라나, 사이비즘, 쉬바파, 바이슈나비즘, 비슈누파, 성스러움의 의미, 지리적 신성성, 빤차끄로시, 빤츠고시, 강가(갠지스), 가트, 정화력, 목욕의례, 순례여행, 다르샨, 사두, 구루, 산야시, 스와미, 수행자. 수행자조직, 종교기관, 마트, 아슈람, 아카라, 사제, 축제, 종교문화, 구루제도, 범어교육기관, 종교문화 변화양상, 물질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