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41&local_id=10017041
『高麗再雕大藏經』과『北宋開寶勅版大藏經』의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高麗再雕大藏經』과『北宋開寶勅版大藏經』의 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부현(대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4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고려대장경」의 底本에 대해서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 「개보장」의 現存本과 「재조장」의 비교 연구를 한 것이다. 그 결과 各本이 글자의 모양, 글자의 크기, 글자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즉 모두 동일한 계통의 板本임이 분명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들 세 本이 板式이나 原文이 완전히 일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몇 가지 요소에서는 부분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原文에서도 다소의 文字異同이 발견되고 있다.
  • 영문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ai Bao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existing book of the Tripitaka Kai bao and second Tripitaka Koreana. I want to draw on clues that can come to a final conclusion from the text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 result that, the volumes printed by woodcut is wholly identical to the letter shape, size and the spaces in between. In short, all is regarded to be the true block book that is of an identical system. However, these are not perfectly in the style of block books or the original three books. There are trivial and partially differences in the several elements. However it can be found to be more or less the original letter transf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고려대장경」의 底本에 대해서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 「개보장」의 現存本과 「재조장」의 비교 연구를 한 것이다. 그 결과 各本이 글자의 모양, 글자의 크기, 글자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즉 모두 동일한 계통의 板本임이 분명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들 세 本이 板式이나 原文이 완전히 일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몇 가지 요소에서는 부분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原文에서도 다소의 文字異同이 발견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異論이 紛紛했던 「高麗大藏經」의 底本과 板刻에 대해서 최종적이고 완결적인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는 端緖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개보장」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일차적으로 현존하는 「개보장」을 「재조장」과 아울러 「개보장」의 覆刻本인 「趙城藏」을 대조하여 아래와 같은 10종 경전의 對照 書影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1) 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二百六
    2) 妙法蓮華經 卷第七
    3) 大云經請雨品 第六十四
    4) 佛本行集經 卷第十九
    5) 雜阿含經 卷第三十
    6) 佛說阿惟越致遮經 卷上
    7) 大方等大集經 卷第四十三
    8) 中論 卷第二
    9) 十誦尼律 卷第四十六
    10) 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五百八十一
    이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7 種의 경전에 대해서 「개보장」, 「재조장」, 「조성장」 및 後代의 대장경과의 對校를 진행하고 대교의 결과를 정리해서 文字異同 對校表를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1) 大般若波羅蜜多經 卷第二百六
    2) 妙法蓮華經 卷第七
    3) 大云經請雨品 第六十四
    4) 佛本行集經 卷第十九
    5) 雜阿含經
    6) 佛說阿惟越致遮經 卷上
    7) 大方等大集經 卷第四十三
    이들 경전을 對照한 결과 各本이 글자의 모양, 글자의 크기, 글자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즉 모두 동일한 계통의 板本임이 분명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들 세 板本이 板式이나 原文이 완전히 일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몇 가지 요소 즉 板首題․板尾題, 行字數, 張次, 卷首事項 등에서는 부분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原文에서도 다소의 文字異同이 발견되고 있다.
    蛇足으로 필자는 이와 같은 현존하는 「개보장」과 「재조장」․「조성장」의 對照와 對校의 결과를 통해서 위에서 언급한 10종의 「재조장」은 「개보장」을 校勘․修正하여 覆刻된 것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단, "妙法蓮華經卷第七"은 書影에서 확인되듯이 「조성장」과 「재조장」은 그 서영이 서로 일치하면서, 「개보장」과는 다르다. 「조성장」과 「재조장」은 여기에서 제시된 「개보장」과는 또 다른 「개보장」을 底本으로 해서 覆刻되었고, 또한 이 「조성장」과 「재조장」은 기본적으로는 同種의 「개보장」을 저본으로 해서 覆刻된 것으로 추정된다.
    끝으로 본고에서 제시된 對照 書影은 「재조장」의 저본과 판각에 있어서 「개보장」과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것이고, 文字異同 對校表는 「개보장」과 「재조장」의 구체적인 관계를 구명하는데 역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고려재조대장경, 북송개보칙판대장경, 재조장, 개보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