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61&local_id=10016957
동래정씨 소장 한글편지자료집 '편지급재문집'에 관한 국어학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래정씨 소장 한글편지자료집 & #39;편지급재문집& #39;에 관한 국어학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무식(경성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글편지 자료집인 ‘편지급문집(便紙及祭文集)’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 자료에 반영되어 있는 방언을 중심으로 국어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자료에 관한 서지학적 정보는 졸고(2006)를 참고할 수 있으며, 이 자료는 주로 20세기 초반에 작성된 것이다. 이 자료에 반영된 언어는 주로 19세기말 20세기 초반의 언어로서 주로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경북남부지역의 방언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 자료는 80통의 한글편지 자료와 2점의 한글제문을 담고 있으며 편지는 주로 사돈지(査頓紙), 부모 자식 사이의 편지, 형제 사이의 편지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 편지 자료에 반영된 문자와 표기체계는 대체로 19세기에 사용된 문자 및 표기체계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자료집에 반영된 언어를 바탕으로 국어학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음체계는 이 지역 방언의 현대국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치조마찰음의 된소리인 ‘ㅆ’음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현대 이 지역 방언의 자음체계와 같다.
    둘째, 자음과 관련된 음운현상도 현대의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현상인 어두위치에서의 유음의 분포상의 제약, 경음화 현상, 융합현상, 비자음화 현상, 경구개음화 현상, 자음의 위치동화 현상, 유음화 현상, 자음의 첨가와 탈락 현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경음화 현상 및 경구개음화와 관련된 예 중에서 실현되지 않은 예가 보이는 것은 이표기로 볼 때 표기상의 문제로 판단된다. 비자음화 현상과 자음의 위치동화, 유음화 현상, 자음의 첨가 및 탈락현상과 관련된 예를 살펴보면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확인하기 힘든 예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 자료에 반영된 모음체계도 현대 이 지역 방언의 모음체계인 6모음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모음체계와 관련해서 ‘ㅡ’와 ‘ㅓ’모음이 변별되지 않음은 자료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며 ‘ㅟ’와 ‘ㅚ’모음이 단모음으로 존재하지 않음도 확인된다. 다만, ‘ㅔ’와 ‘ㅐ’모음의 문제는 문자 ‘ㆍ’가 여전히 사용됨으로써 명료하게 확인되지는 않지만 전설고모음화 현상 등과 관련지워 볼 때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 자료에 등장하는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은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전설고모음화, 모음조화, 비모음화(鼻母音化), 움라우트 및 ㅣ모음역행동화, 원순모음화 현상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은 대개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우이지만 그 실현 정도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자료의 문제로 판단된다. 또한, 모음과 관련된 다른 음운현상과 달리 모음조화와 원순모음화 현상은 상대적으로 현대 이 지역 방언에 비해 그 발생 빈도 측면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이 지역 방언의 현저한 특징 중의 하나인 음절 및 음운의 축약과 관련된 현상도 살펴볼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현대 이 지역 방언에 비해 그 실현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의 원인은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여섯째,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예가 보이는데, 주로 음장과 관련된 표기 자료만이 보이며 이는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초분절소가 성조와 함께 음장이 부가되는 형태임을 감안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일곱째, 이 자료에는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많이 사용되는 낱말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쉽게 확인되지 않는 방언 낱말도 확인할 수 있다.
    여덟째, 이 자료에는 이 지역 방언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의문형어미, 부정문의 형식, 조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볼 때, 이 한글편지 자료집에 반영된 방언은 19세기말 20세기 초반의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의 남부방언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famaily of Dongnae Jeong's Korean letter book and its dialectical traits. By my another thesis(2006), A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is letter book is a data transcribed from the author's original manuscript and is composed of eighty pieces of Korean letter, two pieces of Korean funeral oration. Also this book is composed of twenty seven pieces of letters which was exchanged among owner's relatives by marriage, twenty one pieces of letters which was exchanged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twenty six pieces of letters which was exchanged among near her relative, four pieces of letter which was exchanged among her friends. An orthography of this book is agreed with its Korea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ies, differences of orthography in the same age by the individual.
    The conclusion that I investigated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
    First, I investigated that this letter was writt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ies o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and dialectic traits which was reflected is Daegu dialect or southern Gyungsangbookdo(경북) dialect of the same age.
    Second, the consonantal organization of this letter book is in keeping with it's the present this dialect. And I confirmed a lack of alveolar fricatives /s/ at the consonantal organization.
    Third, I observed several consonantal phenomena and also was able to observe these phenomena at the present this Dialects but investigated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is letter book.
    Fourth, I investigated the six vowel system that was reflected at the this book and observed the neutralization between vowel /ㅡ/ and /ㅓ/. And I observed not only appearance that diphthong(/ㅟ/, /ㅚ/) had changed single vowel but also several characteristic phenomena of vowel.
    Fifth, I investigated one of the notable characteristics, the contractions of syllable or sound and then investigated suprasegmental feature, length.
    Sixth, I was able to observe not only general words but also characteristic words of this dialect and to observe typic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 investigated that this letter was writte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ies o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and dialectic traits which was reflected is Daegu dialect or southern Gyungsangbookdo(경북) dialect of the same 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글편지 자료집인 ‘편지급문집(便紙及祭文集)’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 자료에 반영되어 있는 방언을 중심으로 국어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자료에 관한 서지학적 정보와 성격은 졸고(2006)를 참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이 자료는 주로 20세기 초반에 작성된 것이다. 즉, 이 자료에 반영된 언어는 주로 19세기말 20세기 초반의 언어로서 주로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경북남부지역의 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자료는 80통의 한글편지 자료와 2점의 한글제문을 담고 있으며 편지는 주로 사돈지(査頓紙), 부모 자식 사이의 편지, 형제 사이의 편지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 편지 자료에 반영된 문자와 표기체계는 대체로 19세기에 사용된 문자 및 표기체계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자료집에 반영된 언어를 바탕으로 국어학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음체계는 이 지역 방언의 현대국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치조마찰음의 된소리인 ‘ㅆ’음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현대 이 지역 방언의 자음체계와 같다.
    둘째, 자음과 관련된 음운현상도 현대의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현상인 어두위치에서의 유음의 분포상의 제약, 경음화 현상, 융합현상, 비자음화 현상, 경구개음화 현상, 자음의 위치동화 현상, 유음화 현상, 자음의 첨가와 탈락 현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경음화 현상 및 경구개음화와 관련된 예 중에서 실현되지 않은 예가 보이는 것은 이표기로 볼 때 표기상의 문제로 판단된다. 비자음화 현상과 자음의 위치동화, 유음화 현상, 자음의 첨가 및 탈락현상과 관련된 예를 살펴보면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확인하기 힘든 예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 자료에 반영된 모음체계도 현대 이 지역 방언의 모음체계인 6모음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모음체계와 관련해서 ‘ㅡ’와 ‘ㅓ’모음이 변별되지 않음은 자료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며 ‘ㅟ’와 ‘ㅚ’모음이 단모음으로 존재하지 않음도 확인된다. 다만, ‘ㅔ’와 ‘ㅐ’모음의 문제는 문자 ‘ㆍ’가 여전히 사용됨으로써 명료하게 확인되지는 않지만 전설고모음화 현상 등과 관련지워 볼 때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 자료에 등장하는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은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전설고모음화, 모음조화, 비모음화(鼻母音化), 움라우트 및 ㅣ모음역행동화, 원순모음화 현상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모음과 관련된 음운현상은 대개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우이지만 그 실현 정도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자료의 문제로 판단된다. 또한, 모음과 관련된 다른 음운현상과 달리 모음조화와 원순모음화 현상은 상대적으로 현대 이 지역 방언에 비해 그 발생 빈도 측면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이 지역 방언의 현저한 특징 중의 하나인 음절 및 음운의 축약과 관련된 현상도 살펴볼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현대 이 지역 방언에 비해 그 실현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의 원인은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여섯째,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예가 보이는데, 주로 음장과 관련된 표기 자료만이 보이며 이는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실현되는 초분절소가 성조와 함께 음장이 부가되는 형태임을 감안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일곱째, 이 자료에는 현대 이 지역 방언에서 많이 사용되는 낱말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쉽게 확인되지 않는 방언 낱말도 확인할 수 있다.
    여덟째, 이 자료에는 이 지역 방언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의문형어미, 부정문의 형식, 조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볼 때, 이 한글편지 자료집에 반영된 방언은 19세기말 20세기 초반의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의 남부방언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글 필사 자료를 잘 이용하지 않던 국어사 연구의 관행에서 벗어나서 더 많은 다양한 자료를 국어사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한글 편지 자료가 가지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가 가지는 강점은 기존의 국어사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었던 판본 자료가 지니고 있는 약점을 충분히 보완해줄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다룬 한글 편지 자료는 이미 학계에 소개된 한글 편지 자료와는 또 다른 성격을 지닌 자료이다. 순천김씨 및 곽씨언간 자료가 16세기말 17세기 전반기의 충청도와 경북을 기반으로 하는 자료였다면 이 자료는 그보다 훨씬 후대인 19세기 또는 20세기초의 자료이자 지역적으로 대구 지역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자료이다. 이 자료가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여러 국어학적 층위에서 심층적으로 다루어질 경우에는 국어학적 또는 문화사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
    국어학적으로는 우선 이 자료의 등장으로 좀더 일상 구어를 반영한 국어사 자료가 추가되어 이 자료가 반영하고 있는 시기의 국어의 모습을 통해 이 시기의 국어사 기술을 좀더 정확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이 자료의 경우 대구를 중심으로 경북 남부방언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를 거쳐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방언이 안고 있는 모음체계 문제나 음운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 자료는 백두현 교수에 의해 소개된 ‘현풍곽씨한글편지자료’와 통시적으로 비교해볼 수 있는 자료로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경상도방언의 방언사 기술과 관련 자료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뽑아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자료는 국어 문법사나 어휘사의 기술에도 이 자료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어학적 특징과 함께 이 자료가 지니고 있는 문화사적 특징도 이 방면의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이 한글 편지 자료가 담고 있는 내용을 통하여 이 시기의 우리 선인들이 생활했던 생활 환경이나 각종 문화사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자료는 국어사 연구에서 간행된 자료가 가지는 여러 가지 제약 현상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자료적 가치뿐만 아니라 국어사 연구에서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 힘든 상황에서 적지 않은 양의 한글 필사 자료가 등장했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되며 본 연구도 이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한글편지자료집, ‘편지급문집’, 경북방언, 대구방언, 20세기초반 국어, 방언자료, 20세기 초반의 대구지역 모음체계, 20세기 초반의 대구지역 자음체계, 음운현상, 경북방언의 낱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