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04&local_id=10013787
몸과 춤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몸과 춤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말복(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7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60년대이후 급격히 대두되는 몸담론의 홍수 속에서 동서양의 사상적 전통 속에서 몸개념을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는 일차적인 목적을 지녔다. 오랜시간동안 동서양에서 진행되어온 몸에 대한 논의의 흐름을 비교해 보았고 인간의 존재를 밝히는 몸에 대한 동서양의 일반적인 개념을 춤에 적용하여 그 결과 나타나는 춤의 모습을 비교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동서양의 춤의 사상과 춤속 몸의 모습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2장과 3장을 동서양의 몸과 춤에 대한 연구로 할애하였다.
    먼저 동양의 몸에 대한 생각들은 유교와 도교, 불교 그리고 한의학에서 나타나는 몸에 관한 동양사상들의 경향을 종합하여 살펴보았으며 서양의 몸개념은 플라토로부터 출발하여 데카르트에 완성되는 심신이원론과 근대의 합리주의 사상 그리고 1960년대 이후 새로이 등장한 인지과학의 영향을 받아 체험주의라 불리는 새로운 철학적 동향 그리고 사회학의 담론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평소 동서양의 춤의 사상과 춤속 몸의 모습이 너무 다름을 깨닫고 이를 동서양의 자연관과 세계관과 관련지어 설명해보고자 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방만하게 논의되고 있는 몸에 대한 담론속에서 구체적으로 동서양의 몸에 대한 비교가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인식하에 이를 춤과의 연관속에서 비교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각기 동양과 서양의 몸과 춤에 대해 연구한 결과 동서양의 몸에 대한 관점과 생각의 특성들이 그대로 춤의 현상과 정신속에서 발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몸과 춤에 대한 개념들로부터 세계의 양극단에 위치한 동양과 서양이 세계를 바라보는 공통적인 관점 혹은 응시자세를 살펴보았다. 동서양의 각기 다른 몸과 춤의 개념으로부터 공통적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기본적이고도 공통적인 관점 혹은 시각을 도출하였다. 춤과 몸에 대한 생각은 동양과 서양이 각기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삶에서 무엇을 응시하고 있는지에 따라 설명의 윤곽이 그려지고 어떻게 이 세계를 인식하는가하는 사고경향애 의해 그 성격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4장 몸과 춤의 응시라는 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발견된 몸과 춤의 개념들로부터 세계를 바라보는 응시점을 찾아 지적하였다.
    동양의 감성적이고 감각적이며 직관적인 인식방법과 서양의 추상적인 사고와 정신의 절대화 경향은 이제까지 살펴본 동양의 조화와 관계, 균형과 화합, 중용과 연대감, 정적이고 관조적인 분위기 ?Z고 서양의 분리와 투쟁, 진보적 진취성, 절대적 진리추구 등의 가치개념들을 이끌어내는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근대에서 탈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몸과 춤의 개념의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또한 동서양의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아 융합되어가는 몸과 춤의 현상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 21세기 동서양의 몸과 춤의 접점을 지적하였다.

  • 영문
  • The first and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 close study of body concepts of the East and the West which this writer believes shed light o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body concept, Eastern thought of body which covers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the Oriental medicine is compared with Western thought on body from Plato, Descartes and the recent philosophical thought of 'experientialism' up to the sociological discourses of body. And upon the structure of body theories of the East and the West, dances of the different world are looked into to find out how the ideas of body are reflected in their dances. This writer believes that the best way of getting a true understanding of man in one culture is through its dance into which their cultural feelings and the pictures of their lives are imprinted.
    The Oriental people look at the body from inside. It is the basic perspective of seeing the body as the subject. And the body is understood as the fluid. And mind is inherent in body. Therefore body is a 'flowing mind' which is going in and out of the body riding on 'vital energy('Chi'). Nature is perceived as an animate thing in the East while on the other hand the Westerners see the nature from outside and they understand it as the physical object. Pythagoras laid the foundation of the dualistic perspective of the world in Western mind. Plato divided human being in two quite different substances ; constantly changing body and the immortal soul. And he considered the essence of true humanity lies in the spirit that is immortal existence. According to Plato, the nature of body is matt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devoid of mind are passion, feeling, instinct and impulse. This basic perspectives of seeing the nature are identically applied in looking at the body and dance in different sides of the world. These points are discussed and demonstrated in the dance examples of Korean dance and the Western Ballet and modern dance.
    Through the demonstration of the chapters 2 and 3 which discussed the concepts of the body and dance in the East and the West, it became clear that the viewpoint on body is reflected in dance phenomenon and the spirit of dance. And from these concepts of body and dance the common perspectives of seeing the object or world are extracted as the valuable ideas that both ends of the world is upholding. Representatively harmony in the East and the segregation(individualism) in the West. Also it is pointed out that both sides of the world is getting closer and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in the way of recognizing the world in post modern era.
    Keywords : Body(몸), Dance(춤), Oriental thought(동양 사상), Western thought (서양 사상),
    Postmodernism(탈근대)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MOEHRD)"(KRF-2005-041-G00178)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60년대이후 급격히 대두되는 몸담론의 홍수 속에서 동서양의 사상적 전통 속에서 몸개념을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는 일차적인 목적을 지녔다. 오랜시간동안 동서양에서 진행되어온 몸에 대한 논의의 흐름을 비교해 보았고 인간의 존재를 밝히는 몸에 대한 동서양의 일반적인 개념을 춤에 적용하여 그 결과 나타나는 춤의 모습을 비교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동서양의 춤의 사상과 춤속 몸의 모습을 다루었다.
    평소 동서양의 춤의 사상과 춤속 몸의 모습이 너무 다름을 깨닫고 이를 동서양의 자연관과 세계관과 관련지어 설명해보고자 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방만하게 논의되고 있는 몸에 대한 담론속에서 구체적으로 동서양의 몸에 대한 비교가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인식하에 이를 춤과의 연관속에서 비교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각기 동양과 서양의 몸과 춤에 대해 연구한 결과 동서양의 몸에 대한 관점과 생각의 특성들이 그대로 춤의 현상과 정신속에서 발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몸과 춤에 대한 개념들ㄹ로부터 세계의 양극단에 위치한 동양과 서양이 세계를 바라보는 공통적인 관점 혹은 응시자세를 살펴보았다. 동서양의 각기 다른 몸과 춤의 개념으로부터 공통적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기본적이고도 공통적인 관점 혹은 시각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근대에서 탈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몸과 춤의 개념의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또한 동서양의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아 융합되어가는 몸과 춤의 현상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 21세기 동서양의 몸과 춤의 접점을 지적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연구의 가전제에 합당한 결과와 심도있는 부수적인 논의를 도출하였으며 매우 유익하고 흥미로운 결론을 이끌어내었다고 생각합니다. 전체 내용을 여기서 모두 기록할 수는 없지만 연구 결과물은 이미 한국무용예술학회 논문집에 게재하여 논문집과 별쇄본이 나온 상태입니다. 학회지의 출판으로 무용학계는 물론이거니와 몸담론과 탈근대에서의 몸과 몸의 활동에 대한 논의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 바입니다.
  • 색인어
  • Body(몸), Dance(춤), Oriental thought(동양 사상), Western thought (서양 사상), Postmodernism(탈근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