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26&local_id=10013762
정보기술수용이론(TAM)의 대안적 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보기술수용이론& #40;TAM& #41;의 대안적 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준우(인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7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Davis (1989)의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은 기술 수용모델의 가장 기본적인 연구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후의 TAM 연구는 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외부 변수 혹은 매개 변수의 도입이나 변형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이러한 노력은 연구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이루어 졌으나 이들 노력들이 간과한 것은 모델 적용의 정보기술 대상이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정 정보기술을 대상으로 모델을 변형하게 되면 모델의 일반성에 손상을 입게 되고 일반화를 추구하게 되면 설명력에 한계를 갖게 되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정보기술 수용연구를 정리하여 외부 변수를 취합 분류하여서 범용 외부 변수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TAM에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새로운 모델은 모델의 설명력을 크게 상실하지 않고 각 변수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었다. 단지 대학생을 상대로 설문을 한 탓으로 대학생이 갖는 정보기술의 숙련도 및 컨텐츠에 대한 익숙함 때문으로 컨텐츠 특성이 사용자의 편리성에 대한 것과 각 개인이 갖는 특성이 유용하다고 자각하는 것이 크게 작용하고 있지 못했다.
    제시된 모델을 확장하기 위하여 기존 논문에서 많이 활용된 외부 변수 즉 자기 효능감, 주관적 규범 그리고 즐거움 을 보완 하여 모델 검증한 결과 모델 설명력에 있어 기본 모델과 큰 차이가 없었다.
  • 영문
  •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has been a basis model for testing technology use. Post research of TAM has been conducted with the updating the TAM by adding new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A problem is that by using particular technology so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have to be required to keep the explanation power. However, this offer reduces the generality of the research model.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lity of the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process. First step is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collect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and is to regroup them into three basic independent variables. Thus, new research model has been designed with this three basic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tructured equations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the significant causal effect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s.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that new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uld be used to explain the use of new technology without any adding new particular independent variabl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has been a basis model for testing technology use. Post research of TAM has been conducted with the updating the TAM by adding new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A problem is that by using particular technology so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have to be required to keep the explanation power. However, this offer reduces the generality of the research model.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lity of the model,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process. First step is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collect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and is to regroup them into three basic independent variables. Thus, new research model has been designed with this three basic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tructured equations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the significant causal effect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s.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that new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uld be used to explain the use of new technology without any adding new particular independent variable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기존 기술 수용 모델이 갖고 있는 한계 즉 정보기술의 차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기술 수용모델에 적용되었던 외부 변수를 정리하여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실증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더우기 새로운 외부 변수를 적용했으나 다소 나은 결과만을 갖게 되어 모델의 범용적 활용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시작으로 기존의 모델 연구에서 지적 되었던 정보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외부 변수로서 활용되었던 시스템 특성, 컨텐츠 특성, 그리고 개인 특성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밝혀 졌으며 새로운 정보기술을 도입할 때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수용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 색인어
  • TAM, Extended TAM, Technology Acceptance, system us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